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축

Search Result 1,49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ffects on the nylon6 elastic fabric according to weaving, dyeing and finishing condition (제직 및 염색가공 조건이 나일론6 신축직물에 미치는 영향)

  • Son, Hyun-Sik;Sim, Seong-Bum;Choi,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112-112
    • /
    • 2012
  • 스포츠웨어 중 바람막이제품의 용도에 사용되는 소재는 폴리에스터와 폴리아미드 소재가 주류이며, 그 중에서 고품격의 바람막이 제품에 대해서는 주로 나일론6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 소비자들은 삶의 질 향상과 야외활동의 증가로 인해 제품의 경량화, 안락한 착용감, 고기능성 등을 동시에 겸비한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발맞추어 국내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 나일론6 소재를 이용하여 제품화 간계에서 경량감과 신축성이 발현될 수 있는 나일론6 소재의 경량 신축직물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물 단계에서의 경량감과 신축성이 발현될 수 있는 나일론6 소재 신축직물을 개발하기 위해 공중합 나일론6 폴리머와 일반 나일론6 폴리머를 복합방사 설비를 이용하여 side by side POY 26d/6f의 원사를 제조한 후 가연공정을 거쳐 개발된 DTY 20/6f 가연사를 직물 설계 시 위사방향으로 적용하여 제직을 실시하였다. 직물 설계 조건은 기존 T사에서 생산중인 나일론 DTY 20d/7f을 경사로, 개발 소재인 DTY 20/6f을 위사에 적용하였으며, 제직 시 경사밀도 2가지, 위사밀도 2가지로 설계하였으며, 조직의 변화에 따른 신축특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평직, Rib. 도비직으로 제직하였고, 이렇게 제조된 직물에 대해 전처리, 염색, 후가공, 코팅가공 공정 조건별로 테스트를 진행한 후, 신축성발현을 위한 최적 공정조건 확보를 위한 공정별 직물의 신축성 변화분석과 최적 공정을 통해 개발한 최종 직물에 대한 신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테스트 결과, 제직 조건별로는 경사밀도와 위사밀도가 낮은 경우가 원단 내 수축이 더욱 많이 발생함으로써, 신축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조직별로는 평직, Rib. 도비직 순서로 신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정별 신축성 변화분석 결과, 염색 시 가장 신축성 발현이 두드러지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처리는 일반 연속식 전처리 보다 CPB 전처리 공정이 이후 염색가공 및 코팅을 통해 제조된 직물의 신축성 향상 및 표면 평활성에 높은 기여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조건에 서 얻어진 최적 공정 조건으로 제조된 최종 코팅직물의 경우에 22% 정도의 신축성이 나타나 개발 소재의 신축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Waterproofing Performance of Expansion Equipment for Underground Structures (지하구조물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성능에 관한 실험연구)

  • Lee, Young-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9
    • /
    • pp.4302-4309
    • /
    • 2012
  • Underground structures without the expansion joint in the settled intervals, the underground structures may suffer from structural crack and the water leakage thereby resulting in the occurance of the efflorescence.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new expansion joint used in underground structures were verified. The spacing of expansion joint was defined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Expansion length, resistance and waterproofing performance of developed expansion joint were confirmed by experiment.

Stretchable Electrode using Silver Nanowire (은 나노와이어를 사용한 스트레처블 전극 연구)

