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품 불안정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5초

황색포도상구균 박테리오파지의 저감화를 위한 물리화학적 처리 효과 (Effects of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for Reduction of Staphylococcal Phages)

  • 백다윤;박종현;조성래;이영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6-114
    • /
    • 2019
  • 본 연구는 황색포도상구균 박테리오파지를 물리화학적 방법을 통해서 제어하기 위해 황색포도상구균을 대상으로 하는 SAP 84 와 SAP 89를 신규 분리하였다. 그리고, 황색포도상구균 박테리오파지에 대해 물리적 방법으로 $55^{\circ}C$$60^{\circ}C$ 열처리와 pH 4, pH 7, pH 10 처리하였다. 그 결과 SAP 84는 $60^{\circ}C$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SAP 89는 $60^{\circ}C$에서 25 분 만에 모두 활성을 잃었다. SAP 84는 pH 4 ~ 10에서 매우 안정적이었고 SAP 89는 pH 10 이상에서 비교적 불안정해지는 것을 보였다. 화학적 방법으로는 에탄올과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FAS 처리를 하였다. SAP 84가 50%, 70% 에탄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살균력이 좋은 100 ppm의 차아염소산 나트륨에서도 SAP 84와 SAP 89는 상당히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Virucidal agent로 사용되는 FAS를 10%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SAP 84와 SAP 89 모두 처리 직후부터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SAP 84와 SAP 89 모두 화학적 처리 방법인 FAS 처리를 통해서 제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SAP 84는 물리적 방법인 열처리의 저감화 효과가 좋았으며 SAP 89는 화학적 방법인 에탄올 처리의 저감화 효과가 비교적 좋았다. 이렇듯 물리화학적 처리방법으로 황색포도상구균 박테리오파지를 제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 및 시장 동향 (Trends in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Degradable Plastics)

  • 유영선;소규호;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5-374
    • /
    • 2008
  •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이미 선진국의 포장재 공급업체들은 소비자의 관심과 재활용 규제가 친환경 포장재 수요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옥수수와 같은 식물을 활용해 만든 여러 형태의 바이오 플라스틱을 출시해 왔으며, 국내 업체들에서도 점차 이에 대한 관심을 높여가고 있다. 점차 강화되고 있는 폐기물 부담금과 불안정한 국제 유가를 고려할 때, 바이오 플라스틱은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과 연결되어 국내 플라스틱 산업의 새로운 활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비교적 초기단계에 있는 국내 친환경 플라스틱 기술에 대해 기업과 대학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빠르면 2-3년 내에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주원료로 한 도시락 용기, 컵라면 용기 및 각종 상품용 포장용기가 실용화되고, 장기적으로는 폐수내의 중금속 이온 제거제를 비롯하여 생체 의료용제 등과 같은 첨단의 고부가 생명 공학기술을 응용한 다양한 종류의 환경 친화 제품의 출시가 예상되며, 향후 생분해성 플라스틱 산업은 시장 잠재력과 성장성이 무한한 환경 관련 사업으로 평가된다.

추출방법에 따른 감귤과피 추출물의 항균효과 (Study on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Citrus Peel by Different Extract Methods)

  • 장세영;최현경;하나영;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9-324
    • /
    • 2004
  • 감귤과피의 열수, 에탄을 및 설탕 추출방법에 따른 항균활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감귤껍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설탕추출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10$\%$(w/v) 설탕용액에서 9일간 추출하였을 때 8종의 균주 모두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최소저해농도는 S. aureus에서 0.5$\%$(v/v), B. subtilis, M. luteus 및 E. coli는 1.5%(viv), S. mutans는2.0$\%$(v/v) 각각 나타났다. 감귤 껄질 추출물은 40$\~$100$^{\circ}C$, 1시간 처리범위에서 항균성은 매우 안정하였으나, pH의 변화에서는 불안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감귤껍질 추출물은 열안정성이 높은 항균성 소재로 개발이 기대되었다.

