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공간구조

Search Result 32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K-Anonymity using Hierarchical Structure in Indoor Space (실내공간에서 계층 구조를 이용한 K-익명화)

  • Kim, Joon-Seok;Li, Ki-Joun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4
    • /
    • pp.93-101
    • /
    • 2012
  • Due to complexity of indoor space, the demand of Location Based Services (LBS) in indoor space is increasing as well as outdoor. However, it includes privacy problems of exposing personal location. Location K-anonymity technology is a method to solve the privacy problems with cloaking their locations by Anonymized Spatial Region(ASR). It guarantees K users within a region containing the location of a given user. However previous researches have dealt the problems based on Euclidean distance in outdoor space, and cannot be applied in indoor space where there are constraints of movement such as walls. For this reason, we propose in this paper a K-anonymity for cloaking indoor location in consideration of structures and representation of indoor space. The basic concept of our approach is to introduce a hierarchical structure as ASR for including K-1 users for cloaking their locations. We also proposed a cost model by K and attributes of hierarchical structure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Using a Spatial Database for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s (실내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공간데이터베이스 활용기법)

  • Cho, Yong-Joo;Kim, Hye-Young;Jun,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319-320
    • /
    • 2009
  • 실내 공간 용용기술의 핵심은 3차원 실내공간데이터의 모델링 기법과 이와 연동 가능한 센서기술이다. 하지만 아직은 실내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측위기술 및 공간데이터에 대한 표준과 활용방안이 제한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위치기반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간단한 공간 DBMS 기반의 3차원 실내 공간 데이터 모델의 구축방법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델은 2차원 기반의 multi-layer 구조를 가지며, 2차원 및 3차원으로 가시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시한 3차원 실내 공간 모델의 실내 기반 서비스로의 적용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CA(Cellular Automata)기반의 대피 시뮬레이터와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그리고 실내센서(카메라)와의 연동 등 몇 가지 응용분야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 PDF

An Enhanced Indoor Pedestrian Model Incorporating the Visibility (가시성을 포함한 개선된 실내 보행자 모델)

  • Kwak, Su-Yeong;Nam, Hyun-Woo;Jun,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42-49
    • /
    • 2010
  • 현재 대규모 실내공간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화재대피시스템과 같은 실시간 실내 응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학문적 연구 또는 상업용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화재모델이내 보행자 모델은 대부분 2D 기반의 CAD와 같은 파일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가상데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실내 센서 등을 이용한 실시간 시스템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문제점들이 해결되어야 한다. 우선, 실내공간의 의미 있는 관계정보를 포함하는 위상적인 3D 모델이 필요하다. 또한, 실내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의 이동을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안내를 위해서는 실내데이터 구축에 공간 DBMS를 이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보행자 모델에서 두 가지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는, 간단한 3D 실내 모델구축과 공간 DBMS와 연계된 보행자 시뮬레이터를 구현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둘째는, 보행자의 가시성(visibility)에 대한 영향이 반영된, 개선된 floor field 모델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캠퍼스 건물에 적용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 PDF

An Indoor Space Representation Method Using 3D Environmental Data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실내 공간 표현 기법)

  • Lee, Se-Ho;Jeong, Seong-Gyun;Chung, Tae-Young;Kim,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417-4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실내 공간 표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3차원 데이터의 획득과 실내 구조 및 영상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표현 복원으로 구성된다. 3차원 데이터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laser range finder, LRF)와 전방향(omni)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포인트 클라우드 공간 정보와 전방향 텍스쳐 영상으로 구성된다. 실내 구조를 복원하기 위해, 획득한 포인트 클라우드를 복셀 격자 기반의 샘플링 기법을 통해 균일화하고 포아송 표면 재구성(Poisson surface rocoostruction) 기법을 통해 3차원 메쉬를 생성한다. 그리고 전방향 텍스쳐 영상과 3차원 메쉬외 기하학적 관계를 이용한 텍스쳐 매핑 기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3차원 메쉬 표면을 복원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실내 공간을 효과적으로 표현함을 확인한다.

  • PDF

A Study of Subspacing Strategy for Service Applications in Indoor Space (실내공간 응용 서비스를 위한 공간분할 방법에 관한 연구)

  • Kang, Hye Young;Jung, Hyo-jin;Lee, Ji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3
    • /
    • pp.113-122
    • /
    • 2015
  • Recently, according to developing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ies, buildings has been enlarged such as high-rise buildings or complex buildings associated with underground facilities. The number of indoor activity population has increased very quickly. Because of that, technical requirements for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 (Indoor LBS) also have been increased. Although indoor networks have to be constructed for efficient LBSs in indoor space based on OGC IndoorGML, it is not suitable for large and complex space to apply the simple network structure to constructing indoor navigation networks. The indoor navigation network has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logical, physical, and functional constraints for indoor space. In order to do that, subspacing methods are required to partition large and complex indoor space into proper size of subspace.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basic requirements of subspacing in indoor space for creating efficient indoor network, as well the work process of subspacing in indoor space.

