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생활영역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19초

성인 대상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 실천 및 순응도 평가 항목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for accessing practice and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among Korean adults)

  • 김민아;육성민;오지은;임지민;서혜지;임영숙;오지수;김혜영(A);황지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2호
    • /
    • pp.244-260
    • /
    • 2024
  • 본 연구에서 개정된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을 기반으로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식생활 습관, 환경을 고려한 식생활 문화를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을 개발하였다. 예비 문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외 평가도구 및 최신 문헌을 조사하여 항목을 조사하였고, 전문가 11명 대상 타당도 평가를 통해 70개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후보 항목 평가를 위해 서울·수도권 지역 중심으로 성인 332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조사를 시행하였고, 하루 총 에너지 섭취가 500 kcal 미만 또는 5,000 kcal 이상으로 섭취한 대상자 2명을 제외한 330명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수렴타당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최종 선정된 문항은 총 34개로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영역 11개, 식생활 습관 영역 9개, 식생활 문화 영역 14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항목은 2021년 개정된 식생활지침을 기반으로 영역별로 성인의 전반적인 식사의 질과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동시에 평가하는 데 용이하다는 점에서 건강한 식생활 개선을 위한 평가 도구로써 활용이 기대된다.

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with Respect to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 김수연;이심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5
    • /
    • 2007
  •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위치한 남녀중학생 1학년 270명과 3학년 252명, 총 522을 대상으로 학년별 성별에 따라 기술 가정교과 내의 식생활단원에 대한 인식, 활용도, 수업만족도, 요구도 및 학습 후 학생들의 식생활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술 가정 교과에 대하여 1학년과 3학년 모두 선호도가 낮았으며, 좋아하는 이유로는 1학년, 3학년 모두 '실생활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이며, 싫어하는 이유로는 '내용이 흥미 없기 때문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술 가정교과에 대하여 1학년이 3학년보다 높은 흥미도를 보였으며, 실생활 도움 정도는 3학년이 1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술 가정교과 내의 식생활단원에 대하여 1학년의 선호도가 3학년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좋아하는 이유는 1학년, 3학년 모두 '조리실습을 좋아하기 때문에'가, 싫어하는 이유로는 1학년, 3학년 모두 '영양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의 필요도는 1학년이 3학년보다 더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식생활 단원이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정도도 1학년이 3학년보다 더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실생활에 도움이 안되는 이유는 1학년, 3학년 모두 '실생활에 적용할 시간이 없어서'가 가장 많았다. 식생활단원에 대한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학년이 3학년보다 높은 활용도를 보였다(P<0.001). 식생활단원에 대한 수업만족도가 낮은 편이었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요구도는 1학년이 3학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필요도를 보인 것은 1학년과 3학년 모두 '조리의 기초와 실제'였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요구도, 만족도,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도와 만족도, 만족도와 활용도, 요구도와 활용도간에 모두 유의적 수준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가정 교과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 선호도 및 활용도, 요구도 등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학년의 선호도, 요구도, 활용도 등이 3학년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영역을 선호할수록 식생활 수업을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식생활영역 요구도와 만족도, 활용도 등이 높았다. 따라서 식생활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식생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이 식생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높은 학업성취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Dietary Educa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es Classes - Focusing on the 7th Curriculum -)

