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체기억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16 seconds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평가

  • Kim Jeong-Beom
    • 대한불안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6a
    • /
    • pp.185-213
    • /
    • 2004
  • 우리는 살아가면서 흔히 개인적으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거나 불행히도 어떤 뜻밖의 재난이나 큰 사고를 경험할 수 있다. 이런 외상적 사건들을 겪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극복할 수 있으나 일부 사람들은 심각한 의상 후 스트레스 반응을 보여 그런 외상이 지나감에도 불구하고 괴로운 기억 속에서 그것을 회상시키는 활동과 상황을 피하며 늘 불안한 마음으로 몸은 현재에 살고 있지만 마음은 실상 과거에 매달려 있고 과거의 고통 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다른 불안 장애, 우울증처럼 흔한 질환으로 사회생활에 큰 지장을 주며 삶의 질을 손상시킨다. 그렇지만 외상을 당한 당사자들이 이런 이야기를 하기 꺼려하고, 이런 사람들을 진료실에서 종종 만날 수 있는 임상가들도 외상의 심각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우리 주위에 많은 사람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고생하고 있지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되는 경우가 실제보다 훨씬 적다. 따라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평가를 배움으로써 더 많은 환자들을 정확히 진단하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쉽게 할 수 있고, 환자들의 고통과 어려움이 과연 무엇인지 잘 알 수 있으며, 치료 표적과 치료 전략을 정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평가 방법으로는 구조화된 면담, 평가 척도, 정신 생리적 측정법, 치료자의 임상적인 결정 등이 있다. 향후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 정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사회적 관계, 직업적, 사회적 적응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도 같이 평가하는 도구들이 개발되고, 현재 개발된 많은 평가 척도들이 새로이 수정되고 표준화되어, 이런 평가 척도들을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경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인한 정신 사회적 영향을 더 잘 알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이 수집되길 바란다. 대칭이, 작은대칭이, 펄조개는 저질이 니질인 곳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었고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특히 삽교호 수계 채집된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의 저질에서 출현하였다.및 내장낭 조직들이 중요한 에너지 저장소이며, 영양 공급 기관임을 알 수 있었으며,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들의 영양물질 함량 변화는 생식소의 에너지 요구에 따라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른 신장 기능에 대한 영향을 평가해 보아야 한다.하를 조사한 결과, 연간 진동해역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은 부유물질 기준으로 전체 37,316 ton/yr로 추정되었고, 이중 육지기원 부하량이 9,809 ton/yr (26.3%) 였고, 해역의 침강량 23,576 ton/yr (63.2%), 양식생물의 배설량이 3,932 ton/yr (10.5%) 로 대부분이 해역의 침강량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육지오염부하량이 변동이 없다는 전제 조건 아래, 진동만의 피조개 채묘장을 미더덕 양식장으로 품종전환시킬 경우, 전체 부하량은 산술적으로 약 196%가 증가한 72,998 ton/yr 가 되고, 양식생물의 배설량은 10배 정도 증가하게 되어 진동만의 오염부하를 가중하게 된다. 진동만은 여름철 빈산소수괴 및 적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미더덕 양식장을 새로이 시설할 경우 오염부하가 가중될 것으로 판단되어, 앞으로 진동만의 양식장 수용능력을 파악하여 적정량의 양식물량이 시설되어야 할 것이다.25 psu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인 단백뇨는 진행성 경과의 위험성을 동시에 암시해 주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본 연구 결과 학교 신체 검사상에서 발견된 단독 단백뇨의 주된 원인은 기립성 단백뇨로 81.8%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지속성 단백뇨의 경우 비록 9.1%의 빈도를 보였지만, 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진행성 경과를 취할 수 있는

  • PDF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Rotoscoping Images in Jonas Odell's Animations (요나스 오델(Jonas Odell)의 작품 세계에 나타난 디지털 로토스코핑 이미지의 특성)

