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습 교육

검색결과 2,396건 처리시간 0.031초

임상 실습을 중심으로한 치기공(학)과 교육 실태조사 (A Study on the education status in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Focusing on the Dental Laboratory practice education))

  • 박종희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31-144
    • /
    • 2015
  • Purpose: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plans for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clinical practice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clinical practice in the field of dental technology and thus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pre- and post-education programs for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subjects include dental technicians at dental technical laboratories that were appointed as the place of clinical practice by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of G University. The survey period spanned from December 22, 2014 to January 20, 2015. Total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m, and 190(76.0%) were returned. After excluding 23 whose answers were uncertain or seemed to lack reliability, total 167(66.8%) were used in final analysis. Results: 1. The most frequent practice the student did during clinical practice was articulator attachment, which was followed by pin operation or model making, one's own task and practice, sand and crow sculpturing, burying, casting, and grinding. 2. In case of going through the entire process, porcelain had the most students at 39(23.4%), being followed by crown & bridge at 28(16.8%), clinical model at 23(13.8%), full denture at 17(10.2%), and partial denture at 17(10.2%) in the order. 3. Of the students, 59.8%(30.5% for reinforced basic practice; 29.3% for intensive practice education) said that intensive practice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in school; and 22.3% said that intensive theory and practice education was needed, which indicates that 82.6% voiced their opinion of reinforcing education around practice. 4. The students felt that they lacked diligence, passion, and theoretical knowledge somewhat and were relatively good at clinical adaptation and operational skills. Conclus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felt an absolute lack of practice education as the school education was focused on theory and national exams in the field of dental technology, thus raising a need to reinforce practice education. Of all the respondents, 62.9% said there was a need to improve the current education with a focus on jobs. In future, education of dental technology should work to bring up able dental technicians that can perform in clinical dental technology right after graduation by reinforcing job-based practice education.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실습중 사고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치기공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n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during Exercise (Focusing on Students Majoring in Dental Technicians))

  • 박종희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5-7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safe actions during the practice of dental technology, promote belief in safe actions among the students of dental technology, and reinforce their knowledge about how to act safety. Methods: Open questions were asked to 120 sophomores majoring dental technology to understand the target group's belief about safe actions. Following the instructions by Ajzen & Fishbein, the collected data were grouped according to similar beliefs. Those beliefs of the highest frequency were given a priority and got to represent the belief level of the target group. Even with belief changes, however, they would not be able to practice safe actions if they had no knowledge about how to do safe actions. For desirable behavioral changes among the students, the students were then asked to discuss the current state of safety accidents and issues focusing on the materials and processes used in the practice and give presentations regarding the subjects to identify risk factors. Then the identified risk factors were used to devise the program contents so that the students could practice safe actions through accurate behavioral approaches and belief changes by educating them about how to act safely by the practice processes and the involved materials and devices. Results: Not only do the students of Dept. of Dental Technicians have difficulties with the complex practice processes while practicing to make dental prosthesis, but they are exposed to the risk of accidents as they're poor at dealing with the materials and devices. Although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before practice, the reality is that the school doesn't the schoosuch education. Based on the judgment that an education program designed to reinforce belief for behavioral changes would generate effgrams results, a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long with their beliefs, the current state of accidents n. Basepractice, demand for safety education, and practice level of safe actions were used to device the contents of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and to develop an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dental technology. Conclusion: The study presents an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to reinforce dental technology students' beliefs and knowledge and to help them do safe actions during practice.

지역중소기업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학.관 협력모델에 관한 사례 연구 - 경북PRIDE상품 육성사업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Industry-Academy-Government Cooperation to Intensify Export Competitiveness of Local SMEs - Focused on Gyeongbuk PRIDE Products -)

