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습교육

검색결과 2,378건 처리시간 0.027초

실습선 학생교육 기간에 따른 실습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I (A Study on Training Education Effect of Training Terms for Trainees in Training Ship- I)

  • 박영수;김종성;배병덕;이형기;이윤석;윤귀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88
    • /
    • 2005
  • 우리나라의 해양계열 대학교 실습선은 적절한 계획에 의하여 연안항해 및 원양항해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안항해 및 원양항해가 과연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교육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다. 이러한 교육효과에 대한 첫 번째 연구인 본 연구는 실습선 운항일정(운항기간)에 의하여 실습교육 효과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효율적인 실습교육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05학년도 1학기 한국해대 실습선 한바다호에 승선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습기간별 평가를 6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평가방법으로는 해기교육 평가와 관련한 3급 항해사 문제집에서 무작위로 선별하여 평가를 하였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학부의 학점이 우수한 학생들의 평가점수가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평가기간에 따라서는 원양항해실습이 종료된 직후의 평가점수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기간의 증가에 따라 각 개인의 능력차이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간호대학생의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 Integrat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Training and Outside School Clinical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 임세미;염영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00-10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에게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을 적용한 후의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의 차이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실습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20년 6월 8일부터 7월 3일까지 G시 소재 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이며,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받은 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을 적용한 후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정도가 교육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은 임상수행능력 향상과 더불어 비판적 사고 성향,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교외 임상실습 전 임상상황에 맞는 다양한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습선의 효율적 교육 인원 및 설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Efficient Educational Personnel and Facility in the Training Ship)

  • 노범석;강정구;김선규;박영수;김이남;김선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615-62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상선사관을 위한 실습선에서의 효율적으로 실습 가능한 적정실습인원 및 설비 개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상선해기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의 실습선에서 교육중인 실습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적정 교육 인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실습 면적을 포함한 교육 설비에 대한 전반적인 제원 조사를 실시하여 이번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준비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간공학에서 제시하는 공간개념을 도입하여 이번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기초 연구 자료와 개념을 통해서 항해통합콘솔 장치라는 항해 실습생을 위한 교육 설비와 기관실습생을 위한 설비인 기기 정비 운용 실습교육장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설비에서 교육 받을 수 있는 적정 인원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카데바 실습일지에 대한 내용분석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Journals for Cadaver Practice Experiences in Nursing Students)

  • 정추영;서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57-26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카데바 실습교육 일지를 이용하여 카데바 실습교육의 경험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6년 10월 26일부터 10월 28일까지이다. 연구 참여자는 D시 소재 D대학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으로 카데바 실습교육에 참여한 20명이다.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이 카데바 실습교육 기간 동안 매일 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용지에 익명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영역에서 8개 범주와 21개의 의미 있는 진술을 도출하였다. 카데바 실습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경험은 '불안', '몰입', '성찰'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불안' 영역에서는 '걱정됨', '두려움', '놀라움'이 포함되었으며, '몰입' 영역에서는 '흥미로움', '집중함', '알아감'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성찰' 영역에서는 '존엄', '감사' 등으로 범주화 되었다. 따라서 카데바 실습교육 전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지지와 불안 완화를 위해 상담 및 카데바 실습교육을 경험 한 선배와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카데바 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효과적 이러닝 실습전략을 위한 온라인 시뮬레이션 구현방법 및 학습활동 분류 (Classification of Online Simulation Content for Effective Engineering E-Learning Courses)

  • 황석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77-83
    • /
    • 2010
  • 공학교육에서의 이러닝 실습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온라인 시뮬레이션이 포함된 콘텐츠의 내용 구성방법과 완료된 콘텐츠의 활용방법이다. 공학분야에서 실습을 온라인으로 구현하려는 교수자는 실습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온라인 실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도록 다양한 학습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실습을 지도하는 교수자도 온라인 시뮬레이션의 효과를 담보하는 교수학습활동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즉, 공학교육의 모든 교수자는 이러닝 콘텐츠에서 온라인 실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어떠한 교수학습 활동 및 전략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실습의 개발 유형을 구분하며 이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활동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고 교수학습활동을 교육 이론과 비교, 검토하여 온라인 실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교수방법 및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CBT기반 연안여객선용 실습훈련 표준교안 개발 (A Development of Standard Practical Training Manual based on CBT for Costal Cruises in the Republic of Korea)