  • Kim, Young-Ok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9
    • /
    • pp.111-132
    • /
    • 2015
  • Although Rotoscoping technique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o mimic the natural and smooth motion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its artistic value was devalued as tricks because it traces the already recorded images. But the fact that the rotoscoping images can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animation and live action in an infinite integral freedom in the digital era became rather expansive new aesthetic possibilities of representation of the reality. In addition, Jonas Odell's animations such as (2010), (2008), (2006) are good example to prove that the rotoscoping images also can serve as means to enhance its narrative.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rotoscoping images act as a unique role in relation with the narrative based on the said person's real stories and realistic images. I argue that his animated films constantly contain these three characteristics -Images to mediate Auditory sensitivity as a record of inner metaphysical reality, anonymous images to represent a specific existential character, and images that act as physical representation that holds the physical space/time and related memory. This reveals that rotoscoping images in this digital era went beyond reproduction for natural movements or special type of style. It rather suggests new layers of experience, and acquires new value in animation.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serve as a foundation to rediscover and re-position the value of rotoscoping images as well as good opportunity to introduce very talented swedish animation artist who already received global attention with his uniqu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style.

A Study on Legal Regulation of Neural Data and Neuro-rights (뇌신경 데이터의 법적 규율과 뇌신경권에 관한 소고)

  • Yang, Ji Hyun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21 no.3
    • /
    • pp.145-178
    • /
    • 2020
  • This paper examines discussions surrounding cognitive liberty, neuro-privacy, and mental integrity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rights. The right to control one's neurological data entails self-determination of collection and usage of one's data, and the right to object to any way such data may be employed to negatively impact oneself. As innovations in neurotechnologies bear benefits and downsides, a novel concept of the neuro-rights has been suggested to protect individual liberty and rights. In Oct. 2020, the Chilean Senate presented the 'Proyecto de ley sobre neuroderechos' to promote the recognition and protection of neuro-rights. This new bill defines all data obtained from the brain as neuronal data and outlaws the commerce of this data. Neurotechnology, especially when paired with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the potential to turn one's neurological state into data. The possibility of inferring one's intent, preferences, personality, memory, emotions, and so on, poses harm to individual liberty and rights. However, the collection and use of neural data may outpace legislative innovation in the near future. Legal protection of neural data and the rights of its subject must be established in a comprehensive way, to adapt to the evolving data economy and technical environment.

The effect of agarwood inhalation using an electric incense burner on stress and brain waves (전기향로를 이용한 침향 흡입이 스트레스와 뇌파에 미치는 영향)

  • Park, Hyun-Duck;Weon, Hee 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3
    • /
    • pp.536-545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arwood (Thymelaeaceae) inhalation using an electric incense burner on stress and brain waves. Sixteen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2019 to April 2020. Participant recruitment was undertaken by the 'H' center. This paper focused on stress reduction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in stress and brain waves before and after agarwood inhalation using an electric incense burner. Electroencephalography was measured by a 19 Channel, Brainmaster Discovery, and analyzed using a NeuroGuide, LORETA (Brain Mapping). The analysis of technical statistics was carried out using SPSS/WIN 21.0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study observed that the stress response index was reduced by a significance level of 0.01 in patients with anxiety, depression, and somatization disorders after agarwood inhalation. Secondly, alpha waves were increased by a significance level of 0.05, in 18 out of 19 regions measured, except FP 1. The difference after agarwood inhal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in the region that affects emotion. Thirdly, a LORETA analysis found that alpha waves were increased in the brain region (BA 40) predominantly responsible for memory and emotion. This result clarifies that agarwood inhalation using an electric incense burner reduced stress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brain waves and hence, has potential as an alternative therapy.