  • 여택동;이희용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411-443
    • /
    • 2012
  •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의 심화 확산,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 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변화는 산학 협력 또는 산학관 협력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산학관 협력은 기존 연구개발 및 이론 연구중심의 협력에서 벗어나 지역기업 제품의 실용화 및 상품화를 목표로 실무 능력과 전문성이 강화된 현장 및 실습 중심의 협력 모델로 추진되고 있다. 기존의 산학관 모델과 비교하여 첫째, 기존의 중소기업 지원 시스템은 중앙정부 및 중소기업관련 유관기관 중심의 하향식 중소기업 지원 체제이나 새로운 모델에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선도 기업군에 대한 실질적인 맞춤형 지원을 통한 성과 확산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산업기술 개발, 인력 교육, 교류 위주의 산학관 협력 모델에서 벗어나 글로벌비즈니스 역량 강화와 해외시장 개척활동 지원이라는 다소 새롭고 실질적인 역할 분담 및 성과 측정이 가능한 모델 구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산학관 협력 모델인 '경북PRIDE상품 육성사업' 추진 내용을 고찰하고 '경북 PRIDE상품 육성사업' 지원 기업을 대상으로 '경북PRIDE상품 육성사업' 효과성을 연구방법론을 통해 측정하고자 한다. 경북PRIDE상품은 수요자 중심의 체계적 전담 지원, 전문화된 지식공유와 연계기능, 차별화된 산학관 협력 사업 추진으로 나타낼 수 있다.

  • PDF

치위생과 학생의 교정치료 실태와 교정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treatment effect on dental hygiene students Factor)

  • 신명숙;황지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57-65
    • /
    • 2018
  •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교정치료 실태 및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교정환자들의 협조도 및 환자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6년 9월부터 12월까지 일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설문지 작성법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를 얻어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지가 작성되었다. 최종 430부를 분석하였으며, 본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교정치료 시작 시기는 대학생 때가 34.4%, 교정치료 기간은 2~3년 미만이 36.9%, 교정치료를 시작하게 된 동기는 내적동기가 62.3%로 가장 높았다. 교정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협조도가 가장 높았고, 병원의 규모가 가장 낮았다. 치과의사 전공 여부와 치과위생사의 진료 업무, 교육 및 상담과의 관계가 .521로 가장 높은 양의 상관과계를 보였으며(p<0.001), 학년이 높을수록, 임상실습과 치과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을수록 환자의 협조도가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치과치료와 교정치료 경험이 있을수록 가족의 협조도는 낮았다. 이에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교정환자들의 협조가 중요함을 강조하고, 환자 개개인에 맞는 전략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사회문제(社會問題) 분석(分析)에 있어서 한국사회사업가(韓國社會事業家)들의 이념관(理念觀) 연구(硏究)