  • 김윤선;강세진;이귀주;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74
    • /
    • 2011
  • 본 연구는 현재 기술 가정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식생활교육에 대하여 중학생틀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유효응답자 444명 중 78.1%가 주로 기술 가정교과로부터 식생활 관련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있었으며, 62.6%가'실생활에 도움이 된다', 67.3%가 '학교식생활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시행중인 식생활교육지원법에 대해서 88.7%의 응답자가 모르고 있었다. 식생활교육영역을 총28개의 항목으로 세분화하여 질문한 결과, 전반적으로 관심도가 높은 항목일수록 실천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관심도 및 실천도를 나타냈다. '식사예절' 및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영역과 관련된 교육항목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식품 조리' 영역에 대한 관섬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교식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는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성별, '식사예절' 단원의 실천도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국민건강영양조사에 활용 가능한 식생활 조사항목 개발 및 유용성 검증 (Development of dietary behavior items available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임아현;최숙영;심재은;황지윤;문현경;김기랑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5호
    • /
    • pp.407-418
    • /
    • 2015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생활 조사영역에서 만성질환의 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항목의 개발 및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국내 및 국외에서 실시하고 있는 식생활 조사항목을 고찰하였다. 고찰된 결과를 기반으로 국민 식생활 패턴이 반영되면서 국가 정책의 평가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식생활 조사항목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발 및 보완된 식생활조사항목은 국내외 식생활 관련 연구 및 정책에서 사용한 식생활 조사항목을 고찰한 결과를 기반으로 후보 항목을 도출하였고, 전문가 포커스 그룹 조사 및 수요도 조사를 통해 검토되어 8개의 식생활 조사 항목이 선정되었다. 2) 전문가 포커스 그룹 조사 및 수요도 조사 결과에서 선정된 8개의 조사 항목 중에서 조사 필요성 및 타당성에 대해 전문가 의견의 합의가 있는 항목을 최종 선정한 결과, 전체 대상으로는 소금 및 나트륨 섭취, 가당 및 단순당 섭취, 충분한 식사시간 확보 및 식사속도에 대한 항목이 선정되었고, 아동 및 청소년 대상에서는 전체 대상 조사 항목에 추가적으로 카페인 음료 섭취, 간식 및 건강한 식품섭취 항목이 추가되었고, 노인 대상에서는 섭취 제한, 간식 및 건강한 식품섭취 항목이 추가되었다. 3) 최종 선정된 식생활 조사 항목별 설문 문항을 구성하기 위하여 생태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 사회인지이론에 적용하여 각 조사 항목별로 환경, 개인적 요인, 행동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4) 개발된 식생활 조사 항목별 설문 문항은 학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안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인지조사를 통해 이해도 평가와 신뢰도 평가를 측정한 결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최종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 담당자 및 영양분과위원회의 회의 및 검토를 통하여 설문문항이 확정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조사 문항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조사 영역 중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로 pilot study를 수행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가 높게 나타난 영역부터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향후 우선순위에 따라 순환 조사를 할 수 있다. 둘째, 식생활 조사 시, 각 영역별의 환경, 개인적 요인, 행동 문항은 같이 조사하여 서로 문항 간의 상관성 및 유효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개발된 신규 조사 문항은 현재 중요한 영양 이슈 중심의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므로 향후 추가적인 영양문제로 새로운 항목 개발 시에도 좀 더 구체적인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문항을 이용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정책 마련에 활용해야 하겠다.

식행동, 식생활 환경을 반영한 청소년의 식생활·영양 실천 평가 항목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for adolescent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practices reflecting eating behaviors and food environment)

  • 임지민;서혜지;오지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136-152
    • /
    • 2024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청소년 식생활·영양 실천 평가 항목은 총 22개의 문항으로 청소년들이 개인의 전반적인 식사의 질 및 식행동, 식환경을 영역별로 평가 가능하며, 향후 청소년의 식생활 개선을 위한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을 기반으로 청소년의 다양한 식생활, 식문화와 관련된 선행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국가 정책 및 지침에 대한 검토와 전문가 대상 타당도 평가를 진행하여 58개의 수도권단위 예비 조사용 체크리스트 평가항목을 우선 선정하였다. 수도권단위 조사는 중·고등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조사 자료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식단의 질 평가항목을 식품섭취, 식행동, 식생활 환경 세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식사섭취실태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를 분석하고 최종 모형으로 총 22개의 평가항목이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청소년 식단의 질 평가도구는 식품섭취 영역 10개 항목 (채소류, 황색채소, 생과일, 계란 및 육류, 콩과 견과류, 우유·유제품, 다양한 식품군, 가당음료, 가공육류, 튀김류), 식행동 영역 4개 항목 (유산소, 체중유지, 끼니섭취 횟수와 규칙적인 식사), 식생활 환경 영역 8개 항목 (유통기한, 덜어먹기, 로컬푸드, 친환경식품, 가정 내 신선한 과일채소, 유제품의 비치와 부모님의 식사준비 여부 및 건강한 간식 섭취의 격려)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청소년 식생활·영양 실천 평가 항목은 22개의 간단한 문항으로 청소년들이 개인의 전반적인 식사의 질 및 식행동, 식환경을 영역별로 점수 평가하는데 용이하다는 점에서 청소년의 식생활 개선을 위한 도구의 활용이 기대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가정과 교육과정과 인성교육과의 관련성 (2009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Relation to the Character Education)