Experiences of Ageism and "Self-Ageism" (노인차별 경험과 자기연령주의(self-ageism))

  • Kim, Juhyun;Oh, Hyein;Ju, Kyonghee
    • 한국노년학
    • /
    • v.40 no.4
    • /
    • pp.659-689
    • /
    • 2020
  •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perception of negative discrimination among elderly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ge discriminati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ag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the elderly in their daily lives and to explore the consequences of such discrimination through self-ageis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elderly respond not only to explicit discrimination but also to implicit discrimination. In this process, the stronger the pain of old age (poverty, disease, ignorance, and solitude) and the stronger the memory of failing to respond to discrimin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self-ageism. "Self-ageism" has internalized the negative image of the elderly, who have been discriminated against by age, resulting in disadvantag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rough various reject/separate/suspension actions in reality. In the presence of supportive resources such as health, institutional support, and caregivers, the elderly have room to overcome self-ageism through more active ways. However elderly people who cannot motivate themselves and they lack these resources, elderly are trapped in negative reflux caused by self-ageism and sustained a depressed and shrinking life. In this state, it is not easy to motivate themselves and make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responses. Therefore, in this analysis, we specifically noted two aspects, contextual conditions and interventional conditions, and proposed programs for synchronizing senior citizens and improving resiliency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and argued for the need to develop systems such as supplementing welfare and health service systems related to the entire life cycle, expanding accessibility and 'age-integration' through 'Community Care', awareness improvement and anti-discrimination laws.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Self-actualization of Middle-aged Single Mothers - Application of Guided Imagery and Music (GIM) -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의 자기실현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심상유도 음악치료(GIM) 적용-)

  • Lim, Jae-Young;Shin, Dong-yeol;Lee, Ju-Young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6 no.2
    • /
    • pp.55-62
    • /
    • 2021
  • The number of single-parent families in South Korea increased since 2000, related to a sharp rise in the divorce rate of 50s and an increase in male mortality rates among those aged 40s-50s. Middle-aged single mothers experience a critical period realizing self-actualization needs, while being in the middle adulthood from the lifespan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this respect, it is significant to study self-actualization of middle-aged single mothers through guided imagery and music (GIM) in order to provide them with psychological suppor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8 to June 2020, and the GIM sessions were conducted at least 10 times. Four participants were selected among the middle-aged single mothers. The imagery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the GIM sess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sub-elements: physicalness, emotion, memory, and sense. Within those sub-elements, eight semantic units were categorized into 46 elements. Finally, 152 semantic units were derived. Moreover, the self-actualization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d through GIM presented three archetypal images: shadow, persona, and the self. In the GIM sessions, experiences of putting their negative emotions associated with family into words and changing passive self-imagery into active one enabled participants to bring the shadow into their consciousness, there by recognizing their positive and bright internal self. Furthermore, participants could map that their current status as people marginalized by siblings and parents, enraged and holding double standards for others, was suppressed by their 'good daughter' and 'religious' personas. This realization lead them to realize and restore their persona. The use of GIM in the study allowed participants to elicit re-experiences of the negative events, while experiencing various imagery and music. This process helped participants achieve self-actualization.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for Mental Disability Assessment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Comparison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bnormal Brain Imaging- (두부외상 후 장애평가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뇌영상검사 이상유무에 따른 비교-)

  • Ha, Kang-Su;Kim, Sang-Hoon;Kim, Hack-Ryul;Park, Sang-Hag;Pyo, Kyung-Sik;Cho, Yong-Rae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9 no.1
    • /
    • pp.28-36
    • /
    • 200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clin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of mental disability assessment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who had the finding with or without abnormal brain imaging study. Methods : A consecutive series of 59 patients were assessed in hospital from January 1994 to December 1998.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normal or abnormal brain imaging an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sychiatric symptoms, type of head injury, clinical psychological findings. There were 27 patients with abnormal findings and 32 with normal findings in brain imaging study. Results : Abnormal finding group in brain imaging study had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psychosis, decreased memory, decreased appetite, increased nihilistic idea, and intracranial hemorrhage. Also, abnormal find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performance on the block design subtest of K-WAIS and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F, hypochodriasis, depression, hysteria, psychopathic deviate, psychasthenia and schizophrenia subscale of the MMPI.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atients undergone brain surgery due to intracranial hemorrage at that time of brain injury may have higher frequency of abnormal findings in brain imaging study, complain more cognitive and affective symptoms, and have lower the abstract concept formation and perceptual organization abilities.

