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제 모델

Search Result 6,794,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Study on Determining the Prediction Models for Predicting Stock Price Movement (주가 운동양태 예측을 위한 예측 모델결정에 관한 연구)

  • Jeon Jin-Ho;Cho Young-Hee;Lee Gye-S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6
    • /
    • pp.26-32
    • /
    • 2006
  • Predictions on stock prices have been a hot issue in stock market as people get more interested in stock investments. Assuming that the stock price is moving by a trend in a specific pattern, we believe that a model can be derived from past data to describe the change of the price. The best model can help predict the future stock price. In this paper, our model derivation is based on automata over temporal data to which the model is explicable. We use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BIC) to determine the best number of states of the model. We confirm the validity of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and apply it to building models over stock price indices. The model derived for predicting daily stock price are compared with real price. The comparisons show the predictions have been found to be successful over the data sets we chose.

  • PDF

Improving Accuracy of RDAPS Prediction Precipita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RDAPS 강수량 예측 정확도 향상)

  • Shin, Ju-Young;Choi, Gi-An;Jeong, Chang-Sam;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13-1017
    • /
    • 2008
  • 이 연구는 기상수치예보 모델 중 지역수치예보모델인 RDAPS 모델을 이용하여 강우자료를 예측한 값과 실제 강우관측지점에서의 강우량을 비교해 보고 RDAPS 예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이다. RDAPS 모델의 자료는 00UTC와 12UTC에 3시간 누적 자료를 48시간에 대해서 생성하고, 30km 격자망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1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지점 강우량과의 비교를 위해서는 관측지점과 근거리 정보를 찾고 1시간 간격의 관측 자료를 3시간 누적강우량으로 바꾸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실제 강우예측이 어려움을 겪는 것처럼 RDAPS의 예측 강우량과 관측 강우량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 강우량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인공신경망을 적용하였다. 인공신경망이란 뇌기능의 특성 몇가지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수학 모델이다. 강우수치예측 자료 외에도 RDAPS 모델에서 얻을 수 있는 풍향, 풍속, 상대습도, 기압, 온도 등의 다른 수치자료들을 이용하여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자료들의 패턴을 시뮬레이션 하여 정확도가 높은 예측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A Risk Analysis Simulation Model for Security Management of IT System (IT시스템 보안관리 위험분석 시뮬레이션 모델)

  • Kim, Kang;Cho, Kyoung-S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8 no.2
    • /
    • pp.75-81
    • /
    • 2003
  • The Korea standard model is not fitted to general company in many faces because it is made for the public institution. This report suggests the risk analysis Simulation model of Security Management based on korea standard model , to apply and operate for general companies possibly. This model tries to show many standards, come subjectively in the character of the risk analysis, objectively and generally, and tries to give you the possible countermove, which can be operated and actual , for the countermove analysis and presentation.

  • PDF

A Manpower Distribution Model for Software Development Cycle (소프트웨어 개발주기 인력분포 모델)

  • 박석규;박중양;박재홍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5 no.1
    • /
    • pp.9-18
    • /
    • 2004
  • Successful project planning relies on a good estimation of the manpower required to complete a project in addition to the schedule options that may be available. Existing software manpower estimation models present the total manpower and instantaneous manpower distribution for the software life cycle. Putnam's Rayleigh and Phillai et al.'s Gamma models present a model with assumption that the manpower is needed at the system delivery. This means that 40 percent of total manpower is applied at the software development, and the other 60% is applied during maintenance phase. However Warburton observes the manpower is needed during development phase with the peak at the completion of the software design phase. So, the existing models were not appropriate to be applied to practical projects. This paper suggests the Sigmoid model which does not consider the point of manpower peak to fix the problem above. The suggested model showed some improvement when practical data was applied. Therefore, the Sigmoid model can be used as alternative of Rayleigh and Gamma model to estimate distribution of manpower during software development phas.

  • PDF

A Development of Strength Prediction Model of Epoxy Asphalt Concrete for Traffic Opening (교통개방을 위한 에폭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강도 예측모델 개발)

  • Baek, Yu Jin;Jo, Shin Haeng;Park, Chang Woo;Kim, Nak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6D
    • /
    • pp.599-605
    • /
    • 2012
  • It is important to decide traffic opening time for construction plan of epoxy asphalt pavement. For this purpose, strength prediction model of epoxy asphalt concrete is required. In this study, Marshall stabil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time for making strength properties equation. Strength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chemical kinetics considering temperature variation. The traffic opening time of epoxy asphalt pavement on bridge deck has been predicted using the developed model. The prediction and actual traffic opening times were different by 17-days, because weathers of year 2009-2011 used in prediction model were different from weather of year 2012. When the prediction model used the actually measured temperatures of pavement, the difference between real opening time and prediction opening time was two days.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between measured strength and prediction strength revealed that the $R^2$ using accurate temperature of pavement was 0.95. An improved precise prediction result is to be obtained if the prediction model uses accurate temperature data of pavement.

