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노출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4초

미디어 노출이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에 관한 연구 : 자기대상화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the Influence of Media Exposure on Diet Intention : Focusing on Self-Objectification Theory)

  • 김예솔란;이미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359-370
    • /
    • 2020
  • 본 연구는 미디어 노출이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기 위해 문화배양이론과 자기대상화이론에 기초하여 공적자기의식, 신체감시성, 신체수치심, 신체불만족의 역할을 상정하고 그 경로를 검증하였다. 20대 여성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그 영향관계와 경로를 검증한 결과, 미디어 노출로 인해 야기된 공적자기의식이 신체감시성이나 신체수치심을 거쳐 신체불만족에 영향을 주고 이는 다이어트 의도로 이어지는 모형이 지지되었다. 또한 공적자기의식은 신체감시성을 매개로 신체수치심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감시성은 신체불만족을 매개로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신체수치심은 다이어트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미디어 노출 신체이미지와 탄막 이용이 다이어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비리비리(Bilibili) 동영상 사이트를 중심으로 (Effect of Exposure to Body Image in Media and Bullet Screen on Weight Loss Intention - Focused on Bilibili, a Video Sharing Website of China)

  • 양수아;조희정;이혜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68-28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표적인 탄막 동영상 사이트인 비리비리(Bilibili)를 중심으로 미디어 노출 신체이미지와 탄막의 이용이 다이어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0대 중국인 여성 3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3 (탄막 여부: 탄막 없음 vs. 신체이미지 칭찬하는 탄막 vs. 신체이미지 비판하는 탄막) x 2 (미디어 노출 신체이미지: 이상적 vs. 현실적) 피험자 간 설계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칭찬하는 탄막과 현실적인 신체이미지를 비판하는 탄막에서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더 나아가, 시청자의 다이어트 의도는 현실적인 신체이미지를 탄막 없이 볼 때보다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탄막과 같이 볼 때, 그리고 현실적인 신체이미지를 비판하는 탄막을 볼 때보다 이상적인 신체이미지를 칭찬하는 탄막을 볼 때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적 시청의 방식 중 하나로서의 탄막의 이용과 수용자의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 유출사고에 대한 Trauma Signature (TSIG) 분석 (Trauma Signature (TSIG) Analysis of Hebei Spirit Oil Spill, Taean, Korea : 2007)

  • 최영현;이무식;이재광;김지아;김정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3호
    • /
    • pp.158-171
    • /
    • 2018
  • 목적: 이 연구는 2007년 충남 태안군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의 유류 유출사고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정신 건강영향에 대한 trauma signature (TSIG) 분석을 시도한 사례 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TSIG 분석은 유류유출 사고와 관련된 위해 노출의 신체적, 심리적 결과를 검정하는 방법론으로 태안지역 인구에 대하여 노출된 위해 프로필(hazard profile), 노출 스트레스 마트릭스(matrix of exposure stressors), "trauma signature" 요약 등을 분석한 것으로 위해요인, 손실, 변화 요인 등에 대하여 인위적 재난에 대한 분석을 저자들이 구조화된 틀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한 사례이다. 결과: 허베이 스프리트호 유류 유출사고의 특징(signature)은 다원, 다면적이고 한국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큰 해양오염 사고로 태안 지역사회 및 인접한 지역에 영향을 준 것으로 요약된다. TSIG 분석결과는 주요한 근거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요인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노출의 정도(exposure severity)에 따른 위해도, 손실, 변화의 범주에 따른 결과였다. 노출의 정도는 낮음(low)에서부터 극심(extreme)까지 그 범위가 다양하였으나 위험요인의 순위는 대부분 낮음에서 중등도(moderate)의 중증도를 보였다. 결론: 허베이 스프리트호 유류 유출사고에 대한 TSIG 분석 사례연구는 재난 상황 등에서의 TSIG 분석방법론의 적용가능성을 경험하였다.

심리외상 이후의 신체증상 (Somatic Symptoms after Psychological Trauma)