  • PDF

Entre l' espace sculptural et, l' espace architectural (조각공간과 건축공간의 관계)

  • Lee Bong-Soon
    • Journal of Science of Art and Design
    • /
    • v.5
    • /
    • pp.175-216
    • /
    • 2003
  • 시각이 아닌 오감체계에 관계하는 때문에 현대미술은 외관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곧 예술 작품들은 하나의 장소를 관객에게 제공하여, 심리적, 물리적, 또는 예술이 존재여부에 관한 갖가지 질문들을 제기한다. 모든 예술 작품은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념 또는 아이디어에 우선하는 현대미술은 그들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우리의 사회적 배경과 보편성을 간과할 수 없다. 우리의 물체 인식은 결국 우리의 경험체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간주하면, 현대미술의 새로운 형태는 보편적 특질들이 그 특질들 이상의 상태로 보여지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창조 행위의 시작은 현대인간의 문화 읽기이며 문화는 인간과 자연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역사는 지나간 시간을 기록한 것이며, 이 또한 우리의 지식과 정보 체계에 속한다. 회화가 평면에 입체감을 표현하는 것과는 달리 조각은 자연 속, 즉 실재공간 속에 있는 모든 것을 표현하기 때문에 시각(visible) 이외에도 촉각(tangible)이 관여하게 된다. 조각의 특수성은 촉각(tangible)이 우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과 촉각은 매우 적극적으로 미학적 경험에 참여하는 감각으로 이들을 서로 분리하여 생각하기가 무척 힘들다. 왜냐하면 어떤 경험에 있어서 기억연합 또는 감각 연합에 의해 하나의 감각이 다른 여러 감각을 촉발하여 연쇄반응 혹은 '형태 Gestalt'를 이루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근대 조각 작품들은 조각대 위에 고정되어 있는 구상 형태를 지녔기 때문에 조각작품 자체가 지닌 외적 형태와 그 자체내의 공간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말하자면 미로의 비너스 조각은 대리석과 비너스 형태의 결합이다. 때문에 관객은 그 주변을 돌면서 우리 신체의 내적 공간과 시각에 의존하면서 그 작품의 중량감, 양감, 형태 등의 특질과 만나게 된다. 그러나 현대 추상조각과 개념조각은 이보다 좀 더 확장된 공간을 제시한다. 이것은 현대조각이 건축개념을 수용한 때문이며, 그것이 때로는 안 쪽에서 때로는 바깥 쪽에서 그 형태를 결정하며, 보고 듣고 느끼고 만져지고 왕래하는 등의 인식 영역인 관객의 오감체계에 직접적으로 관계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건축 공간에서, 시각 외에도 청각이나 촉각을 통해 지각한다. 대강 요약하자면 공간은 객관적 상태이기보다는 인식영역의 주관성을 통해 받아들여진 우리가 지나쳐온 것들이나 체험된 공간이다. 여기서 '받아들여지는' 일은 과거 경험들의 주체들, 언어와 문화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건물, 즉 둘러싸고 있는 공간은 중앙이 아니다. 중앙은 바로 나, 둘러싸여진 나이다 나는 나의 동작에 따라 그 공간의 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동적인 중심이다 (이때의 나는 위치의 축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작품이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건축공간개념이 현대 조각가들의 작품개념에 이용되었다고 본다. 현대미술에서 In situ작업과 특정한 장소를 위한 기획되어진 최근의 프로젝트 작업들은 대형화되어있으며, 건축에서처럼 특정한 장소를 만들어낸다.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는 또한 '조각영역의 확장 (La sculpture dans le champ elargi)'에서 현대조각이 건축과 환경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녀에 의하면, 1960년대 이후의 현대조각은 이러한 탈 귀속성과 조각의 자율성을 획득함으로써 조각은 건축물이 아니면서 건축물 주변에 위치하거나 풍경이 아니면서 풍경 안에 자리잡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의 대형조각 작품들 - 예를 들어 대형화된 미니별 조각이나 개념미술, 또는 대지예술 등 -은 풍경의 실재가 아니기 때문에 환경으로부터 구분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들 조각은 더 이상 만져지는 실체이거나 점유하는 공간의 상징언어를 지닌 조각의 범주에 한정되지 않게 된다. 조각과 건축의 공간인식을 인체의 크기와 관련하여 보면, 메를로 퐁티(Merleau-Ponty)의 '지각의 현상학' 은 우리가 논하는 작품의 공간체계를 분석하는데 지침표가 되어준다.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지각은 정신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몸과 함께 이루어지는 현상이다. 지각은 우리가 부단히 눈을 움직이고 만지고 냄새를 맡고 주변을 돌아 다니면서 세계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 진다. 몸의 움직임을 통하여 나타나는 신체적 표현은 몸 자체가 원천적으로 지향적 활동의 주체로서 파악되는 한 이미 항상(恒常, constant) 의미 현상을 지니다. 우리의 지각이 움직이는 몸의 지향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은 우리의 몸의 지향활동이 의식에 선행함을 의미한다. 몸의 움직임은 의식의 의도를 표현할 때에만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 자체가 살아있는 표현이다. 우리의 몸짓, 표정은 우리 의식이 의도하기 전에 이미 의미가 담겨있다. 몸은 그 자체가 기호(Signe)적이다. 결국. 메를로 퐁티에게서 세상(le monde entier)은 그 자신이 주체가 되어 인식한다, 그리고 이 인식 구조에는 우리의 몸이 구심점(le point centripete)이 된다. 만약 우리가 이러한 메를로 퐁티의 개념을 염두에 둔다면, 예술작품의 특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재료와 크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ssociation between Thyroid-Related Hormones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갑상선 관련 호르몬과 인지기능과의 상관관계)