  • 최일섭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1권
    • /
    • pp.1-8
    • /
    • 1979
  • 본 연구(硏究) 보고서(報告書)는 중앙대학교(中央大學校) 부설(附設) 사회복지관(社會福祉館) 운영(運營)의 합리성(合理性)과 그 기능(機能)의 고찰(考察)을 중심(中心)으로 하여 저소득층(低所得層)에 있어서 사회복지관(社會福祉館)의 역할(役割)과 그 봉사활동(奉仕活動)의 내용(內容)이 어떠해야만 한다는 가설(假說)과 합리성(合理性)을 개최(開催)하는 동시(同時)에 금반(今般)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1978년 8월 14일부터 8월 18일까지 개최(開催)하는 국제사회사업(國際社會事業) 대학협의회(大學協議會) 설립(設立) 50주년(周年) 기념학술대회(記念學術大會)에서 본(本) 연구보고서(硏究報告書)를 발표(發表)하도록 의뢰함으로써 그에 준(準)하여 작성(作成)하였으며 동시(同時)에 영문(英文)으로 기재하였다. 본 부설(附設) 사회복지관(社會福祉館)의 운영(運營)의 월지(越旨)와 목적(目的)은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하고자 한다. 복지사회(福祉社會) 건설(建設)이라는 시대적(時代的)이며 전국적(全國的)인 여망(與望)에 부응(副應)하여 대학(大學)은 그 선도적(先導的) 역할(役割)을 담당하고 인간(人間)의 존엄성(尊嚴性)과 생존(生存)의 교리(?利)를 주장할 뿐만 아니라 국가부흥(國家復興)의 80년대(年代)를 향한 복지시책(福祉施策)의 기를 공고(鞏固)히 하고 사회사업(社會事業)의 토착화(土着化) 내지(內至) 자주성(自主性)을 확립(確立)해야 한다는 철학적(哲學的) 사명(使命)을 다하여야 하기에 본(本) 중앙대학교(中央大學校) 사회사업학과(社會事業學科)에서는 그러한 시범사업(示範事業)의 일환(一環)으로 본(本) 대학교(大學校)가 위치(位置)하고 있는 인근지역(隣近地域)에 사회복지관(社會福祉館)을 설립(設立)하고 다음의 세가지 목적(目的)을 달성하고저 광범(廣範)한 사업(事業)을 계획(計劃), 전개(展開)하고 있다. 1. 사회사업학(社會事業學)은 이론(理論)과 실제(實際)의 긴밀한 연계(連繫)가 강조되는 학문(學問)으로서 학생(學生)들의 실습(實習)을 교수(敎授)가 직접적으로 지도(指導), 감독(監督)함으로써 사회사업(社會事業)의 전문생(專門生)을 개발(開發)내지 발전(發展)시켜 나가야 한다. 2. 직접봉사(直接奉仕)와 학구적(學究的) 실험(實驗)을 통하여 새로운 봉사기술(奉仕技術)과 사업계획(事業計劃)을 개발(開發)하고 정립(定立)시킴으로써 국가적(國家的) 차원(次元)에서 실제분야(實際分野)에 직접 응용(應用)되도록 하여야 한다. 3. 대학(大學)이 위치(位置)하고 있는 인근지역(隣近地域), 특히 영세주민((零)細住民)들의 욕구(慾求)에 따라서 적절(適切)한 봉사(奉仕)를 직접 제공(提供)하여 줌으로써 지역사회문제(地域社會問題) 해결(解決) 참여(參與)하여야 한다. 4. 사업내용(事業內容) 위의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事業)을 한다. (1) 청소년(靑少年) 집단지도사업(集團指導事業) (2) 가정복지사업(家庭福祉事業) (3) 아동상담사업(兒童相談事業) (4) 의료진료사업(醫療診療事業) (5) 야간교육(夜間敎育事業) (6) 독서실운영사업(讀書室運營事業) (7) 직업훈련사업(職業訓練事業) (8) 가족계획사업(家族計劃事業) (9) 법률상담사업(法律相談事業) (10) 탁아시설사업(託兒施設事業) (11) 기타(其他) 위와 관련(關聯)된 사업(事業)

  • PDF

간호대학생의 알코올 및 카페인 섭취량, 학습몰입, 수면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alcohol and caffeine, learning engagement and sleep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백예지;김선경;김소현;김한비;조예린;이승아;장은경;권이나;이지우;김바른;박해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7-488
    • /
    • 2018
  • 대학생들에서 높은 카페인과 알콜 섭취가 보고되고 있고 간호대학생의 경우 과중한 학습 뿐 아니라 임상실습을 경험하는 등 많은 스트레스로 과다섭취의 위험이 있는 집단이다. 카페인과 알콜은 수면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적절하지 못한 수면은 학습몰입에 방해요소 이다. M군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의 간호학과 재학생 148명을 대상으로 알코올 및 카페인 섭취량, 수면, 학습몰입에 대해 자가보고방식의 설문을 수행하였다. 통계방법으로 일반적 특성에 대해서는 평균, 백분률을 산출하였고, 각각의 변수들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카페인 섭취량은 평균 $283.14{\pm}284.23$이였으며 알코올 섭취량은 평균 $339.19{\pm}620.09$이였다. 수면의 질 척도 점수 (PSQI Score)의 평균은 $5.24{\pm}3.02$이였으며 5점 초과인 대상자는 56명(37.8%), 5점 이하는 92명(62.2%)이었다. 카페인 섭취량과 수면 문제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r=.183, p=.026)였으며 7개의 항목 중 특히 총 밤 중 수면시간문제와 유의한 상관관계(r=.185, p=.025)가 나타났다. 카페인과 알코올의 과다 섭취는 수면 문제를 일으키게 되며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게 된다. 간호대학생의 경우 적정량의 카페인과 알코올 섭취를 위한 교육적 중재를 통한 신체적 뿐만이 아니라 정신적 건강 관리가 가능한 건강 전문인으로서의 양성이 필요하다.

