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발달

검색결과 421건 처리시간 0.021초

학령기 아동의 영양실태와 신체발달 및 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Nutritional Status, Physical Growth and Behavior of School Children)

  • 김선희;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6권4호
    • /
    • pp.253-262
    • /
    • 1983
  • A surve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physical growth and behavior of school children. Dietary intakes, environmental factors, physical growth, personality, and cognitive development were measured in 323 children of 4 th and 6th grader in the urban and rural arca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verage intakes of the food groups and nutrients except ascorbic acid were lower in rural children. Comparing the intakes of the rural children with RDA of the Korean children, 64.0% of them in protein, 99.3% in calcium, 84.6% in iron, and 73.5% in riboflavin consumed less than 75% of RDA. Environmental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nutrient intakes 2) Height, weight, and head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nutrient intakes. Retarded growth due to malnutrition was supposed in the $rural^{1)}$ area. 3) Some domains of personal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nutrient intakes. 4) Environmental factors, physical growth, and nutrient intakes made independent contribution to variation in cognitive performance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depended on the particular cognitive domain whe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ndertaken. Environmental stimulation was largely associated with verbal usage, and economic status and nutrient intakes with numerical reasoning. Above findings support that nutritional deprivation retards brain growth and performance on various cognitive dimensions of children. Therefore, amelioration of the several adverse social, economical, environmental influences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dietary intake is required to bring about a substantial enhancement of the physical growth and the mental development of children.

  • PDF

성(性)생활과 성기능장애 (Human Sexuality and Sexual Dysfunction)

  • 조두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10-25
    • /
    • 1999
  • 2세이상의 어린이는 성적 흥분을 느낄 수 있기에 만지거나 자위행위 등의 성적인 즐거움을 찾기 시작 한다.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초반사이 산부인과 의사 Masters와 사회사업가 Johnson은 인간의 성반응 단계를 흥분기, 고원기, 오르가슴기, 반응소실기의 4단계로 나눠 설명하였고, 여성에게는 무반응기가 없어 여러번의 오르가슴이 가능함을 밝혔다. 그들의 성치료원칙은 행동치료에 입각하여 감각초점법과 부부치료, 성교육등으로 구성되어있다. Masters와 Johnson이후 정신과 의사이자 정신분석가인 Kaplan이 1970년대 초반에 정신분석적 정신치료와 행동치료를 결합한 '새로운 성치료'를 제안했다. 그리고, 성기능 장애를 3가지 카테고리로 재분류했다. 1980년대 이후는 남성의 발기부전의 치료를 중심으로 의학적 치료방법론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데, 음경 보속물, 국소주사치료, 경구약제등이 발달하였다. 최근 Sildenafil(Viagra)이 등장해 남성 발기부전 치료의 최선의 선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PDF

e스포츠의 스포츠 범주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n Categorizing e-Sports as One of the Sports)

  • 채희상;강신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85-9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e스포츠의 스포츠 적 속성에 중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시켜 나가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신체 활동을 강조하는 기존의 근대 스포츠 개념을 미디어 기술의 발전, 즐거움 추구방식의 변화, 스포츠 환경의 중요성 증가, 스포츠 관련 기술 및 도구의 발전 등 시대 변화에 맞추어 새롭게 개념화 하였다. 그리고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 소비와 즐거움, 호모루덴스 인간형, 스포팅 경험, 신체와 정신 등을 새로운 스포츠 개념의 주요 구성요소로 설정하고 이에 e스포츠가 어떻게 부합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e스포츠는 기술이 발달한 지구촌 시대, 소비사회에 부합하는 양상을 띠며, 순수한 즐거움을 주는 요소와 경험적 요소, 참여에 있어 정신적 요소가 극대화된 새로운 개념의 스포츠로 정의될 수 있다.

