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입생들의 학교 적응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적 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e Factors of Positive Think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of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 민희홍;이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24-132
    • /
    • 2020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적 사고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규명하며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치위생(학)과 신입생들이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21일까지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 지역의 치위생(학)과 신입생 213명을 대상으로 임의추출 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긍정적 사고, 진로체험 경험 순이었고,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설명력은 47.7%이었다.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조사되어 연구를 진행하였기에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한계가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긍정적 사고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토대로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한 기초자료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적응프로그램 제언을 위한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관련 문헌분석 (A Review Study on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for Suggesting Adaptation Program)

  • 유경희;김종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80-591
    • /
    • 2016
  • 본 문헌분석 연구는 국내에서 최근 11년간 발표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 관련 문헌을 분석한 연구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학교적응 방안과 대학 교육 프로그램 개선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문헌분석은 3개의 데이터베이스 국회도서관 자료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를 통하여 문헌 탐색기준에 의해 선택하였으며, 최종 24개의 연구가 선택되었다. 이 중 20편은 상관관계연구, 4편은 실험연구이었다.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연구는 2009년부터 매년 1편씩 연구되다가 2012년부터 매년 5-6편으로 증가되어 대학 신입생의 적응에 대해 관심이 증가함을 볼 수 있다. 이 24개 문헌들에서 이용한 학교적응 조사도구는 Baker와 Siryk(1984)가 만든 도구를 23편에서 이용되었다. 분석된 상관관계 연구에서의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평균은 3.25점으로 나타났다.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변수는 20개 정도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 자기존중감, 자기효능감,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 중 외향적 성격, 가족과 사는 경우, 나이가 많은 경우, 학과에 만족한 경우, 학교생활에 만족한 경우 학교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자기효능감 증진방안, 스트레스 관리, 대학신입생을 위한 멘토-멘티 프로그램,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 등을 학교와 학과에 맞게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 변인 (Variables Associated with School-Related Adjustment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이명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2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도를 구명하고, 이와 관련된 변인들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공업계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며, 조사 대상으로는 지역적 안배를 고려하여 총 600명의 공업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7년 9월 28일부터 10월 13일까지 우편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최종분석에는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553부가 활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전체적인 학교생활 적응정도는 보통이며, 학교생활 가운데 학교규칙과 교우 관계에 있어서는 비교적 잘 적응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수업, 전공적응, 교사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아직 적응을 못하고 있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전체 학교생활 적응은 학생들의 중학교 때 현재 학과를 희망했는지 여부, 신입생 적응교육, 학습증진을 위한 교사 활동, 학교생활을 위한 교사 지원, 학교생활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과 상관이 있다. 그러나 성별, 가족구조, 가정의 경제수준은 학생들의 전체 학교생활 적응과 상관이 없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전체 학교생활 적응은 학습증진을 위한 교사 활동, 학교생활을 위한 교사 지원, 중학교 때 현재 학과 희망 여부, 학교생활에 대한 학부모 관심, 신입생 적응교육에 의해 설명되며, 이 가운데 학습증진을 위한 교사 활동이 공업계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다.

대학 신입생 대상 전략교양 교과 콘텐츠의 팀티칭 운영 효과 -지역대학(중등특수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Effects of Team Teaching on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 Contents against Freshmen -focused on case of Local University(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 류숙열;박혜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310-326
    • /
    • 2016
  • 새로운 대학생활과 학습 환경의 적응 및 교우 교수자와의 관계 형성에 부담을 가져야 하는 대학 신입생들을 돕기 위하여 많은 대학들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학교 적응 등을 돕기 위한 하나의 방안인 지역 대학 전략교양 교과('의사소통과 대인관계')의 팀티칭 운영(지도 교수 별 팀티칭 시행, 표준 교재 중심 지도 vs. 자율 멘토링 지도)의 효과성을 알아보고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신입생 대상 수강인원 31명과 교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대학 전략교양 교과 개발팀이 제공한 '의사소통능력 평가지' 및 '교과 만족도, 대학 적응감, 친밀도' 그리고 관련 의견에 대한 간단한 설문을 제작 적용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 분석은 대응 및 독립 표본 T-검정과 평정척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가지 유형의 팀티칭 교육과정 운영이 전략교양 교과의 수업목표측면(의사소통능력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본 결과, 표준 교재 지도 중심 운영 팀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둘째, 두 가지 유형의 팀티칭 운영에 따라 전략 교양 교과를 이수한 수강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대학생활 적응 측면(대학 적응감, 친밀감)에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알아본 결과, '표준 교재 중심 운영 팀'이 각 각 유의한 차이의 변화를 나타내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전략교양 교과의 이러한 팀티칭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학습자(수강생)들과 교수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반적인 교과의 만족도와 관련 의견이나 인식(강 약점, 개선 의견)그리고 기타 변화 상황 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중심 팀티칭의 교수 형태와 표준 콘텐츠 운영 방안의 교육적 함의점을 고찰하고 제안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언택트 시대에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가상 학교생활 체험 콘텐츠 연구 및 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of Virtual School Life Experiencing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the Untact Era)