  • PDF

가정의학 임상실습과정에 대한 구조화된 평가 (Structured Assessment to Evaluate a Family Medicine Clerkship Program)

  • 박은주;이상엽;임선주;윤소정;감비성;백선용;김윤진;우재석;이정규;정동욱;조영혜;이유현;탁영진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1호
    • /
    • pp.47-55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 3-week family medicine clerkship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taken by the students (N=127) and a structured interview with a focus group (n=10),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lerkship program. The online survey contained questions pertaining to goals, schedule, contents, arrangement, atmosphere, environment, evaluation, and satisfaction regarding the clerkship. The focus group interview addressed the schedule and achievements of the program. Scores were reported on a 5-point Likert scale. Most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overall quality of the clerkship. The structured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97.6% of the clerkship program was executed according to the schedule. The focus group reported a perfect score of 5 points on several measures including: accomplishment of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family medicine clerkship, providing many chances to obtain medical histories and perform physical examinations on real patients, experience with various symptoms and diseases, positive attitudes of faculty members when teaching, notification of the guidelines for evaluation beforehand, well-constructed and effective clerkship schedule, and reflection of student feedback. However, the focus group gave low scores on: support for health accidents of students, access to patient information, enough opportunities to practice clinical skills, appropriate rest facilities for students, and fairness of clerkship evaluation process. In conclusion, the structured evaluation performed after the 3-week clerkship program motivated students and helped them ensure an efficient clerkship. This structured evaluation also suggested basic data to make the professor who is subject of the assessment. This study shows that structured assessment is an effective method which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lerkships.

간호대학생의 두뇌 우성 사고 유형과 공감 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 and empathy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구상미;장우심;김래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57-16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두뇌 우성 사고 유형과 공감 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총 90명으로 이들에게 두뇌 우성 사고 유형 검사로 Herrmann의 BDI를 실시하였고, 공감 능력 검사는 박성희(2004)가 번안한 대인관계 반응지수(IRI)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Pearson 상관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두뇌우성사고 유형은 C사분면이 가장 많았으며. 두뇌우성유형과 공감 능력간의 관계는 C사분면(r=.38)과 D사분면(r=.5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었다. 전체 공감 능력은 D사분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뇌 우성 사고 유형에 따라 전체 공감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95, p<.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해 간호사 양성을 위한 이론 및 실습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권리옹호에 관한 실천적 인식연구 (A Study on Practical Recognition about Rights Advocacy of Social Workers in Disabled Welfare Centers)

  • 이세희;최윤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65-271
    • /
    • 2018
  • 최근 장애인복지관에서 권리옹호는 장애인복지의 패러다임이며 평가의 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권리옹호에 대한 명확한 개념 규정이 쉽지 않아 현장의 사회복지사 각자가 실천현장의 경험을 토대로 권리옹호에 대한 개념을 만들어 가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이 권리옹호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는 것은 권리옹호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매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메타포 분석법을 적용하였으며, 메타포 분석은 새로운 것에 대한 구체적 설명 즉, 은유의 근거를 제공하고 이후 그것을 분석함으로써 특정한 맥락과 상황에서 개인의 인식을 살펴보는 분석방법이다. 연구결과로는 사회복지사의 권리옹호에 대한 인식이 이념형(꼭 필요한 것)과 실천형(함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권리옹호가 현장에서 직접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하는 '실천적인 개념'으로 파악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권리옹호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이러한 인식을 반영하여 복지현장에서 권리옹호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환경과 정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권리옹호를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배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지 실습현장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성인애착과 자아분화가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tion on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정수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54-361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애착, 자아분화 및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성인애착과 자아분화 정도가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대전과 충청남도 4년제 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 중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총 200명을 설문조사하였고 최종 16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2 Windows program를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성인애착의 하위영역인 애착회피는 자아분화(r=-.240, p=.002), 임상수행능력(r=-.237, p=.002)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임상수행능력은 애착회피(r=-.237, p=.002)와 자아분화(r=.248,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요인은 자아분화(${\beta}=.203$, p=.008), 애착회피(${\beta}=-.188$, p=.0015)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8.4%(F=8.707,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들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수준을 파악하여 낮은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고 간호대학생들의 성인애착의 하위영역인 애착회피 정도를 낮추는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