  • 이연숙;채정현;유태명;왕석순;이은희;김하늬;최민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47
    • /
    • 2013
  • 본 연구는 가정교육학 분야에서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어떠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는지 고찰하고, 가정과 교육과정은 인성교육의 요소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은 2009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및 성취기준을 죠셉슨 연구소가 제안한 존중, 배려, 책임, 신뢰성, 공정성(정의), 시민성의 여섯 기둥 덕목을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전문가로부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가정교육학의 제 영역인 인간발달과 가족, 자기관리와 소비생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영역의 인성교육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모든 영역이 인성교육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육내용 및 성취기준과 인성교육 덕목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인간발달 및 가족 영역에서는 인성교육의 모든 덕목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자기 관리와 소비생활 영역을 분석한 결과, '자기관리' 중영역은 책임 덕목과 많은 관련이 있고 존중과 배려 덕목과도 일부 관련이 있다. '소비생활' 중영역은 주로 시민의식 덕목과 많은 관련이 있고 책임 덕목과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다. 식생활 영역에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중영역은 진실성, 존중, 책임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공정성, 배려, 시민의식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다. '녹색식생활과 음식만들기' 중영역은 진실성, 존중, 책임, 공정성, 배려, 시민의 식의 모든 덕목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생활 영역에서 '옷차림과 자기표현' 중영역은 진실성, 존중, 배려, 시민의식과,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중영역은 존중, 배려, 시민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주생활 영역에서 '주거와 거주환경' 중영역은 나와 다른 삶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관용적 자세와 관련이 있다. '지속가능한 주생활과 주거 공간 꾸미기' 중영역은 타인에 대한 배려와 관심, 환경에 대한 책임의식과 공동체적 협력과 관련이 있다. 종합적으로 자기 관리와 소비생활영역의 교육내용과 성취기준은 인성교육의 일부 덕목과, 그 외의 모든 영역은 인성교육의 모든 덕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 조사 및 기술.가정 교과의 식생활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ur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atisfaction of Dietary life Instruc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 김윤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7-128
    • /
    • 2010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의 6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남녀 493명을 대상으로 식생활 수업에 관한 내용, 영양지식, 식습관 및 식태도, 식생활의 실제적인 도움정도에 관한 내용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되었다. 기술 가정교과의 식생활영역 수업 만족도는 보통이 43.5%로 가장 많았고 수업에 만족하지 않는 이유로는 지루한 강의식 수업이어서가 10.1%로 가장 높았다. 가장 많이 원하는 수업형태는 실험 실습수업이었고(75.4%), 조리실습이 가장 관심이 많았으며(53.0%), 가정과의 식생활 교육이 실제 생활에 도움을 주는 정도는 3.30/5점(66/100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영양지식 총점은 7.29/12점(60.75/100점)이었으며, 여학생점수와 3학년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식습관 및 식태도의 점수는 3.55/5점(71/100점)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점수가 높았고, 1학년의 식습관점수가 가장 높고, 3학년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열량과 비만에 관한 영양지식 점수와 식습관 및 식태도 영역에서 싱겁게 먹기, 규칙적인 식사, 정상체중 유지, 인스턴트 및 패스트푸드 자주 먹지 않기, 환경을 생각한 식생활 항목의 점수가 낮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식생활 교육은 중학생의 성장과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유도하고, 기술 가정교과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해 강의식 중심의 수업진행보다는 실험과 실습을 중심으로 하여 건전한 식습관 및 인성을 형성시켜 줄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정과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가정과의 다른 영역 및 타 교과와의 융합교육을 통해 실생활에 적용, 응용할 수 있는 능력과 창의적인 사고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적극적인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중학생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n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은숙;고무석;정난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3-70
    • /
    • 2005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를 이수한 2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중학교 가정교과와 식생활 단원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필요도, 난이도, 실생활에서의 활용 정도를 조사$\cdot$분석하여 식생활 단원의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편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교과 학습내용의 인식은 '조리, 세탁, 육아 등 가정생활에 필요한 기능을 배운다' $(38.9\%)$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건전한 생활 이념과 올바른 인간 형성에 관한 것을 배운다'$(27.5\%)$로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학습내용의 인식은 '식생활 향상을 위한 식품 영양의 지식과 원리를 배운다'$(38.8\%)$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가정생활에 필요한 실질적인 기능을 배운다'$(30.7\%)$로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필요도는 청소년의 식사(3.95), 청소년의 영양(3.89), 조리의 원리와 음식 만들기(3.88)순으로 대체로 높은 편이며 식생활 단원 전체와 모든 영역에서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난이도는 청소년의 영양(2.78), 청소년의 식사(2.70). 조리의 원리와 음식 만들기(2.59) 순으로 중간 정도의 수준이었다. 여학생이 식생활 단원 전체를 더 어렵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또한 청소년의 영양과 청소년의 식사를, 남학생은 조리의 원리와 음식 만들기를 더 어렵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실생활의 활용도는 청소년의 식사(3.28), 조리의 원리와 음식 만들기(3.15), 청소년의 영양(3.07) 순으로 필요도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남학생이 식생활 단원 전체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청소년의 영양과 청소년의 식사를, 여학생은 조리의 원리와 음식 만들기가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의 필요도 및 난이도와 활용도의 상관관계는 식생활 단원의 학습내용에 대하여 학생들의 필요도가 높을수록 식생활 단원의 모든 영역의 실생활활용도가 높게 나타났고 어렵게 인식할수록 식생활 단원의 모든 영역의 실생활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 PDF