유아의 동작 교육을 위한 실루엣 기반 동작 추정 (Silhouette-based Motion Estimation for Movement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신영숙;김혜정;이정욱;이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73-284
    • /
    • 2008
  • 동작은 유아의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발달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아의 신체에 적절한 동작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작교육에 필요한 동작 중에서 걷기, 뛰기, 앙감질의 이동동작과 구부리기, 뻗기, 균형잡기, 회전하기의 비이동 동작을 대상으로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두 대의 카메라에서 획득된 프레임에서 조명 보정, 배경 제거, 모폴로지 실행 등의 과정을 통해 실루엣을 추출한다. 실루엣 특징으로 면적, 가로세로 비율, 발의 위치, 7개의 Hu moments를 사용한다. 또한 지역 특징으로 실루엣을 $5{\times}3$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면적과 움직임을 사용한다. 동작 추정을 위해서, 추출된 특징에 확률 전파를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마커없이 유아들의 기본 동작을 추정함으로써 동작교육을 위한 가상 학습공간에서 실감형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전공 여부에 따른 남대생의 신체발달, 영양상태 및 건강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 Behaviors, and Healthy Dietary Habits of 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Majors)

  • 신경옥;최경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3-176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principal data on nutrition education according to college major after analyzing the nutrition status of 302 male university subjects. The 302 male subjects consisted of male students majoring in literature and science (109), food and nutrition (94), and physical education (99). Exactly 47.9% (highest among the groups) of mal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ate regular meals, 39.4% ate breakfast. Precisely 29.4% of subjects majoring in literature and science never ate out. Exactly 23.2% of subjec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over ate frequently, and 31.3% enjoyed eating out. Intakes of protein, fat, vitamin A, $B_1$, $B_2$, $B_6$, C, E, folic acid, Ca, Fe, sodium, and cholesterol among mal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ose of other groups (p<0.05). Intakes of energy, Zn, dietary fiber, and cholesterol among mal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were higher, whereas intakes of all nutrients except for dietary fiber by subjects majoring in literature and science were lower than the other two groups. Exactly 20.2% of mal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health. We found that 52.4% of subjects considered exercise as an important factor for maintaining health. Smoking rate was the highest (43.6%) among male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and the drinking rate was highest (56.0%) among male students majoring in literature and science. We found that smoking was continued as a habit (61.5%) while drinking was essential for social relationships (73.9%).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have problems associated with eating regular meals, skipping breakfast, overeating, and intake of unbalanced foods. Also, male students who majored in food and nutrition demonstrated problems in applying their knowledge to proper dietary habits. In conclusion, a systemic educational program needs to be introduced to promote healthful dietary habits in male students.

아동복지시설 미취학 아동들의 신체 발육과 영향 실태 조사 (A Survey on Nutritional Status and Anthropometry of Preschool Children in Orphanage)

  • 계승희;박길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52-558
    • /
    • 1993
  • 아동복지시설 7곳의 미취학아동 70명을 대상으로 신체발육과 영양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사대상 아동들의 신장, 체중 및 멀리둘레는 한국 소아 발육 표준치보다 다소 적었으며 가슴둘레는 거의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체격발달이 일반 한국 소아의 발육에 비해 다소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식이섭취조사결과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 비해 모든 아동들에게서 칼슘의 섭취량이, 또 일부 아동에게서 열량, 철분, 비타민 $B_2$의 섭취량이 다소 낮아서 이들 영양소의 섭취를 보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대상 아동들의 생화학적 검사결과 철분 결핍 팔현율은 hemoglobin으로 판정시에는 12.9%, hematocrit으로 판정시에는 18.6%이엇으며 혈청 철분 정상 판정기준 미만인 아동들은 총 인원이 4.3%에 해당하였다. 혈청 총 단백은 정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영양상태가 취약한 아동복지시설에서의 영양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양관리 담당 전문인력의 확보 및 여러 사회기관에서의 급식비에 대한 보조지원으로 아동들이 충분히 영양섭취를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휴먼 케어 콘텐츠 기반의 재활 훈련 장비의 사용성 평가 연구 (A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for Human Care Contents based Rehabilitation Training Equipment)