  • Choe, Ju-Yeon;Jeong, Seong-Hun;Kim, Hyo-Jeong;Kim, Do-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49.1-49.1
    • /
    • 2018
  • 신축성 디바이스는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고 형태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신축성 디바이스의 핵심인 신축 전극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물결무늬나 코일 형태의 금속 전극, 탄소 소재를 사용한 전극, 하이드로젤 전극 등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공정과정이 복잡하거나, 변형시 전기적 저항 변화가 크다. 또한 단일 소재를 활용한 신축성 전극은 물질적인 한계로 인하여 신축성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신축 전극에 많이 사용되는 은 나노와이어는 용액에 분산되어 있어 공정이 쉽고, 좋은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소재이다. 은 나노와이어는 네트워크 형태로 얽혀있어 신축성 있는 배선의 재료로써 좋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은 나노 와이어만 사용하여 제작한 배선은 늘렸을 때 나노와이어들 간의 접촉 불량으로 저항이 증가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배선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 나노소재 간 전기적 접촉을 향상시키기 위해 은 나노와이어와 은 나노입자를 섞어 하이브리드 잉크를 제작하여 전극을 형성했다. 하이브리드 잉크로 제작한 전극을 신축성 있는 고분자에 함입하여 신축률에 따른 저항을 평가했다. $175^{\circ}C$에서 열처리한 전극을 5% 늘렸을 때, 단일 소재인 은 나노와이어나 은 나노입자만을 사용한 경우는 전극이 끊어지거나 저항이 175%나 증가했지만, 하이브리드 잉크를 사용했을 때는 16.5% 증가했다.

  • PDF

Mechan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Stretchable Hybrid Substrate using PDMS and Ecoflex Material (PDMS-Ecoflex 하이브리드 소재를 이용한 투명 신축성 기판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

  • Lee, Won Jae;Park, So-Yeon;Nam, Hyun Jin;Choa, Sung-Hoon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5 no.4
    • /
    • pp.129-135
    • /
    • 2018
  • In the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s, the stretchable substrate is a very essential material which determines the stretchability, performances and durability of the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s. In particular, the current stretchable materials have hysteresis making difficult to used as sensor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PDMS-Ecoflex hybrid stretchable substrate mixed with PDMS and Ecoflex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stretchability and improve hysteresis characteristics. Mechanical behavior of the hybrid substrate was evaluated using a tensile test, and optical transmittance of the hybrid substrate was also measured. As the content of Ecoflex increases, the PDMS-Ecoflex hybrid substrate becomes more flexible, and the elastic modulus decreases. In addition, the PDMS substrate failed a tensile strain of 270%, while the PDMS-Ecoflex hybrid substrate did not fail even at 500% strain indicating excellent stretchability. In the repeated tensile test, the hybrid substrate with 2:1 mixing ratio of PDMS and Ecoflex showed hysteresi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hybrid substrate with the mixing ratio of 1:1, hysteresis did not occur at a strain of 50% and 100%. Hence, we developed a stretchable substrate with over 150% stretchability and no hysteresis characteristics.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the Ecoflex substrate was 68.6%, whereas the transmittances of the hybrid substrate with mixing ratio of 2:1 and 1:1 were 78.6% and 75.4%,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DMS-Ecoflex hybrid substrate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a transparent stretchable substrate.

Sensitivity Analysis of a Bellows Expansion Joint subjected to Monotonic Loading Due to Structural Uncertainty (단조하중을 받는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구조적 불확실성에 의한 민감도 분석)

  • Son, Hoyoung;Lee, Jong-Ryun;Jeon, Bub-Gyu;Ju, Bu-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305-306
    • /
    • 2023
  • 지반 침하 및 액상화 등에 따른 과도한 상대변위로 인한 매립배관 시스템의 손상을 저감시키기 위해 종종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은 사용된다.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성형과정에서 회선의 벽두께 감소와 같은 구조적인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벽두께 감소는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매립배관 시스템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회선의 벽두께 감소에 의한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성능평가는 필요하다. 하지만 회선의 벽두께 감소가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초적인 연구로써 고충실도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단조하중을 받는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벽두께 감소에 의한 성능을 평가하고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회선의 벽두께 감소를 20%로 적용하였을 때 최대하중은 약 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번 회선의 벽두께 감소가 최대하중 감소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Static Behavior of Bridge Expansion Joints Due to the Wheel Load (윤하중 재하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의 정적거동)

  • Kim, Youngjin;Kwak, Imjong;Cho, Changbaek;Yoon, Hyej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A
    • /
    • pp.357-366
    • /
    • 2008
  • This study addresses the analysis of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bridge expansion joints under wheel loading through wheel load test and the proposal of relevant wheel load specifications for expansion joints. To that goal, specimens of rail and finger expansion joints that are widely used in Korea were fabricated and subjected to static wheel load test using a real tire wheel. The wheel load distribution factor in the rail and finger expansion joints in contact with the wheel load was evaluated. The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portion of load sustained by the central rail of rail expansion joint was decreasing with larger wheel load, and that the portion of load sustained by the finger expansion joint was practically insensitive to the increase of the contact area and remained nearly constant. Since the wheel load characteristics showed large difference compared to former design specifications, it appears necessary to prepare rational specifications relative to the distribution of the wheel load contact pressure for the design of expansion joints.

