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시간 학습

검색결과 1,834건 처리시간 0.038초

실시간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학습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Real-Time Online Education Platform)

  • 매사양;이동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42-353
    • /
    • 2022
  • 본 연구는 중국 현지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교수자 특성, 콘텐츠 특성과 플랫폼특성이 학습만족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실시간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시장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총 670부 설문지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수자의 특성인 매력성을 제외하고 전문성과 성실성은 학습만족도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었다. 둘째, 콘텐츠 특성의 유용성, 풍부성과 적절성은 학습만족도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영향 관계가 있었다. 셋째, 플랫폼 특성인 상호작용성을 제외하고, 기술성과 편리성은 학습만족도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넷째, 학습만족도는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실시간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교수자 특성, 콘텐츠 특성과 플랫폼특성에 대하여 실제로 느끼는 효용의 가치를 높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WMT를 이용한 웹 기반의 비 실시간 원격강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on Real-Time Remote Lecture System on Web-Based)

  • 강기준;서영건;김중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265-1268
    • /
    • 2001
  •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사용자의 증가로 인터넷 서비스의 하나인 웹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이 흐름의 일환으로 여러 종류의 컴퓨터 응용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주류 중에 한 흐름인 원격강의시스템은 미래 학습장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원격강의시스템은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교수자의 강의를 학습자가 같은 시간에 바로 학습한 수 있는 실시간 서비스와 교수자가 미리 강의한 내용을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학습할 수 있는 비 실시간 서비스로 나눌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강의 컨텐츠 저작툴인 강의 녹화기와 저작된 강의컨텐츠를 웹 상에서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 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WMT를 이용한 웩 기반의 비 실시간 원격강의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실시간과 비실시간 소셜미디어 활용유형 차이분석 (Analyses of the Patterns of the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ocial Media Usage in College e-Learning Settings)

  • 엄상현;임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27-34
    • /
    • 2017
  • IT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소셜미디어가 많은 사용자들에게 보급되었으며,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대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학습의 관점에서 소셜미디어는 학습공동체를 형성하여 집단지성을 발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실시간 소셜미디어와 비실시간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양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소셜미디어의 활용유형은 크게 '학습내용', '학습지원', '형용적 표현', '잡담'으로 나뉘어졌다. 실시간과 비실시간 소셜미디어 활용결과는 학습내용, 형용적 표현, 잡담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실시간 소셜미디어의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인터뷰에서는 학습자들이 실시간 및 소셜미디어의 특징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학습자들은 대체적으로 실시간 소셜미디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비실시간 소셜미디어는 숙고와 정리를 위해 체계적으로 활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및 소셜미디어 세대에 대응하는 교육적 지원방안이 제언으로 논의되었다.

분산환경을 위한 상호작용적 실시간 교육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Real-time Education System for Distributed Environments)

  • 김원영;김치수;김진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3권5호
    • /
    • pp.506-515
    • /
    • 2000
  • 본 논문은 학교현장에서 학습자의 창의력 신장을 위해 멀티미디어 교육을 지원하는 웹 기반 실시간 교육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교수·학습자간의 실시간 상호작용과 개별학습, 학습자의 학습일탈을 방지하기 위한 강제화면 분배를 지원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본 시스템은 UML을 적용하여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교환과 관리를 위한 모듈을 두어 효율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학습자의 실험·실습을 위한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고 실험의 방법과 결과분석 등에 대한 질의 응답을 지원한다. 학습자의 학습진행과 지식형성을 위해 시스템의 교육적 기반을 구성주의에 두었다.