고등학생 대상의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개념 인식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Conceptual Awareness of Sustainable Diet Utilizing Photovoice for High School Students)

  • 홍승아;정세호;이정우;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35-149
    • /
    • 2023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시각에서 바라본 지속가능한 식생활의 실천 사례와 개념, 실천을 방해하는 요소들에 대해 파악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이 보완될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식생활의 실천 사례와 실천하지 못한 사례들에 대해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실시 유무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교육 미실시 그룹을 대상으로는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에 대해서만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실시 그룹을 대상으로는 지속가능한 식생활 내용 체계에 따라 구체적 영역별 학습요소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미실시 그룹 7명은 65장의 사진을 제출하였으며 교육 실시 그룹 8명은 80장의 사진을 제출하여 총 145장의 사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들의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개념 인식도는 건강 66.54%, 환경 23.74%, 배려 9.7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식생활 영역에 따라 연구대상자들이 제출한 결과물을 범주화한 결과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을 통해 추출되는 개념들이 다양하며 해당되는 소영역의 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대상자들이 당류 및 나트륨 함량이 높은 음식들을 섭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직접 조리하여 식사하기보다는 주로 배달 음식을 먹거나 외식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면담 결과 지속가능한 식생활의 실천 방법에 대해서 개념적 이해는 하고 있으나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들이 있었으며 연구대상자들은 포토보이스 활동을 통해 자신의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관점에서의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의미와 실천 사례에 대해 질적 연구 방법인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가정과 교육에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