  • 정희수;장은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31
    • /
    • 2018
  • 본 연구팀은 2017년부터 CBT (Computer Based Training)기반 연안여객선 비상대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기존 여객선 교육 중 이론 파트를 프로그램으로 대체할 수 있다. CBT 프로그램으로 확보된 교육시간을 활용하여 기존의 체험형 훈련에서 탈피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실습교육으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대학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 현황과 발전방향 (Satifaction and Improvement of Clinical Experiment of Student Radiotechnologists)

  • 유광열;김현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4호
    • /
    • pp.303-310
    • /
    • 2006
  • 임상실습의 목표는 학생들이 유능한 방사선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technic)과 태도(attitude) 그리고 지식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기관이 갖추어야 할 교육시스템과 이를 운영할 임상교육 지도자가 확보되어야 한다. 임상기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평가하기 위해서 반드시 높은 수준의 교육 시스템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임상지도자들이 학생들을 전문가로 육성하고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육목표와 실습 수행 원칙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임상실습을 담당하는 지도자는 적어도 유능한 임상실습 지도자의 자질과 구조적이며 능동적인 실습교육의 피드백 특성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평가와 피드백에 필요한 적절한 시간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실습 학생의 능력을 평가한 후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임상실습지도자의 특성을 제시하고 실제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방사선과 임상실습 현황의 한 예를 실습생 설문을 통하여 파악하고 문제점과 개선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PDF

기계공학 실험실습교육 강화 - 부산대 기계공학부 (A Reinforced Laboratory Work Program in the Mechanical Engineering Education -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 이시복;황상문
    • 공학교육연구
    • /
    • 제3권1호
    • /
    • pp.73-83
    • /
    • 2000
  • 공학교육에 있어서 실험실습교육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그러나 국내 공학교육현장에서는 예산, 시설 및 인력 등의 이유로 해서 최근까지도 실험실습교육이 형식적이고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는 지난 몇 년간 국책사업 지원을 받아 실험실습교육 혁신을 추구하여, 정보화, 자동화 등의 다학제적 접근을 요구하는 기계공학의 발전 추세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 현장적응력을 갖춘 우수한 기계공학도를 효과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실험실습교육체계를 구축해왔다. 본 글에서는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실험실습 교육 강화 및 혁신 사례를 기계/전자/컴퓨터의 통합실험 실습, 실험분야의 계통화를 통한 체계적 운영 및 점진적 심화 교육, 대규모 교육 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 창의성 유도 실험실습 등을 중심 내용으로 기술하였다.

  • PDF

간호학생의 임상실습평가와 측정에 관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Issues in clinical evaluation tools to measure and evaluate nursing student clinical performance)

  • Kim, Hea-Sook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2-48
    • /
    • 1992
  • 이 연구는 현존해 있는 다양한 임상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분석 서술 연구이다. Rines(1974)에 의하면 평가는 학습경험을 통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평가의 목적은 교육증진을 도모하며, 목표를 설정하고, 학생의 학습진행과정을 사정하여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사정, 개발시키는데 있다고 피력 하였다. 간호교육에는 실무교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많은 간호교육자들은 실습평가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경첩하고 있다. 이러한 난해한 실습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된 우선순위로써 현존해 있는 다양한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 의의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이 논문은 실습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심을 가진 임상지도교수나 간호교육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연구이다. 우선 간호교육평가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평가도구에 대한 전문가(Authority)의 의견을 피력한 다음 저자의 의견을 서술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개발된 완전한 임상실습평가의 방법은 없다. 그러므로 현존해 있는 평가방법을 서술평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므로써 질적인 평가도구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으로 간호교육자들이 각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교육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 PDF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기본간호 실습교육 효과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 of Web-based Nursing Education contents o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 엄미란;서연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97-105
    • /
    • 2017
  • 본 연구는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기본간호 실습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M시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6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시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적용한 실험군의 학습동기(t=5.44, p<.001), 실습만족도(t=6.98, p<.001),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p<.001)이 대조군 보다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학습은 두군 간의 차이가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하여 기본간호 실습교육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의 역량강화를 위해 기본간호 실습교육과정에 웹기반 콘텐츠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