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공간 디자인 요소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8초

울산광역시 공공시설 실내디자인의 환경친화적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s Shown in Interior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 Ulsan)

  • 정지향;이규백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395-404
    • /
    • 2003
  • 오늘날의 인류는 인위적 환경에 현실적으로 적응하고 있는 동시에, 자연환경으로의 복귀를 지향하려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실내공간에서의 자연과 인간 그리고 공간이 온전한 공존관계를 유지하여 비자연성, 비인간화를 극복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 교감하며 풍요로와질 수 있는 공간 조성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실내공간에 있어서 환경친화적인 표현을 실내공간에 자연요소로 도입하는 방안과 인간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물 또는 질서 있는 변화를 가진 아름다운 형태를 인위적인 디자인 형태로 표현하는 방안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환경친화적인 특성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환경친화의 개념과 발달 과정을 정의해 보고, 실내공간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 환경친화적인 표현의 특성 중 자연요소 도입과 디자인적인 형태 표현으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연구분석의 사례로는 많은 사람을 수용하는 울산광역시 공공시설의 실내공간으로 제안하였다. 환경친화적인 공간의 형성은 아름답고 쾌적한 생활공간 조성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관련 연구가 더욱더 활성화, 전문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내공간에서의 자연적 요소와 디자인적 형태의 표현이 폭넓은 이해와 심도 있는 연구로 병행될 때 바람직한 환경친화적인 표현이 창출될 것으로 본다.

  • PDF

서비스 디자인 개념에 기초한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연구 (A Study on Interior Design of Compound Bookstore Based on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 판잉잉;김명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7-108
    • /
    • 2020
  • '1+N'은 현재 복합형 서점의 경영 모드이다. 본 연구는 우선 고객의 기본적 상황과 수요를 조사하였고, 서점 내의 10가지 공간 중 고객의 4가지 기본적 행위를 검토하였다. 다음 서비스 디자인의 3가지 연구 도구와 실내 디자인의 3가지 디자인 요소를 상대적으로 대응하여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기본 분석 프레임'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사례와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기본 분석 프레임'과 결합하여, 고객과 서점이 상호작용하는 자세한 프로세스, 터치포인트와 실내 디자인 프로젝트를 찾아냈다. 디자인 맹점을 찾아 상응하는 해결책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디자인 개념에 기초한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연구 모델'을 제안하였다. 여기에는 복잡한 공간의 실내를 디자인할 때 주목해야할 요소 및 각 요소 간의 뚜렷한 연관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합형 서점 실내 기능 구역의 디자인 내용과 서비스 품질검사, 디자인의 공백점을 찾을 수 있다.

언어성에서 본 포스트모더니즘 실내디자인의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Post-Modernism Interior Design inAttri Language bute)

  • 이춘섭
    • 디자인학연구
    • /
    • 18호
    • /
    • pp.15-23
    • /
    • 1996
  • 실내 공간은 공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질료로서 결정되는 허공간으로 이 공간이 쓰임새가 가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실내가 형성하는 공간의 추상성과 각 요소들이 연합하여 하나의 공간을 이루는 특이성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표현되는 어휘와 상징체계는 다분히 전체성의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의 실내를 언어의 과학성을 기초로 하여 상징체계를 전체성으로 분석함에 있다. 내용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제 1장에서는 서론 부분, 제 2장에서는 실내디자인의 특징, 제 3에서는 어휘와 코드의 정의, 어휘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과 포스트모더니즘 실내를 성격 짓는 언어학적 은유의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제 4장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실내디자인의 일반적인 특성과 이 특징을 이루고 있는 실내요소들 중에 근간을 이루는 전통성과 장식성 대중성을 이루는 데 필요한 실내 어휘들의 언어 성을 어휘, 코드, 은유를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끝으로 제 5장에서는 찰스 젱크스(Charles Jencks)의 시 메틱 하우스(Thematic House)서재 실내 공간을 하나의 모델로 선정하여 언어학적 분석하였다.

  • PDF

감성적 경험을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Interior Design of Fully Autonomous Vehicle for Emotional Experience: Focused on Consumer's Consciousness toward In-Vehicle Activity)

  • 권주영;주다영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17-34
    • /
    • 2018
  • 스스로 완벽하게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시대가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자동차 산업은 1800년대 후반에 자동차가 탄생한 이래 큰 변화를 꾀해야 할 중대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의 개념을 넘어 생활공간으로 정의되어지며, 앞으로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큰 변화가 나타나게 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으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에 대한 기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공간이라는 개념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근본적인 디자인 요소인 실내행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소비자들은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내에서 '수면 및 휴식', 'TV 및 영화 시청', '음악감상' 등 개인 중심 행위 중에서도 휴식 및 감상 활동과 관련된 실내행위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니즈(needs)를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한 선도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중요도평가를 통한 공공도서관 디지털공간 계획요소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Space planning Elements through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 임은영;황연숙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33-149
    • /
    • 2016
  • 2000년 공공도서관에 대한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디지털자료 전용공간이 대다수의 도서관에 마련되었지만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인해 이용자의 다양한 행위를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디지털공간의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문헌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디지털 세대 이용자의 새로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정보활동 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요도 평가를 위하여 1차적으로 각 기관의 도서관 기준 및 평가지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50개의 요소가 도출되었고 이를 이용자 150명에게 설문조사 하였다. 중요도의 평균값 이상 도출된 요소를 중심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슷한 성격의 요소들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요인별 공간계획요소를 분류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계획적요인, 디자인적요인, 심리적요인, 기술적요인 총 4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요인별 디지털공간계획요소들을 평가도구로 하여 차후 공공도서관 공간평가와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서 구체적인 공간계획방안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실내공간 디자인 요소가 가로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피맛골의 야간 경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sign Elements of Interior Space on Streetscape - Focused on Pimatgol -)

