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리적응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25초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Effect of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on Korean Language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김혜경;정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6권2호
    • /
    • pp.75-92
    • /
    • 2022
  •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 청소년의 적응과 학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학업적 수행을 측정하여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드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에게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방 군단위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내재적 학습동기와 가족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측정되고 약 5개월 후 국어시험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국어수행은 내재적 학습동기,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학습동기화와 사회적 지지간에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통제변인을 넣고 분석한 회귀분석에서도 내재적 학습동기는 국어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다중가산조절모델을 통해 가족 지지와 교사 지지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동기화와 가족 지지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교사 지지는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지지의 수준에 따른 단순회귀선의 유의성 검증 결과 교사 지지가 높을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 수준과 관계없이 국어수행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지지가 낮은 수준일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에 따라 가파른 기울기를 보이며 국어수행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대기업 임원들이 비자발적 퇴직 이후 겪는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conglomerates executives after involuntary retirement)

  • 구자복;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5권4호
    • /
    • pp.249-277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 상황에 직면한 개인의 심리를 즉각적(reflexive), 숙고적(reflective) 그리고 체념(resignation) 단계로 설명한 Williams(2009)의 욕구위협모델(need-threat temporal model of ostracism)에 기초하여, 대기업 임원들의 비자발적 퇴직을 알아보았다. 대기업 퇴직 임원 15명을 심층면담하고 그 내용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욕구위협모델의 즉각적 단계에서 그들은 퇴직 직후 '인지적 공황'과 '정서적 공황'을 경험했다. 퇴직 통보라는 예기치 못한 충격적 경험으로 인해 사고의 마비를 가장 먼저 경험했으며, 그 다음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를 인지적으로 억압하여 드러내지 않으려 했다. 숙고적 단계에서 퇴직자들은 '과거자신이 가장 잘 나가던 모습으로 완전한 복원'을 꿈꾸지만, 이런 기대가 좌절되는 상황에서 '비현실적 사고', '자기기만'과 '책임전가'로. 인해 현실에 더욱 부적응하게 되었다. 체념단계에서, 장기간의 욕구충족 실패는 그들에게 패배감과 무력감을 경험하게 했다. 이러한 결과를 Williams의 욕구위협모델과 비교 및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결과가 국가, 기업 그리고 퇴직자에게 은퇴에 대한 대처 관련 시사점을 논의했다.

무의식의 창조성에 관한 하나의 고찰: 일련의 꿈을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n Creativity of the Unconscious: Focusing on a Series of Dreams)

  • 김덕규
    • 심성연구
    • /
    • 제38권2호
    • /
    • pp.239-268
    • /
    • 2023
  • 인류는 대재난(코로나, 전쟁, 지진 등)으로 파괴(혼돈)에 직면하였고, 새로운 복원을 기다리고 있다. 문명과 개체에게 있어서 창조 혹은 창조성은 정신적 발전에 필수적이다. 새로운 의식의 입장과 태도, 실재에 대한 새로운 적응이 인간 정신의 심층에서 절실히 요구될 때, 창조성은 한 개체를 갱신시키는 동인이다. 본 소고는 일련의 네 개의 꿈을 해석하면서, 꿈의 메시지가 제시하는 창조성의 본성과 특징에 대하여 탐색한 결과물이다. 먼저 동서양의 종교와 신화, 역사에서 창조성의 정의와 형태를 탐색하였다. 서양신화는 신으로부터 발화되는 창조 혹은 창조성에 대하여 언급하는 반면에, 고대 중국에서는 도의 움직임에 의한, 음양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창조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보았다. 동서양에서 창조는 형태적으로 무로부터의 창조 혹은 질료로부터 창조, 모체로부터 해체를 통한 창조 등이 있는데, 이는 심리학적으로 창조성 혹은 창조는 무한한 잠재력과 창조력의 모판인 무의식에서 기원함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두 번째 꿈의 통찰을 따라서 창조성의 특성을 기술하였고, 이는 초월적 기능과 '준거 틀을 넘어서기', 즉 초법성향을 통하여 창조성이 일어남을 살펴보았다. 셋째로, 무의식의 창조성은 재생을 목적으로 하며, 집단과 개인 안에서 자기 원형상의 갱신을 추동하는 것임을 탐색하였다. 궁극적으로 무의식의 창조성은 전체정신의 목표이자 전체가 되어가는 개성화를 지향한다. 무의식의 창조성을 실현하는 일은 두 번째 창조자로서 인간의 숙명이라 할 수 있다.

우울성 신경증 환자의 증례분석과 간호 (A Case Study of Neurotic Depression)