Development of Bridge Expansion Joint for Fiber Reinforced Polymer Deck (FRP바닥판용 신축이음장치 개발)

  • Lee, Young-Ho;Park, Jong-Sup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2
    • /
    • pp.348-353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design specif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bridge expansion joints to develop new type-joints in fiber reinforced polymer decks. Based on properties of the fiber reinforced polymer decks and fundamental process to calculate their expansion length, new expansion joints fur fiber reinforced polymer decks on typical steel or concrete girder are developed and proposed.

  • PDF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Crystal Structure of Nylon 6/Co-Nylon 6 DTY (Nylon 6/Co-Nylon 6 DTY의 구조와 물성)

  • Park, M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28-28
    • /
    • 2011
  • 최근 초경량 직물에 나일론 Spiral Crimp 신축소재에 많이 사용되어지는 Mechanical 신축성 직물이 시판되고 있으나 신축특성의 저하, 품질 저하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어 아직까지 본격적으로는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고 국내외적으로 아직까지 나일론 세섬사 Spiral Crimp 신축소재개발과 관련된 기술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국내외적으로 개발되지 못한 스포츠 아웃도어용 경량직물의 Mechanical 신축성 초경량 직물을 개발하기 위해서 중합단계에서 나일론 개질 폴리머를 개발하고, 수축 특성이 서로 다른 2종의 나일론 폴리머를 이용하여 side by side 형태로 세섬 복합방사와 사가공 및 연신 단계에서 2d급 Spiral Crimp 및 Super Bulky특성이 우수한 신축성 소재를 개발하여 이들의 구조와 물성을 조사 검토하여 이를 실제 현장에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Durability Evaluation of a Buried Expansion Joint of Buried Folding Lattice Type (BFL형의 매설형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 평가)

  • Jwa, Yong-Hyun;Park, Sang-Yeol;Kim, Seok-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3 no.2
    • /
    • pp.9-20
    • /
    • 2011
  • Most of domestic expansion joint system was applied by exposed expansion joint system. There are cases where it is damaged by driving. As the result noise and impact happened, and the social cost due to frequent repair works is increasing. So based on the Asphalt Plug Joint(APJ) system that applied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new buried expansion joint system was lately developed a system of Buried Folding Lattice Joint(BFLJ) that changed substructure. In this research, we have tested for durability and flexibility performance of buried expansion joint system that based on the type of asphalt mixture. Also we have evaluated for durability of BFLJ system against vehicle load using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developed BFLJ system gives high flexibility performance and resolves transformation concentration along the joint section more than APJ system. Also it could be seen that the BFLJ system could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APJ and prevent early damage. Because surface deflection of BFLJ system against vehicle load was measured low, and sub system in the buried expansion joint system was not damaged against vehicle load.

Pullout capacity Evaluation of anchor and anchor system development to prevent release of anchors in expansion joint (신축이음장치의 앵커 인발성능 평가 및 나사 풀림 방지를 위한 앵커시스템 개발)

  • Ha, Sang-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0 no.1
    • /
    • pp.65-72
    • /
    • 2010
  • The failure of expansion joints for bridges generally occurs in non-shrinkage mortar another problem is the release of anchors in expansion joints due to the impact and vibration that occurs when cars are driving over a bridge. In this study, to overcome the failure of expansion joints that is related to the failure of non-shrinkage mortar, an elastomeric mortar has been developed. The elastomeric mortar has a highly developed pull-out capacity compared with that of non-shrinkage mortar. Moreover, an anchor system that can be changed easily and prevent the fracture of expansion joints has been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