  • 심재혁;조세홍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08-114
    • /
    • 2021
  • 최근 인류는 예전에는 경험하지 못하였던 '언택트(untact)'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언택트 시대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일상생활 환경에서 타인, 물체 등과 대면과 접촉을 하지 않거나 최대한으로 제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수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ICT 등 여러 최신의 기술들이 대면과 접촉의 효과를 주기 위하여 활용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가상의 환경, 사물, 타인과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실제 생활에서 경험과 최대한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학교 신입생들 또한 언택트 시대에 새로 입학한 학교의 환경이나 학사 운영 등을 경험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에 여러 불편을 겪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의 신입생들을 위한 가상 학교생활 체험 콘텐츠에 대한 연구와 구현으로, 신입생들이 학교 건물 내외부의 활용, 수강 신청을 비롯한 학사 일정의 경험, 입학식 및 동아리 행사의 참여 등을 실제와 최대한 유사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입생들은 구현된 VR 콘텐츠를 통하여 새로운 학교에 쉽사리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공계열 대학 신입생의 기초 수학분야 학업성취도 및 효율적인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On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 mathematics and the efficient methods of education)

  • 김병학;김재웅;김지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1-15
    • /
    • 2017
  • 대학 입학 제도는 고등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입학 후 전공에의 적응 및 수학능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이공계열 신입생들의 주요 과목으로 공동관리 되고 있는 미분적분학1을 2006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선형대수학을 2011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그리고 미분적분학2와 미분방정식과목에 대한 2011학년도부터 2015학년도까지의 학업성취도 및 입학전형을 비교, 분석하고 이공계열 신입생들의 전공에의 적응과 학업능력신장을 위한 개선점을 제안한다.

신입생의 빠른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활동 오락앱 개발 (Entertainment app Development Activities for the Adaptation of the Fast Life of a Freshman College)

  • 장은겸;이다희;이경민;최경훈;김정은;김형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79-80
    • /
    • 2015
  • 본 프로젝트는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캠퍼스 및 대학생활을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시설물의 위치 및 활용방법, 학사 행정, 수강 및 강의실 등 학교생활에 유용한 정보들을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는 오락용 어플리케이션이다. 빠른 학교생활적응과 부가적이고 적절한 유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미션을 해결하면서 목적을 달성하는 시나리오로 최종 미션을 완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기술적으로는 QR코드를 활용한 정보 및 미션을 제공하고 GPS 위치 정보를 활용한 자신의 위치와 캠퍼스 맵, 미션 힌트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미션 수행 과정을 통해 대학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오락용 프로젝트이다.

  • PDF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School Life of the Freshmen Selected by Admissions Officers Screening)

  • 전경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08-517
    • /
    • 2012
  • 입학사정관제는 점수위주의 경쟁을 지양하고 개별학생들이 지닌 잠재력과 역량을 바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 2008학년도 입시부터 처음 도입된 전형인 입학사정관제는 2012학년도에는 전체 대학 모집인원의 11.8%를 뽑는 수준으로까지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이 실제 학교생활을 분석함으로서 입학사정관제의 성과를 분석하고, 나아가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선발된 신입생이 잠재력과 역량을 발휘하며 대학생활을 성공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측정변인으로 선정한 학교적응도, 학교만족도, 진로성숙도, 학습태도에 있어서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은 모든 변인에서 타 전형학생들보다 긍정적인 응답을 보여주었고, 학교적응도와 학교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태도에 있어서 행동적 측면의 수업태도는 부족함을 나타내었다. 이에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들이 지닌 긍정적인 학교적응도와 학교만족도를 보다 고취시키며, 학습태도를 개선하기위한 위한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제공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코로나19(COVID-19) 환경 속에서 K대학 신입생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In the COVID-19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Adaption to College Life of Freshmen at K-University)

  • 김혜옥;윤종식;김진현;조해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 신입생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도 소재 K대학교 대학신입생 120명이고, 온라인 자가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4월 1일부터 2021년 5월 10일까지이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WIN versio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그룹간의 차이는 독립 t-test, 일원배치 ANOVA로 분석하였다. 사회적지지는 7점 만점에 평균 5.35±0.99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35±0.34점, 대학생활적응은 9점 만점에 평균 4.93±0.63점 이었다. 대상자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회복탄력성(r=.380, p<.000),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r=.372, p<.000)이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코로나19(COVID-19)와 같은 위기 상황 속에서도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된 사회적지지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예측 요인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Exploratory Study on the Determinants Predicting Student Depature of Freshmen: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이은정;이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17-33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중도탈락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여, 대학 차원에서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S대학교의 2018학번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이후 2년 동안 관찰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랜덤포레스트 중도탈락 예측 모형을 구축하였다. 예측모형에는 대학생활적응 요인 6개 변수, 교육만족요인 12개 변수, 총 18개 변수를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안정성, 경제적 여건, 전공진로에 대한 확신, 대학 선택 만족도, 교육방법(교육 내용의 체계성), 교육방법(전공 교육 내용의 효과성)이 중도탈락을 예측하는 중요도 상위 6개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 신입생이 대학생활에 적응하고 안정적으로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설계의 방향과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