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리 특성

검색결과 1,805건 처리시간 0.029초

버버리 패션상품에 대한 소비자특성과 구매행동 연구

  • 전수영;이선재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4-44
    • /
    • 2004
  • 본 연구는 세계적 패션명품인 버버리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과 소비행동의 특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연구의 초점은 구매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과 문화가치 및 이 문화가치에 영향을 받은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이 버버리 패션명품구입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중략)

  • PDF

음성 기반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활용 가능성 탐색 연구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Voice-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gent)

  • 김지근;양현정;이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44-15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서 대화형 에이전트의 활용이 증가하는 가운데, 음성 기반 심리상담 에이전트 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심리상담 맥락에서 음성 기반 대화형 에이전트를 구현하여, 20~30대 성인 남녀 48명을 대상으로 상담 대화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4가지 유형의 에이전트 목소리(청년여성, 청년남성, 중년여성, 중년남성) 중 선호하는 목소리를 선택한 후 대화하였으며, 목소리 선택에 대한 이유, 기분 변화, 에이전트의 특성에 대한 지각, 상담 성과 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 성별에 따른 에이전트의 목소리 유형 선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목소리 선택 이유로 '편안함'이 가장 많이 언급됨으로써, 심리상담 에이전트에게 요구되는 목소리 특성이 탐색되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에이전트와의 대화 후, 기분이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개입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심리상담 에이전트에게 지각하는 특성 중, 전문성과 호감이 상담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활용 가능성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전문대생의 심리적특성, 직업가치, 대학생활적응간의 영향관계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 Work Values,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Adjustment to College)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171-17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생의 심리적 특성과, 직업가치, 대학생활적응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대학생활의 중요성 및 대학생활지도의 기초가 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로, 전문대생의 심리적 특성은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의 형성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서 대학생활적응이 잘 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전문대생의 심리적 특성은 직업가치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업가치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성격진단을 통한 국내중공업의 안전의식 및 태도 향후대척에 관한 연구

  • 기홍기;서성화;안병준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1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401-405
    • /
    • 2001
  • 안전성격심리검사(이하 '안전성격검사'라 칭함)란 근로자들의 생산시간에 따른 안전심리변화를 객관적으로 찾아내는 기법으로서 개개인과 집단의 행동특성 및 심리특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기인된 에러의 결함요소를 찾아내기 위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안전성격검사는 안전관리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종업원, 개개인의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지 않으면 않된다는 특징이 있다.(중략)

  • PDF

Spss프로그램을 이용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특성, 심리적 안녕감, 조직몰입 간의 영향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Using Spss program)

  • 곽미경;조성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4-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특성, 심리적 안녕감, 조직몰입 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Y시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권력성, 조화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율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셋째, 직무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몰입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조직몰입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애니메이션의 매력캐릭터

  • 배주영
    • 디지털콘텐츠
    • /
    • 4호통권143호
    • /
    • pp.64-69
    • /
    • 2005
  • 소설의 세계에서 인물, 즉 캐릭터의 성격을 규정하는 것은‘심리’이다. 즉 그 혹은 그녀의 정신세계, 심리상태가 캐릭터를 규정하는 핵심이었다. 그래서 스토리 구조를 결정하는 데에도, 캐릭터의 심리가 중요한 것이 됐다. 그러나 소설과 달리, 디지털콘텐츠에서 인물의 특성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축은‘행동’과‘외양’이다. 게임에서 인물의 심리라는 것이 도대체 무슨 소용이 있단 말인가. 웹에 등장하는 캐릭터(이를테면 미니홈피의 미니미)의 정신세계에 도대체 누가 관심을 가진단 말인가.

  • PDF

자기자비와 한국인의 심리: 국내연구 메타분석 (Meta-Analy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Health of Korean)

  • 김수빈;정영주;정영숙
    • 한국심리학회지ㆍ일반
    • /
    • 제36권3호
    • /
    • pp.325-358
    • /
    • 2017
  • 본 연구는 자기자비와 한국인의 심리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까지 발표된 자기자비 관련 연구들을 수집, 선별기준에 따라 총 114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인의 심리는 자기자비와의 관련성을 살핀 다양한 심리적 변인들을 연구자간의 합의에 따라 크게 긍정적 심리와 부정적 심리로 분류(대분류) 한 후, 이를 다시 3가지 차원인 적응/부적응, 긍정적/부정적 개인특성, 긍정적/부정적 대인관계 심리 변인으로 군집화(중분류)하고, 각 군집을 5가지 혹은 2가지 유목으로 세분화(소분류)하여 체계적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자기자비와 한국인의 심리의 관계를 각 분류 차원에 따라 메타분석 한 결과, 대분류인 긍정적 심리(r=.45)와 부정적 심리(r=-.44)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큰 평균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중분류는 긍정적 대인관계(r=.36)와 부적응(r=-.38)을 제외한 적응(r=.50), 긍정적 개인특성(r=.48), 부정적 개인특성(r=-.45), 부정적 대인관계(r=-.40) 변인군에서 큰 평균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그 외 소분류 변인군들도 모두 중간 이상의 평균효과크기를 보고하였으며, 특히 심리적 안녕감(r=.57)은 자기자비와의 관계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본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자기자비 연구가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스마트폰의 지각된 특성이 심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도감과 의존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upon Psychological Attitude -Study with focus on sense of security and sense of dependence)

  • 조휘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175-18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지각된 특성이 심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지각된 특성의 변수로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심리적 태도 변수로는 안도감과 의존감을 결과 변수로는 사용자 만족을 설정하여 연구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모델을 실증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스마트폰의 지각된 특성과 심리적 태도를 연구하는데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은 첫째, 스마트폰의 지각된 특성인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은 심리적 태도인 안도감과 의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감은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만 안도감은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Examination of Psychological Correlates of Woman Engineering Students)

  • 정윤경;오명숙;김지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34-45
    • /
    • 2008
  • 국내 공과대학 여자 졸업생의 전공분야 진출이 낮은 원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공과대학 여학생의 전공진로 장벽과 관련된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남학생과 비교하였다. 전국 8개 대학 1,968명의 남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공에 대한 가치와 기대, 열망, 만족도 및 자기 효능감을 조사하였고 이러한 심리적 특성들이 대학 경험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년에 따라 그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공에 대한 가치에 대해서는 남 여 학생간의 뚜렷한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기대, 열망, 만족도 및 자기 효능감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학생들의 경우 전공에 대한 기대, 열망, 만족도, 자기효능감 등이 공과대학 경험과 교육을 통해, 학년이 증가 할수록 일관되게 증가하는 반면 여학생들의 경우 거의 변화하지 않거나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공대 여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환경 개선 노력이 제안되었다.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특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eature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 Infant-Mother's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 연은모;최효식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81-1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여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특성(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자료 중, 취업 중인 어머니 44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심리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관계,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 결혼생활 관련 변인인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양육스트레스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부부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대체로 심리적 특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와 부부 갈등 분야에서의 본 연구의 의의와 가족 상담 과정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