한국산 겨자중 Myrosinase의 정제 및 효소학적 특성 (Purification and Enzymatic Properties of Myrosinase in Korean Mustard Seed(Brassica juncea))

  • 신창식;서권일;강갑석;안철우;김용관;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87-694
    • /
    • 1996
  • 한국산 겨자에서 myrosinase를 분리 및 정제하고, 이들의 효소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겨자 myrosinase를 DEAE-cellulose, Concanavalin A-Sepharose 및 FPLC Soporose 6 칼럼을 이용하여 분리 및 정제하였을 때 적어도 3개의 이성효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yrosinase II-2의 최종 비활성도는 57.lunits/mg, 정제도는 약 248배였다. SDS-PAGE상에서 myrosinase(II-2)의 단일밴드를 확인한 결과, 그 분자량은 약 67KD로 추정 되었다. 최적 pH는 phosphate 및 Tris-HCI 완충액에서 7.0이 가장 활성이 높았고, 그 효소는 pH 7.0에서 안정하였으며, 최적 활성을 나타내는 온도는 $37^{\circ}C$ 부근이었고, $40^{\circ}C$ 이상에서는 비교적 불안정하게 나타났다. Ascorbic acid의 영향은 1mM에서 가장 안정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망간과 마그네슘 및 나트륨은 효소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리, 수은 및 철 이온은 약간 저해하였다. Ascorbic acid analogue 중 dehydroascorbic acid는 효소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나머지 것들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Mer-captoethanol과 dithiothreitol과 같은 환원제는 효소활성을 억제하였으나 이들과 ascorbic acid를 함께 첨가 하였을 때는 활성이 다소 증가하였다.

  • PDF

산수유 퓨레로 제조한 젤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Using Fresh Puree of Sansuyu (Corni Fructus))

  • 정지숙;박수진;손병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3-91
    • /
    • 2017
  • 본 연구는 산수유 퓨레를 첨가하여 젤리를 제조하였으며, 젤화제 종류 및 함량, 가열시간에 따른 젤리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수유 퓨레는 수분 함량 89.39%, pH 2.92, 당도 $10.28^{\circ}Brix$, 총폴리페놀 함량 1,791.71 mg GAE/100 g이었다. 산수유 퓨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3.04~2.97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부착성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붉은색이 불안정하여 황색으로 변하였으며, 5분 이상 가열 시에는 젤리가 되지 않았다. 산수유 젤리의 pH는 3.04~2.97, 당도는 $64.31{\sim}66.96^{\circ}Brix$ 범위였다. 산수유 퓨레 10%, 한천 1.5%, 카라기난 1.0% 첨가한 젤리의 기호도가 5.15로 가장 높게 평가 되었다. 산수유 과육을 이용함으로써 과육에 포함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젤리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

초고온 멸균유의 저장중 겔 형성의 추적 (Detection of Gelation in Ultra-high Temperature Treated Milks During Storage)

  • 박인덕;홍윤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4-406
    • /
    • 1993
  • 시판되고 있는 초고온 멸균유의 저장 중 겔 형성을 추적하기 위하여 제품을 실온에 저장하면서 2,4,6-trinit-robenzene sulfonic acid를 이용하여 유리 아미노그룹을 정량하고 pH와 알콜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유리아미노그룹은 저장초기에 $0.94{\sim}1.11{\mu}M$이었고 $5{\sim}6$개월째에는 $1.95{\sim}2.17{\mu}M$이었으며 12개월째에는 $4.95{\sim}6.36{\mu}M$ 로 증가하였다. 시료의 pH는 저장초기에는 6.72이었고 $5{\sim}6$개월째에는 $6.49{\sim}6.55$이었으며 12개월째에는 $6.14{\sim}6.16$으로 서서히 감소하였다. 알콜시험에서 시료는 저장 $5{\sim}6$개월째부터 양성반응을 보여 카제인의 불안정성과 겔 형성의 개시를 추정케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시판되는 초고온 멸균유의 겔 형성은 제조 후 정기적으로 몇 가지 요소들을 측정함으로써 추적될 수 있고 이 방법들은 제품의 품질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이소말토올리고당과 프락토올리고당의 물리적 성질 및 생리학적 특성 (Phys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Isomaltooligosaccharides and Fructooligosaccharides)

