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과교과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41초

한국 가정과교육 연구 논문 분석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mics Education Research)

  • 윤인경;이정규;김성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5-71
    • /
    • 2005
  • 이 연구는 가정과 교육과 관련 논문을 게재하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와 한국실과교육학회지를 종합하여 가정과 교과교육과 관련된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과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최근의 가정과 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가정학의 발전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학회지 발행 현황과 게재된 가정교육과 관련된 논문의 분량에서는 실과교육학회지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같이 양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한가정학회지에는 그 반대이다. 연구 영역별 분포와 시대별 변천은 교수$\cdot$학습 방법 및 교재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연구 주제 단원이나 영역은 가정교육과 관련된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연구 유형은 대부분이 조사연구로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 집단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대상자 구성이 다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규모는 학회지별로 규모에 차이가 맡았으며, 대상 지역은 1개 지역이 절반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자의 구성은 2인 경우는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학교 및 연구기관별 게재 현황은 중$\cdot$고등학교가 가장 맡았다. 연구비 수혜 상황은 대체로 낮았으며, 참고문헌의 종류는 국.내외 모든 논문을 제시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참고문헌의 수도 학회지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PDF

수행평가 처리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ing System)

  • 설문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232-240
    • /
    • 2001
  • 본 논문은 수행평가의 이론적인 조사와 평가 유형을 검토하고 퍼지이론을 이용한 수행평가처리시스템 모델을 구성하고 설계한 평가처리시스템의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이 수행평가처리시스템을 가지고 현재 초등학교 실과교과단원의 수행평가유형을 적용하여 처리한 결과를 도식으로 제시하였다.

  • PDF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 목공일하기 단원의 지동방법 및 표준 시간에 관한 연구 (Time and motion study on the woodworking unit of practical art in the primary school)

  • 김삼진;김채복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고려대학교, 서울; 26 Oct. 1996
    • /
    • pp.13-16
    • /
    • 1996
  • This paper addresses the time and motion study on the woodworking in the primary school. Time study by stopwatch is performed for calculating the standard tie of woodworking. The operator process chart is developed for better illustration and teaching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ood guideline for woman teachers or beginers(teachers), as well as to provide how much time units are adequate for a special woodworking unit of practice art.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very much and it is very useful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 PDF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on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 김종복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7-11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elementary school on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of an elementary school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safety education and must prevent an accident to be able to happen during a class of a practical course previously. Safety education has further an interest on subject of practical arts of practice and must induce an aggressive interest of teachers in order to be able to prevent an accident previously. As the above results, to rais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ways to induce teachers' active interest in safety education and help them experience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at teacher training centers.

초등 실과 교과서 분석 연구 -6차 교육과정 중심- (Textbook Analysis on Practical Arts for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6th curriculum-)

  • 최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30
    • /
    • 1997
  •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extbook content on practical arts for the 6th curriculum, to grasp the content problems and to propose the strategy of reformation to be satisfied with consumer better than supplier. The data collected from 196 elemantary school teachers who lived in Gyungsang-namdo and analized by SPSS/PC(sup)+ package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analysis were frequency, descriptives, validity, t-test, oneway ANOVA.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1. The textbooks on practical arts for 3rd, 4th, 5th and 6th grades showed unbalanced division for picture, figure, table unite and evaluation type of all units doesn’t show diversity. 2. The validity of textbook contents on practical art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r 3rd grade textbook and the lowest for 6th grade one. Among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differentiation with other subject’and ‘usefulness of living’showed high scores, wheres ‘fitness of child level’marked lowest scor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alidity contents of teachers based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 PDF