  • Park, Da Yun;Kim, Hyun;Lee, Kang Joon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27 no.1
    • /
    • pp.60-68
    • /
    • 2019
  • Objectives : The association between thyroid-related hormones and cognitive function has been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evels of thyroid-related hormone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yroid-related hormones and cognitive function. Methods :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8,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D and MCI by visiting a dementia clinic at Ilsan Paik Hospital. Thyroid-related hormones [triiodothyronine (T3), thyroxine (T4),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was measured using chemiluminescent immunoassa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ean value of thyroid-related hormones in patients of AD and MCI. To investigate whether thyroid-related hormones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and scores of each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items, we conducted a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ith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 (GDS-K) scores as covariates.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erum T3, T4 and TSH levels between patients of the AD and the MCI, but the Construction Praxis Test (CP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rum TSH concentration (p-value=0.004). Conclusions : In our study,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TSH level and the CPT associated with executive function was found to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yroid-related hormones and the pathophysiology of dementia. Prospective studies in regard of the pathophysiology of thyroid-related hormones on cognitive function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Effect of Repeated MSG Administration on Cognitive Ability and Anxiety of Juvenile Rats (MSG의 반복투여가 어린랫드의 인지능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 Lee, Hae-Nim;Choo, Gang-Sik;Shin, Seong-Ah;Park, Jung-Joon;Lee, Se-Geun;Kim, Se-Woon;Kim, Hyun-Sun;Lee, Song-Hee;Lim, Jeong-Min;Kim, Hyeong-Jin;Park, Young-Seok;Kim, Sang-Ki;Park, Byung-Kwon;Kim, Byeong-Soo;Jung, Ji-You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0 no.1
    • /
    • pp.120-125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SG on cognitive function and anxiety by the T-maze and elevated-plus-maze test and repeated oral dose toxicity in SD rat of MSG. The rats were treated with MSG of control group, low group (3 g/kg) and high group (5 g/kg) intragastrically for 4 weeks, respectively. We examined the body weight, the clinical signs, T-maze, Elevated-plus-maze, hematological analysis and serum biochemical analysis, we also observed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liver, kidney in ra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s, biochemical analysis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between control and MSG treatment group were found. In the elevated plus maze (EPM), MSG-treatment group has more open arm visited than controls. MSG-treatment group has been more activated in T-maze test. These data indicate the continuous high MSG intake could be increased the anxiety and could be decreased cognitive ability. In conclusion, MSG is physiologically safety, but high MSG intake could be increased the anxiety and could be decreased cognitive ability in juvenile r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