  • 김정렬;육철;권혁건;홍성용;박찬구;박경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0-175
    • /
    • 1995
  • 이소말토올리고당(IMO)의 물리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에 관하여 프락토올리고당(FO) 및 설탕과 비교 연구하기 위하여 열 안정성, pH 안정성, 수윤 보습력 및 점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올리고당이 첨가된 사료를 어린 쥐에 경구투여 사육하면서 체중 변화, 분변 함수율 및 사육후의 맹장 무게 등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사육한 쥐의 배설물로부터 전체 장내 세균 중 Bifidobacterium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점도와 수분보습력에 있어서 두 올리고당은 설탕보다 높았으며 두 올리고당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열 및 pH 안정성에 있어서는 프락토올리고당은 열 및 pH에 불안정한 반면 이소말토올리고당은 pH3, $120^{\circ}C$에서 안정하였다. 어린 쥐의 사육 실험 결과 체중변화 및 사료 효율은 각 군 간에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고 분변의 수분 함유율은 이소말토올리고당이 가장 높아 변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편 프락토올리고당 투여구의 쥐에서 맹장이 평균 18% 정도 비대해졌다. 분변내 Bifidobacterium의 비율은 IMO 첨가 시료군에서 가장 높아 이소말토올리고당의 Bifidus균 증식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추출온도(抽出溫度) 및 시간(時間)이 홍삼(紅蔘)엑기스의 사포닌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on Saponin Composition of Red Ginseng Extract)

  • 성현순;양차범;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5-270
    • /
    • 1985
  • 홍미삼을 원료로 홍삼엑기스를 조제할때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이 조사포닌의 수율과 ginsenoside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엑기스의 수율은 추출온도가 상승되고 추출회수가 증가될수록 증가되는 반면 조사포닌의 수율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100^{\circ}C$의 경우 현저하여 열에 대한 불안정함을 보여주었고$80^{\circ}C$이하에서는 대체로 안정하였다. Ginsenoside별 구성율은 추출회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어 용출의 특이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용출율에서는 온도상승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PT제에 비하여 PD계의 사포만의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나 열에 대한 안정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물 추출구(區) 및70%에탄올구(區)모두 $3{\sim}4$회 추출로 총사포닌의 94% 이상이 용출되었으며 초기용출은 물 추출구(區)가 더 컸다. 따라서 홍삼엑기스의 수율과 작업성 및 사포닌의 안정화 유지를 위한 적정 추출온도 및 추출회수는80이하에서 $3{\sim}4$회 추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마른김의 당류조성(糖類組成)과 저장중의 변화 (Changes in Sugars Composition of Dried Lavers during Storage)

  • 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35-239
    • /
    • 1973
  • 마른김의 당류조성(糖類組成)과 이것의 저장중(中)의 변화(變化)를 GLC 및 GC-MS에 의(依)하여 조사검토(調査檢討)하였다. 1. 마른김의 당류(糖類)로서 glucose, galactose, inositol 및 floridoside의 4종(種)을 동정(同定)하였으며, 이중(中) inositol만은 peak의 불안정(不安定)으로 정량(定量)을 보유(保留)하였다. 2. Glucose는 저습도하(低濕度下)에서나, 고습도하(高濕度下)에서나 저장중(中)에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galactose는 저습도하(低濕度下)에서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고습도하(高濕度下)에서는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여 저장전(前)의 10배량이상(倍量以上)에 달(達)하였다가 다시 감소(減少)하는 변화(變化)를 보였다. 3. Floridoside는 저습도하(低濕度下)에서는 서서(徐徐)히 감소(減少)하는데 비(比)하여, 고습도하(高濕度下)에서는 급속(急速)히 감소(減少)하여 galactose와는 극히 대조적(對照的)인 변화(變化)를 보였다. 4. 미동정성분중(未同定成分中) mass spectrum으로 보아 isofloridoside라고 추정(推定)되는 성분(成分)의 저장중(中)의 변화(變化)는 floridoside의 변화(變化)와 극히 유사(類似)하였다.

  • PDF

토스팅에 따른 김의 지방질 산화, 산화방지성분과 색소 변화 (Toasting Effects on the Lipid Oxidation, Antioxidants, and Pigments of Dried Laver (Porphyra spp.))

  • 손수정;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77-681
    • /
    • 2014
  • 건조 김은 $120^{\circ}C$에서 40 s 또는 300 s, $250^{\circ}C$에서 2 s, 5 s의 토스팅 과정에 의해 과산화물값과 공액이중산값이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함량 비율인 U/S 값이 감소하는 등 그 정도가 크진 않았으나 유의하게 지방질이 산화되었으며, 토스팅 조건 차이에 따른 유의한 영향은 없었다. 또한 산화 방지 성분 중 포피란이 김의 토스팅에 가장 안정하였고 폴리페놀 화합물이 가장 불안정하였다. 토스팅에 의해 김에 존재하는 색소 중 파이코사이아닌과 파이코에리트린의 분해가 가장 컸으며, ${\beta}$-카로텐과 루테인은 30-50% 정도의 분해율을 보였고 클로로필 a의 분해율은 10% 미만으로 가장 안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