  • 박주언;안현의;김원형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43-53
    • /
    • 2016
  • 연구목적 심리외상에 노출된 이후 신체증상이 매우 빈번히 발생하곤 한다. 이러한 신체증상은 사회기능과 직업기능 및 환자-의사 관계와 종종 연관되지만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진단 범주에 포함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신체증상의 기전, 흔한 임상양상, 그리고 치료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방 법 PubMed, Scopus, Google Scholar, KoreaMed, KISS와 같은 학술검색엔진을 사용하여 2016년 3월 31일까지 검색된 심리외상 노출 이후 신체증상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결 과 심리외상 노출 이후의 신체증상의 발생 기전은 심리적인 측면과 생리적인 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심리기전은 정신역동이론, 인지행동이론, 그리고 다른 이론들이 포함되었다. 생리기전은 신경내분비 및 면역계, 자율신경계, 중추 신경계의 변화로 설명되었다. 심리외상과 연관된 신체증상은 두경부, 흉부, 복부, 기타 근골격계, 피부 및 면역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건강문제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신체증상의 표준화된 치료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결 론 임상의와 재난정신건강지원 실무자는 심리외상에 대한 개입이나 PTSD 치료 동안 동반된 신체증상에 대해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심리외상과 PTSD에서 보이는 이러한 신체증상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여중생의 신체 인식에 따른 착의 의복형태에 관한 연구 (Actual Clothing Style of Middle school girls According to Self-perception of Their Body Size)

  • 박우미;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3-125
    • /
    • 2006
  • 본 연구는 여중생의 신체부위 크기인식이 실제 착의 의복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신체크기 인식과 신체만족도, 희망 착의의복형태, 실제착의 의복형태를 고찰하였으며, 수척/비만정도에 의해 집단을 분류하여 집단간착의 의복형태의 차이도 고찰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광주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여중학생 219 명이었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결과를 얻었다. 결과분석은 Window SPSS 10.0 패키지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중생들은 상반신보다 아랫배돌출, 엉덩이, 다리굵기, 체중 등의 하반신을, 그리고 몸통보다는 사지부를 굵게 인식하였으며 굵게 인식하는 신체부위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였다. 2. 여중생들은 착의하기를 희망하는 의복형태를 실제로 착의하였다. 실제로 착용하거나 착용을 희망하는 상의의 의복형태는 피부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밀착여부에 관계없는 형태였으며, 하의의 의복형태는 밀착되거나 피부가 노출되지 않는 여유가 많은 긴 슬랙스형태였다. 3. 여중생들은 신체크기를 인식하여 의복형태를 결정하는 정도가 낮았다. 그러나 여중생들은 신체부위의 피부노출이나 밀착에 의한 실루엣 노출이 큰 의복형태를 둘레와 너비를 굵거나 크게 인식할수록 착용하지 알았으며 길이를 길게 인식할 수록 더 착용하였다. 4. 비만집단에 속하는 여중생들은 피부가 직접 노출되거나 밀착되어 실루엣이 노출되는 상의와 하의를 수척집단보다 덜 착용하였다. 그러나 여중생들은 수척/비만 분류와 관계없이 피부와 실루엣을 은폐하는 의복형태는 모두 착용하였다. 그리고 여중생들은 목, 어깨부위를 노출하는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 자신이 인지하는 체형보다 객관적인 실체체형을 고려하였으며 반면, 팔의 피부노출과 다리의 밀착에 의한 실루엣 노출은 실제체형보다 자신이 인지하는 체형을 고려하였다.

  • PDF

복합유기용제에 노출된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지각 및 정신병리 (Stress Perception and Psychopathology in Workers Exposed to Mixtures of Organic Solvents)

  • 김찬형;고경봉
    • 정신신체의학
    • /
    • 제1권1호
    • /
    • pp.59-66
    • /
    • 1993
  • 저자들은 GARS(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척도와 SCL-90-R(Symptom Checklist-90-Revision)을 사용하여 동일한 산업장에서 유기용제에 노출된 근로자들과 노출되지 않은 근로자들 간의 스트레스지각과 정신병리를 비교하였다. 유기용제 노출군은 비노출군보다 일-직장, 대인관계의 변화, 질병 및 상해, 경제적 문제, 그리고 전체적인 스트레스지각점수에 있어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정신병리에 있어서는 유기용제노출군이 비노출군보다 신체화척도점수에 있어서만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러나 유기용제에 노출된 기간과 정신병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양군 모두에서 여자는 남자보다 정신병 리가 유의하게 더 현저하였고, 연령은 정신병리와 유의하게 음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기용제노출군이 비노출군보다 스트레스지각 및 정신병리가 더 현저함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기업주는 물론 보건정책 수립자들이 유기용제에 노출되는 근로자들의 건강 특히 정신건강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PDF

체중조절행동과 신체노출 의복행동 상관연구 (The Effect of Body Cathexis, Weight Control Behavior on Clothing Behavior)

  • 이영주;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491-150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argeting college women by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control behavior and body exposure in clothing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1) 85.5% of the college women participated in weight control behavior, and 53.5% of them wanted to lose more than 3kg of their weight. 2) College women were less satisfied with their body and thar showed less body exposure in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eight control degree. The weight control parts and unsatisfied body parts were almost matched : thigh, abdomen, hip, calf, and weight. College women preferred clothing that exposed neck, legs and shoulder more than clothing that exposed many parts of their body at the same time. 3) exposure in clothing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eight control degree, except for the exposure of breast in clothing.