중등학교에서 로봇이용교육 활성화 방안 (A Reactivation Methods of Robot Using Educ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 마숙희;노영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7-510
    • /
    • 2009
  • 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로봇에 대한 내용이 교과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각 기관의 영재 교육 기관에서도 로봇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로봇 이용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도 향상과 창의력 향상에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학교에서 방과 후 교육에서 로봇교육을 일부 많이 실시하고 있지만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이용 교육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에는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가 남학생에 비해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 이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위한 기초 연구로 중등학생의 로봇이용교육의 실태를 분석한다. 특히 여학생들의 로봇 이용 교육에 대한 실태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Computing Curricula 2020에 기반한 국내 초·중등 정보 교육과정 내용 요소 분석 (Analysis of Primary and Secondary Informatics Curriculum Content Components Based on Computing Curricula 2020)

  • 정재리;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233-23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Computing Curricula 2020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식 요소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실과와 중학교 정보 교과의 내용 요소의 변화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총 5개의 지식 요소를 포함하였고, '컴퓨팅 시스템 기초', '디지털 디자인'과 관련한 내용 요소가 추가되었다. 중학교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총 11개의 지식 요소를 포함하였고, '운영체제', '지능 시스템(AI)'과 관련한 내용 요소가 추가되었다. 그 중 내용 요소의 비율이 크게 변화한 영역은 '소프트웨어 설계',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과 복잡도', '운영체제', '지능 시스템(AI)' 등이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하지 못한 고등학교 정보과의 내용 요소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 PDF

가정교과에서 '생활과 연계된' 생애 관점의 진로교육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ife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cross the life span)

  • 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3-1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과에서 진로교육은 어떻게 자리매김 되어 왔으며, "진로와 직업" 과목과의 공통점과 상이점의 검토를 통해, 가정교과에서 진로교육의 정체성을 밝히고, 이러한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대안적 진로교육 교수 학습 전략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07 및 2009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해 집필된 중학교 1-3학년 가정과 교과서 각각 7권씩 21권과 진로와 직업 교과서 1권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육과정과 가정과 관련 학회지를 분석한 결과, 가정과에서의 진로교육은 가정교과의 중요한 한 영역으로서 자리매김 되고 있었다. 둘째, 가정교과와 "진로와 직업" 과목에서 다루는 진로교육의 내용은 자신의 이해, 진로탐색, 진로의사결정, 진로계획 수립 및 진로라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교육내용을 다루는 관점과 구체적 내용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진로와 직업" 과목에서는 '직업과 연계된' 진로(vacational career) 개념의 진로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가정교과에서는 가정생활, 직업생활, 지역생활을 고려하면서, 직업에 한정하지 않고 '생활과 연계된' 진로(life career) 개념의 진로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셋째, 파악된 가정교과에서의 진로교육의 정체성을 살린 대안적 교수 학습 전략을 제안했다.

  • PDF

로봇기반 교과연계 SW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Robot-based Subject-related SW Education Program)

  • 김봉섭;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87-98
    • /
    • 2020
  • 세계적으로 SW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SW교육을 의무화하며 이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실과 영역에서 연간 17시간 이상의 교육만으로는 큰 효과를 거두기 어렵기에 본 연구에서는 다른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한 로봇기반의 SW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SW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미래 역량을 신장할 수 있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핵심요소로 선정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사전평가와 사후평가 결과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봇기반의 교과연계 SW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는 사실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실시한 자유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이 SW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웹 기반 교수-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Instruction)

  • 구병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1-3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웹 기반 교수-학습방법이 전통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비해 학생의 학업성취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가를 메타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분석대상의 85%가량은 웹 기반 교수-학습방법이 전통적인 교수-학습방법보다 학업성취에 효과가 뚜렷하였다. 둘째, 학교 급별에 따른 웹 기반 교수-학습의 학업성취 효과크기는 초등학교 학생과 대학생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실시 교과목에 따라서는 사회와 실과 교과가 다른 교과목에 비하여 웹 기반 교수-학습의 효과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연구를 통해 그동안 선행된 많은 웹 기반 교수-학습과 관련된 개별연구들의 각기 다른 학업성취 효과에 메타 분석을 적용하여 보다 개선된 결과를 얻었으며, 또한 이 분야의 후속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