Using a Spatial Databases for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s (실내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공간데이터베이스 활용기법)

  • Cho, Yong-Joo;Kim, Hye-Young;Jun, Chul-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1
    • /
    • pp.157-166
    • /
    • 2009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ubiquitous-related research and applications. Among them, GPS-based LB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ctively.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large size buildings and disastrous events, indoor spaces are getting attention and related research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Core technologies regarding indoor applications may include 3D indoor data modeling and localization sensor techniques that can integrate with indoor data. However, these technologies have not been standardized and established enough to be applied to indoor implementation.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build a relatively simple 3D indoor data modeling technique that can be applied to indoor location based applications. The proposed model takes the form of 2D-based multi-layered structure and has capability for 2D and 3D visualization. We tested three prototype applications using the proposed model; CA(cellular automata)-based 3D evacuation simulation, network-based routing, and indoor moving objects tracking using a stereo camera.

  • PDF

Measurement Examination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 in accordance with Heat Loads from Occupant for Large Enclosure in Winter (인체부하를 고려한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동계 온열환경 특성 실측조사)

  • Seok, Ho-Tae;Chae, Mun-Byoung;Choi, Dong-Ho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7 no.3 s.25
    • /
    • pp.97-10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from large enclosures in connection with heating condition and outdoor environment. This study has measured indoor thermal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heat loads from occupant for large enclosures in winter. We examined indoor thermal environment of the large enclosures in this study which include temperature distribution vertical, horizontal, seat and surface and thermal comfort environment.

  • PDF

Implementation of GoogleEarth Indoor Moving Object Realtime Display System and Related Indoor Environmental (GoogleEarth상 실내 공간 구현 및 실내 이동객체 실시간 가시화)

  • Moon, Chan-Seung;Song, Yong-Su;Li, Ki-Jou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65-266
    • /
    • 2009
  • 구글 어스(Google Earth)란 도구는 인공위성에서 찍은 사진들을 바탕을 3차원 지구 타원체에 바탕에 입힌 도구이다. 이 도구는 3차원 공간에서 OpenAPI등을 이용하여 3차원객체를 지구 타원체상에 구현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주요 건축물을 구현하거나 실외 이동객체(자동차, 비행기 등)를 구현하여 더욱더 지구와 가까운 모형으로 구현을 해 왔다. 하지만 공간 정보란 것은 실외 공간정보만이 아닌 건물의 내부 구조나 쇼핑몰상의 유동 인구의 움직임등과 같은 정보도 존재한다. 이 연구는 구글 어스 상에서 내부 구조를 가진 건물을 구축하고 이곳을 탐색할 수 있게 해 주며 또한 실내 이동 객체들의 실시간 움직임을 구현한다.

  • PDF

Noise and Rooms Acoustic Control in Multi-Purpose Space (다목적 공간의 소음 및 실내음향 제어)

  • Jeong, Jeong-Ho;Kim, Jung-Joong;Cho, Cha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04a
    • /
    • pp.42-45
    • /
    • 2008
  • 다목적 공간 및 공연장은 공연 또는 강연을 위한 공간뿐만 아니라 상점, 식당 및 체육 공간 등 다양한 용도의 공간이 인접되고 있다. 다양한 공간이 인접할 경우 기존의 다목적 공연장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던 다양한 소음 진동 문제들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강연 및 공연을 위한 다목적 공간 상부에 식당 및 체육 시설로 활용되는 공간이 배치되어 바닥충격음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바닥충격음의 강당으로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기본 구조체에 대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측정하여 적절한 저감 대책을 수립하였다. 저감대책으로는 상층부 철골 슬래브와 강당의 철골 구조의 구조적 분리, 유연한 마감재 적용, 슬래브로의 충격진동 차단을 위한 제진재 적용, 이중천장 구조 및 천장내부 흡음구조 형성 등의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였다. 또한 강당 공간은 강연 및 집회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절한 잔향시간 및 음성 명료도 확보가 필요하다. 플러터 에코, 과도한 잔향시간, 음의 사각지대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측벽 형태 개선, 천장 반사판 형태를 개선하였다. 또한 측벽에서 진동 등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떨림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측벽 내부를 흡음재로 충전하는 등의 대책을 수립하여 적용하였다.

  • PDF

An Image Blending Method for 3D Indoor Space Representation (3차원 실내공간 표현을 위한 영상 혼합 기법)

  • Lee, Jaehan;Kim, Han-Ul;Kim,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544-545
    • /
    • 2015
  • 본 논문은 실내 공간을 촬영한 다수의 텍스쳐 영상이 존재 할 때, 영상혼합을 통해 실내 공간 표현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실내 공간을 메쉬로 표현하기 위해 건물 구조에 대응하는 평면을 포인트 클라우드로부터 추출하여 대응하는 메쉬를 생성한다. 메쉬의 각 면에 대해 좌표계 변환을 통하여 사영 가능한 텍스쳐 영상들을 판별한다. 판별된 텍스쳐 영상들에 대해 거리와 방향요소를 고려하여 영상혼합 가중치를 결정한 뒤, 가중치에 따라 영상을 혼합하여 최종적인 텍스쳐로 이용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더 좋은 화질로 실내공간을 표현함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