대기오염과 건강 (Health Effects Due to Air Pollution)

  • 백도명
    • 한국산업간호협회지
    • /
    • 제8권2호통권28호
    • /
    • pp.10-18
    • /
    • 2001
  • 우리나라 대기오염의 수준은 지난 90년대 초반 이후 아황산가스와 총부유분진의 농도가 감소하고, 대신 오존과 이산화질소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점차 다른 선진국에서 경험하는 대기오염현황을 보이고 있다. 한편 PM10과 PM2.5와 같은 미세분진의 경우 그 측정기간이 짧고 자료가 제한적이지만, 일부 지역에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현재 선진국에서 책정한 미세분진의 규제농도를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으로는 급성으로 고농도에 수 시간에서 수 일 동안 노출되는 경우 폐기능의 저하, 심박동의 변화, 그리고 신체내 염증물질의 증가 등 인체 기능의 변화가 보고되고 있으며, 기존에 폐장질환이나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증세의 악화와 의료이용의 증가 등을 경험하거나 더 나아가 사망에 이르러 수명이 단축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급성노출의 경우 미세분진 PM10 10 $\mu$m/m3 당 전체 사망률이 0.5-1$\%$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며, 만성노출을 조사한 코호트 연구에 근거하는 경우 대기오염에 노출되는 전체 인구에 있어 PM2.5 1 $\mu$m/m3 당 1개월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직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의 기전이 전부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일부 연구에서 대기오염물질 중에서 전이금속의 역할이 보고되고 있으며, 대기오염에 노출되면서 기관지, 폐포 및 혈액 등에서 염증매개물질의 분비 및 확산 그리고 심장을 비롯한 각 장기 기능의 변화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변화들이 증세와 건강상의 비가역적 변화를 야기하는데 있어 대기오염 수준의 역치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의 영향에 대한 개인수준의 해결책으로서는 자동차 사용의 절제 및 개인적인 쓰레기 소각의 자제 등 오염원 발생의 감소와 함께 대기오염 수준에 따른 증세 및 투약의 적절한 조절과 신체 활동의 조절을 통하여 오염원을 회피하는 것이 강조되어야 하며, 또한 흡연 특히 실내흡연의 금지와 실내 주방기구 및 난방기구의 관리 등이 구체적으로 제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기오염물질들이 신체에 들어와 산화제로 작용하는 만큼, 식품을 통한 항산화제의 섭취가 일반적인 건강관리 수준에서라도 반드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성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가 신체 노출 의복의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xual Attitude and Body Satisfaction on Buying Intention of Body Exposed Clothing)

  • 김수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5-11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is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ttitude toward sex and body satisfaction in the on interest,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of body exposed clothing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usubject were 397 female students from 3 different universities in Seoul.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consisted of response scale and stimuli. Thirty-four four items on a of 5-point Likert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attitude towards sex and body satisfaction The stimuli were 6 types of different body exposed clothing style on line draw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Most female students were liberal in sexual attitude and had a high level of body satisfaction. Especially, younger students were more liberal than older students. 2. Designs with the greatest interest, preference and that were most interested in, prefer and had buying intention were Camisole, V-neckline and low-neckline designed clothes. 3. Attitude toward sexual value has a strong effect on interest,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of body exposed clothing. And also ilneterest of body exposed clothing has more effect on buying intention than preference.

지각된 대기오염이 부정 정서, 신체증상 및 미래 조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Air Pollution on the Negative Emotion, Physical Symptoms and Future Perspectives)

  • 김소정;박혜령;이종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87-298
    • /
    • 2020
  •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은 심각한 공중보건 상의 문제로 다양한 신체적 질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 61명을 각각 대기오염 집단(n = 30)과 맑은 공기 집단(n = 31)으로 무선할당하고 처치조건에 따른 정서, 신체증상, 미래 조망에서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지각된 대기오염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참가자들은 할당된 집단에 따라 대기오염이 있는 도시 혹은 맑은 공기의 도시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보며 자신이 그 도시에 살고 있다고 상상하였고, 노출 전후에 정서, 신체증상, 지각된 스트레스, 미래에 대한 시간조망과 활동계획을 보고하였다. 대기오염 집단은 노출 후 우울, 불안, 분노를 비롯한 부정 정서와 신체증상이 상승하였던 반면, 맑은 공기 집단은 실험 전후로 부정 정서와 신체증상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측면에서도 대기오염 집단은 처치 후 미래 시간에 대한 조망이 제한되었으며 외부 활동 계획도 감소한 반면, 맑은 공기 집단은 이 같은 변화를 경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