  • PDF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안드로이드기반 협동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droid-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 이명숙;손유익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71-79
    • /
    • 2011
  • 본 논문은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한 협동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함으로써 사이트에 접속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글을 올리면 즉시 볼 수 있고 그것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할수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다. 개발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과제해결을 위해 실시간 소통의 매개체로 사용하였으며, 실시간 상호작용과 피드백으로 인한 학업성취도와 학습 흥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교수자가 학습자의 수준을 세밀하게 파악하여 학습자에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협력적 충돌 제어 방식을 이용한 공동 저작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Cooperative Authoring System Using Collaborative Conflict Resolution)

  • 이원재;권태삼;백영태;강운구;윤경섭;왕창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685-68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충돌 제어 방식을 도입하여, 공동 저작 도구를 설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실시간 알림 기능 및 비 실시간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저작자들 간의 의견 교환을 원활히 제공하여, 공동 저작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들간의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실시간 공동 작업과 비 실시간 공동작업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여 저작자들 사이의 공동 작업의 효율성 증대할 수 있으며, 다수 저작자들의 관점에 따라 다중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입하여 저작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저작물을 학습하는 학습자가 다수 저작자들의 의견이 수렴된 저작물을 HTML브라우저를 통하여 학습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합하는 저작물을 생성할 수 있다.

  • PDF

서버 기능의 분산을 이용한 그룹별 실시간 원격 학습 시스템 (A Real-time Distance Learning System Based on Croup by Distributing Server Function)

  • 장시웅;전영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50-355
    • /
    • 1999
  • 기존 원격교육 시스템들은 주로 UNIX 기반이며 원격학습을 위한 모든 기능을 서버에서 처리하게 하였다. 따라서 대용량의 시스템이 필요하였고, 여러 강좌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강의하는데는 여러가지 제한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원격학습 시스템은 사양이 높아진 클라이언트 PC를 최대한 이용하여 서버 시스템의 크기를 줄였다. 원격강의를 할 때 강의의 개설은 메인 서버에서 이루어지게 하고, 실제 강의는 강좌를 개설한 교수 PC로 서버 기능을 전환하여 실시간 강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서버에 집중되는 부하를 줄이고 실시간으로 동시에 여러 과목의 강의나 다양한 원격토론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원활한 강의 및 토론을 위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강의에 필요한 기능들을 최대한 포함시켜서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이동을 최소화하였다.

  • PDF

기계학습 기반의 실시간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의 성능 (Performance of Real-time Image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Machine Learning)

  • 선영규;황유민;홍승관;김진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69-7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 기반의 실시간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개발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테스트 하였다. 실시간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은 기계 학습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이미지를 인식한다. 개발한 실시간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자율주행 자동차 분야에 적용해보았고 이를 통해 개발한 실시간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해보았다.

실시간 구름 시뮬레이션 기반 기상 현상 학습용 가상현실 콘텐츠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R Content based on Real-Time Clouds Simulation for Meteorology Learning)

  • 강경규;유동완;박창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65-167
    • /
    • 2018
  •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콘텐츠 제작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고 학습 도구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학습 자료로써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정적인 콘텐츠의 의존에서 벗어나, 상호작용적인 가상현실 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는 연구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학습자가 기상 현상과 같이 입체적이고도 동적으로 변화하는 소재를 가상현실에서 능동적으로 체험한다면, 학습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최신 실시간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과 그래픽스 하드웨어는 기상 현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미 발전해 있다. 이러한 최신 기술이 컴퓨터를 활용한 기상학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볼륨 구름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여 상용 게임 엔진에 탑재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상학 학습용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한다.

  • PDF

대학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고려요소 및 개선방안 탐색: 학습자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Exploring Consideration Factor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for Operating Effective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in College: Focusing on Learn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 한형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69-79
    • /
    • 2020
  • 본 논문은 대학 교육에 있어서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고려요소를 탐색하는 목적을 지닌다. 대학 교육에서 실시간 온라인 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성공적인 운영이 이루어지기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가 무엇인지를 학습자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종합적으로 탐색한 연구는 미흡하다. 그룹면담을 통한 질적 분석과 다차원척도 분석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고려요소와 개선방안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상호작용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학습자 간 라포 형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활동을 촉진하는 다양한 활동 도구가 통합된 시스템 개선과 함께 교수자는 퍼실리테이터 역할을 중점적으로 수행해야 하며 학습자는 몰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온라인 교육 유형들에 대해서 학습자들은 활동성과 동일 시간성으로 구분하였다. 향후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화된 수업 설계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