A Modeling Methodology for Analysis of Dynamic Systems Using Heuristic Search and Design of Interface for CRM (휴리스틱 탐색을 통한 동적시스템 분석을 위한 모델링 방법과 CRM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 Jeon, Jin-Ho;Lee, Gye-S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4
    • /
    • pp.179-187
    • /
    • 2009
  • Most real world systems contain a series of dynamic and complex phenomena. One of common methods to understand these systems is to build a model and analyze the behavior of them. A two-step methodology comprised of clustering and then model creation is proposed for the analysis on time series data. An interface is designed for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that provides user with 1:1 customized information using system modeling. It was confirmed from experiments that better clustering would be derived from model based approach than similarity based one. Clustering is followed by model creation over the clustered groups, by which future direction of time series data movement could be predicted.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was validated by checking how similarly predicted values from the models move together with real data such as stock prices.

Physical modeling of Gayageum using SDL model (SDL 모델을 이용한 가야금의 물리적 모델링)

  • Cho Sang-jin;Chae Jin-wook;Chong Ui-pi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91-29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Smith에 의해 제안된 이중 지연 라인을 갖는 양방향 디지털 도파관 모델을 SDL(sing1e delay line)모델로 변환하여 가야금의 단위 음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각 단계의 시스템은 선형적이며 단일 지연 라인과 LPF로 구성된다. 가야금의 임펄스 응답을 기본 입력신호로 하였으며. 실제 가야금의 조율 시스템인 안족은 선분 적합성을 이용한 근사화 과정을 거쳐 구현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모의실험을 하였다. 실제 가야금을 조율하듯 안족에 의한 조율과 실제 음과 유사한 단위 음 생성을 할 수 있었다.

  • PDF

확장칼만 필터를 이용한 인공 위성의 궤도 추정에 관한 모의 실험

  • 손건호;최규홍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04a
    • /
    • pp.19-19
    • /
    • 1993
  • 위성의 실제 궤도를 실시간하에서 추정(real-time estimation)하기 위해 지구 비대칭 중력장, 지구 대기의 저항력,그리고, 태양과 달의 위성체에 대한 섭동의 영향을 받는 지구 근방의 위성을 동력학적 모델로 선택하였다. 위성 관측소에서 얻게될 가상의 위성 궤도 자료들은 실제 관측에서 나타날 수 있는 관측 잡음(measurement noise)뿐 아니라 추적소 고도 등의 불확실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또한 수치 모델에서 고려치 못한 섭적 난수에 의해 만들었다.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의 특성을 알아 보기 위해 일차원에서의 자유낙하체에 대한 거리와 속도 추정의 모의 실험을 비교하였고, 뱃치추정 알고리즘, 순차 추정 알고리즘의 모의 실험이 거리변화율의 자료를 이용하여 확장 칼만 필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확장 칼만 필터 알고리즘은 빠른 수렴 속도를 갖는 특성을 가지며, 실시간하에서 완전하지 못한 수치 모델로 실제 궤도를 결정하고 궤도 요소를 추정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Pitch-based Intensity Control Models Considering Phonetic Environments (음운환경을 고려한 피치 기반 세기 제어 모델)

  • 김기중;김진영;진달복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1
    • /
    • pp.80-8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음성합성기에서 합성음의 자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 운 율 제어요소중 세기 제어 모델을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제안하였다. 세기 제어 모델을 구성하기 위하여, 음성의 세기는 피치에 비례한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녹음된 음성 데이터에 서 음절의 각 모음에 대한 평균파워와 평균피치를 구하고, 피치를 종속변수로 하는 모음의 세기 예측식을 만들었다. 예측식에 의하여 얻어진 세기값과 실제 측정된 세기값과의 상관도 는 전체모음에 대하여 약 0.63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예측 세기와 실제 세기와의 상 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피치만을 고려하여 예측된 세기값을 음운환경을 고려하여 선형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세기값은 전체모음에 대하 여 실제 세기값과 0.71의 상관도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for ABR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using Self-Similar Traffic (자기 유사 트래픽을 이용한 ABR 혼잡제어 알고리즘의 성능분석)

  • 진성호;이태오;임재홍;김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9-153
    • /
    • 2003
  •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변수중의 하나는 트래픽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트래픽 특성에 관한 최근의 실험적 연구들은 기존의 모델들이 실제 트래픽의 특성을 제대로 나타낼 수 없다는 것을 지적해 왔고 최근 실제 트래픽 모델과 유사한 모델로서 자기 유사한 특성을 이용한 접근법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 트래픽과 유사한 자기 유사 데이터 트래픽을 백그라운드 부하로 발생시켜 기존의 ABR(Available Bit Rate) 혼잡제어 알고리즘 중 fairshare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EPRCA(Enhanced Proportional Rate Control Algorithm), ERI-CA(Explicit Rate Indication for Congestion Avoidance),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스위치 알고리즘이 버스트한 트래픽에 대해 효율적으로 fairshare을 할당하는지를 알아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