  • Lee, So-Woo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1-73
    • /
    • 1975
  • 인간은 누구나 자기 인생과정 중 우울한 때를 만날 수 있다. 실로 인생 그 자체가 참을 수 없는 우울의 연속인지도 모른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특히 대인관계의 실패나 인생목표의 좌절, 심지어 사소한 사건에서의 실망은 곧 잘 인간에게 여러 가지 감정반응을 일으킨다. 이는 정신건강이 건전한 사람에게는 문제가 될 수 없지만 신경증인 사람에게는 자신의 안정감을 보호하기 위해 현실과 환상의 세계에서 심각한 투쟁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신경증적인 사람이 자신의 보호에 실패하였을때 불안이나 우울의 정도가 건강한 사람보다 그 농도가 짙게 되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특히 신경증적 우울은 저하된 자기존중이나 자기의 무가치로 특징지어지며 여러 가지 신체증상도 있고 이러한 증상들은 독립성 강퇴나 죄의식 또는 흥미저하로 이끌어 종극에는 자살을 시도하려는 경향도 나타낸다. 바로 이리한 자살로까지 이끄는 우울의 현상이 저자로 하여금 증례를 찾아 연구해 보겠다는 의욕을 만들게 한 것이다. 이 증례에서 나타난 가정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circled1 우울반응은 Separation파 loss의 한 반응이다. \circled2 연속된 긴장, 새로운 직장 또는 반복된 실직, 부모의 어린시절의 사별. 창녀생활. 새로운 문화의 적응모국어의 기억상실. 환자의 성격 그리고 환경 등이 우울로 이끌게 한 요인들이다. \circled3 자살은 개인의 양가감정을 나타내는 매우 복잡한 심리학적 반응이다. 즉 그것은 죽고싶은 비관적인 표현일수도 있고 동시에 살고싶은 욕망의 표현일수도 있다.

  • PDF

혈액투석환자의 인지적 대처전략에 따른 희망, 우울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도 (The Influence of Cognitive Coping on Hope, Depress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 차지은;이명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9-399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coping, hop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hemodialysis patients based on the stress-coping model. Methods: For this cross-sectional survey, 142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10 local clinics in Seoul and Daegu during 2012-2013. The data collection instruments include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the Herth Hope Index,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cognitive cop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op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coping strategies explained 80%, 37%, and 38% of the variances in hop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The most powerful coping strategy was positive refocusing, explaining 73% in hope, 25% in depression, and 25% in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cognitive coping plays an essential role for psychological adaptation of hemodialysis patients. Thus, interventions integrating positive refocusing would help instilling hope of hemodialysis patients in Korea.

임부의 산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Influencing Factors on Prenatal Attachment)

  • 정영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8-49
    • /
    • 2004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prenatal attachment. The research method is on the basis of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and data collecting period was from 11 to 29, November, 2003.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pregnant women of two OBGY Hospitals in Masan. Using the SPSS/WIN 10.1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The mean score of prenatal attachment was 2.64, the mean score of physical discomforts, 1.61, the mean score of husband-wife attachment, 3.28, the mean score of psychosocial adjustment of pregnancy, 1.82. The degree of prenatal attach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The degree of prenatal attachment according to obstetric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ccording to Lamaze class, Taekyo. Significant correlations of prenatal attachment was found in both psychosocial adjustment of pregnancy, Taekyo, husband-wife attachment, Lamaze class, relig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52% of the variance in prenatal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accounted by psychosocial adjustment of pregnancy(34%), Taekyo(6%), husband-wife attachment(5%), Lamaze c1ass(5%), and religion(3%). Further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development of creative strategies to enhance positive attachment relationship for pregnant woman.

  • PDF

고등학생의 희망 군집유형별 학습전략의 차이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for High School Students by Cluster Type of Hope)

  • 김진철;장봉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Snyder가 제안한 희망 이론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학교 현장에서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희망 이론이 우리나라 일반고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군집 유형을 탐색하고, 유형별 학습전략의 차이를 군집분석과 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 학생의 희망 군집은 네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희망과 학습전략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희망의 두 하위 변인 모두 메타인지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희망이론은 프로파일적 접근을 통하여 성취나 적응 등 다양한 심리변인과의 관계구조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Effect of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최아라;이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249-261
    • /
    • 2017
  • This study grasp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mperament,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y adolescents as well as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rom relationships between temperament,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763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five middle schools. Productive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using PASW statistics ver. 18.0 program;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ver. 18.0 progra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Paths appear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under the impact of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vestigation showed that harm avoidance tempera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with a medium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Novelty seeking temperament and persistence temperament had a direct impac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however, it appeared to also indicate an indirect impact through a medium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seemed to indicate a direct impact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as well as an indirect impact through a medium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help in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using personal,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proves the importa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adolescence.

외국인 근로자의 심리적 행복감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grant Workers)

  • 정한나;김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6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lated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grant workers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138 migrant workers residing legally in K or B C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August 31, 2018,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that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Chinese, Vietnamese, and Korean, an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grant workers were social support (β=.36, p<.001), followed by perceived health status (β=.25, p=.001), education (β=-.18, p=.015), and spouse support (β=.16, p=.032).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28.9%.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grant worker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nursing approach that may promote the social support, health status, and spouse support, and consider the educational level of migrant workers.

가족체계의 기능성,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과 부부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Family Functioning, Marital Conflicts, Conflict Coping Strategies and Couple's Psychological Adjustment)

  • 최규련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9-113
    • /
    • 199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family functioning, marital conflicts, conflict coping strategies and couple'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s on couple's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2 couples with teen-aged children in seoul.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couples' perception of their family funstioning(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had linear relations with psychological adjustment(marital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2) For both spouses, marital conflicts, avoidance strategy, action-expression strategy, emotional strategy and outside-aid seeking strategy were negatively related to family functioning,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were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Rational coping strategy was positive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were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3)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marital conflicts, avoidance strategy,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income. Couples'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rational coping strategy, family functioning, family income and avoidance strategy. Couples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marital conflicts, emotional strategy, and avoidance & action expression strategy. In addition, wives' self-esteem were affected by family functioning.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wives and husbands in the find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