Development of Product Brand for University -with the example of Dairy Product Brand fo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대학교의 제품브랜드 개발연구 -한경대학교의 유.육 가공품 브랜드 개발을 사례로-

  • 황인화 (한경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 이경석 (한경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1999.08.01

Abstract

With the increase of milk consumption upto 54.5kgjperson as af the year 1994, dairy market has been mainly shared by a few specialized companies. Different from these, there are also remarkable companies like YeonSe Dairy, Konkook Dairy and SamYook University Food which are associated with Universities. These university-originated brands differentiate from others in the market with the advantage of positive university image and result in synergy effect between product image and univiersity PRo Located in Ansung, one of the most famous dairy area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designated as characterized university for Dairy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in 1996 has a big. advantage to build new dairy brand with attractive merits as like high education institute with R'll'&'ll'D, good logistics from market area, environmental condition for dairy industry and historical background as Agricultural university. Our New dairy brand has been created under the following concepts to have concrete brand image ; 1. Confidence - university logo 'll'&'ll' symbol designed together with "Characterized university for Dairy by government" 2. Fresh - Image differentiation through creative brand symbol 3. Health - Individual brand development specialized by each product

1995년도를 기준으로 일인당 우유소비량이 54.5Kg으로 중가한 낙농시장을 기존의 몇몇 유업체들이 주도해 오고 있으나, 그 속에서 연세유업, 건국유업, 삼육대학식품과 같은 대학교와 연계돈 회사들도 대리점 유통을 통해 낙농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유업 브랜드들은 대학교의 긍정적 이미지에 힘입어 제품브랜드와 대학교 홍보사이에 시너지 효과를 누리면서 유제품판매에 차별화를 두고 있다. 이에 전국에서 낙농산업이 가장 발달한 경기도 안성에 위치해 있으면서 1996년 농림부에 의해 낙농특성화대학으로 선정된 한경대학교는 연구기능을 하는 고등교육기관의 이미지, 신속한 유통에 유리한 수도권 소재, 유리한 낙농기반환경, 학교의 오랜 농업적 배경 등을 장점으로 내세워 차별화된 낙농 브랜드 이미지를 구착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 브랜드 이미지로는 첫째, Confidence- 낙농특성화대학이 표기된 한경대학교의 로고와 심볼, 둘째, Fresh- 브랜드 심볼에 의한 이미지 차별화, 셋째, Gealth- 개별제품의 특성을 반영한 개별브랜드의 개발을 목표로 낙농 브랜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