  • 이철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215-222
    • /
    • 2004
  • Buildings' outward appearances, sidewalks, and street lights have long been regarded as important factors identifying the street landscape of a city. On the other hand, the interior spaces of a building have been known to have less correlation with street landscape. This paper, which did not use standardized urban street landscape application methods, attempts, based on an experiment involving Pimatgol, to prove that small changes in interior design influence the street landscapes of cities and even provide new vigorousness. Pimatgol is a type of village that still possesses a traditional Korean lyrical atmosphere. This paper also attempts to, with the use of a physical model and a digital simulation of small changes interior design, such as changes in materials, size of the opening, location of furniture, or a change of lights, uncover positive changes in street landscape. Computer simulation is one of the extraordinarily useful techniques to predict lighting performance, changing interior space and present visual image. As a result, this study can be a valuable guideline for the future streetscape reform project to lead the demanding effects of the interior space.

실내디자인 교육의 공간구성 수업사례 (A Case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in Interior Design Program)

  • 김혜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53-254
    • /
    • 2005
  • Space Composition should be understood an aesthetic cognition about the basis of space in different points of view. It establishes the prescribed environment of space through the hypothesis of given geometrical object. Therefore, it makes understand the cause of space composition and conceive the consistency of various elements, orders, norms and forms of space composition, Through this study, the students may build up scenarios-form the beginning to the climax of space -, directions and full stories about the space.

  • PDF

실내공간 개념 변화에 따른 자동차 차체형상의 변화 (A Change of the Body Shape due to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the interior Space on a Vehicle)

  • 구상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409-416
    • /
    • 2002
  • 자동차에서 실내공간 비중의 점진적 증대는 오늘에 이르러 자동차 차체 디자인의 조형개념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것은 차량의 차체 크기나 엔진의 배기량에 관계없이 차체에서 승객을 위한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캐빈(cabin)의 크기가 가장 높은 비중을 가지게 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에 따라 차체에서 실내공간을 이루는 캐빈의 비례는 차체의 다른 부분의 비례와 함께 변화되고 있다. 캐빈 이외의 공간은 차량을 구성하는 기구적 요소들을 위한 공간과 화물 수송 목적의 공간이다. 캐빈의 비례가 변화된다는 것은 종합적으로 탑승자의 공간 비중과 기구적 요소의 비례 관계가 변화됨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차체에서의 공간개념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현재의 차량은 과거의 차량에서 단순한 외형적 스타일만이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공간 확보를 위한 차체의 구조와 형태가 차량의 운전공간과 탑승공간의 확보를 위해 변화되고 있으며, 이것은 향후의 차체 스타일에서 새로운 변화로써 나타나게될 것으로 보인다.

  • PDF

대도시적 인테리어 디자인 - 도시분야로서의 인테리어디자인 - (METROPOLITAN INTERIOR - Interior Design as Urban Discipline -)

  • Bruno, Marco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00-108
    • /
    • 2004
  • 인테리어 디자인학은 보편적으로 건물의 내부공간, 즉 매우 명확한 경계들을 전제로 잘 정의된 공간들에 관한 연구로 그 범위가 제한되어져 왔다. 따라서 건축, 도시, 또는 매우 광대한 의미에서의 환경디자인의 특권으로 알려져 있는 도시에 관한 쟁점을 그다지 자주 다루지 않는 편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극도로 고밀도화된 현대의 대도시들은 주요 지하 교통망을 중심으로 상업, 유흥, 업무시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주거단지에 까지 쉽게 연결되는 거대한양의 전이 실내공간들을 창출해내고 있다. 이것이 최근 홍콩의 건축가 게리 챙(Gary Chang)에 의해서 규정된 새로운 개념의 고밀도 도시 인테리어 랜드스케이프(interior landscape)인 것이다. 이러한 인테리어스케이프의 개념은 현대 도시의 모습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개념들 중의하나라 할 수 있는데 다양한 요소들이 혼합된 그 특성은 이제 사회학, 건축, 인류학, 도시탐험, 인테리어 디자인, 도시 그리고 환경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뜨거운 논쟁의 주제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이제 도시에 관한 연구는 더 이상 외부에서 내부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고, 내부에서부터 출발되는 것이다. 극도로 밀집된 아시아의 대도시들은 이렇게 혼잡한 도시환경의 모든 요인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흥미로운 상황들을 제공해 주고 있다. 상업적 목적으로 건물 전체를 사용하는 수직적 전략이나 다양한 문화적 행태들은 도시 환경의 '혼잡성'을 그냥 참을만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도시만의 매력적 요소로 부각시켜 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인테리어스케이프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이론적 논쟁들의 분석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장소성의 부재'의 개념, 혼잡의 문화, 공공공간의 사유화, 결절도시, 한계의 개념들을 분석하여 아시아 대도시들이 어떻게 이러한 쟁점들을 그들 자신만의 고유한 해결책으로 발전시키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서울을 사례분석 중 하나로 사용하여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의 경계를 대도시로 확장하는 동시에 새로운 적용영역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