  • 김한상;최병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57-163
    • /
    • 2017
  • 경제적 발전과 의학의 발달로 인해 고령인구의 비율이 높아지는 고령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진입 속도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매우 빠른 편이다. 고령으로 인한 노인들의 신체적 능력은 점점 더 악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위한 보조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보조 시스템은 노약자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시스템으로 재활 훈련 장비를 들 수 있다. 특히, 근력 강화, 인지능력 강화, 그리고 균형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장비는 대부분의 노약자들에게 도움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기능을 강화시키는 휴먼 케어 콘텐츠 기반의 재활 훈련 장비의 개발을 소개하고, 본 장비의 사용성 평가를 제시한다. 사용성 평가는 예비 사용자는 물론 재활전문의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중학생을 위한 성교육 및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ex Education &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윤인경;박정윤;이수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7-144
    • /
    • 2009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성교육 및 성폭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총 10회기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연구대상은 중학교 2학년으로 선정하였으며, 사전사후 분석을 통해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성교육 영역은 인간과 성심리, 신체발달과 성건강, 사회적 환경과 양성평등, 결혼과 건강한 가족 4가지였으며, 10회기로 내용을 편성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우정과 사랑, 부모됨, 성욕조절, 성병, 피임, 성 지식, 양성평등, 가정폭력, 의사소통 등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결과 각 해당 영역에서 성지식 습득정도가 교육실시 전보다 정확해졌으며 새로운 습득한 성지식이 많았다. 성태도의 변화는 교육 전에 비해 양성평등적 태도로 달라졌으며, 성에 대한 책임의식이나 적극적인 태도로 변화가 나타나서 성교육의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셋째, 성교육운영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도움이 되었으며 비교적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성교육운영 전반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PDF

학령 전 아동들의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가 신체발달 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 on the Physical Growth Indices in Preschool Children)

  • 최미자;윤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nutrient intake, dietary habits, and body indices among preschool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166 kindergarten children, aged 4 to 6 years. A measurement of the weight, height, chest circumference, and head circumference of the children was conducted. The general home environment and factors related to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information about physical activity, outdoor playing time, television watching, family income, and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s. Underweight, overweight were defined based on a value of less than 110 and more than 140 on the Rohrer Index, or less than 90 and more than 120 on the weight-length index (WLI). The average Rohrer and WLI for the preschool children were 14.3 $\pm$ 23.2% and 104 $\pm$ 13.5%. Using the WLI, 12.7% of the preschool children were underweight 62.6% were normal, and 24.7% were overweight or obese. On the Rohrer Index, 32.0% of the preschool children were underweight, 34.7% were normal, and 34.1% were overweight or obese. With regard to frequency of regularity of eating breakfast, 2.5% of preschool children skipped breakfast every morning. The risk of being overweight increased in preschool children who had faster eating times. The Rohrer and WLI were negatively related to faster eating times. The average daily energy intake was 1272 Kcal, which corresponded to 79.5% of the Korean RDA. In particular, the average intakes of calcium, iron, and vitamin B$_2$ were much lower than the Korean RDAs for each of those nutrients. Children whose mothers had occupations were at greater risk of decreased nutrient intake than those whose mothers were at home. The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confirm that, in preschool children, undernutrition remains the nutritional problem of great concern in Korea, even though Koreans are starting to have worrisome rates of overweight. Therefore, during the early years of life, focus should remain on sustaining Proper growth and development.

학령 전 아동에서 식습관과 신체발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Growth Development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 신경옥;유유영;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6호
    • /
    • pp.455-464
    • /
    • 2005
  • The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ating habits and growth development in 1,574 children (3-6 years old) in Kyunggi-do and Seoul, Korea. The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 were determined by mini dietary assessment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35.6% children had been practicing an unbalanced diets. Children with unbalanced diet consumed less amount of protein source foods (meat, fish, egg, soy products), vegetables and fruits and had irregular meal time, but more of them preferred sweet foods (ice creme, cookies) and carbonated drinks as snack compared with children in balanced diet. 24-35% children consumed energy, iron (Fe), calcium (Ca), Niacin, Zinc (Zn) less than 75% RDA. Energy intake of children with unbalanced die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with balanced diet, but they consumed less amount of niacin, Fe, Ca and Zn than those with balanced diet. By using the relative percentage of standard weight-length-index (WLI), 65.7% children was normal weight, 12.9% was underweight, 13.4% was overweight and 7.9% was obese. However, 11.9% of underweight and normal weight children was so called thin obese since their body fat content was greater than 20%. There were 16.8% underweight in children with unbalanced diet and 12.6% underweight in those with balanced diet. Compared to normal weight, the underweight children significantly consumed less amount of milk and its product, high protein foods, fried foods and fruits, but obese children consumed more high protein source foods (meat, fish, egg, etc) and sweet foods. In conclusion, the eating habits of unbalanced meal was prevalent problem in preschool children which resulting in their health risks. Therefore, it would be needed that new approach for nutrition education to improve eating habits in preschool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