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4초

새만금 수역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경년(2001-2010) 변화 (Annual Variations(2001-2010) of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in Saemangeum Water Region)

  • 여환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326-4333
    • /
    • 2012
  • 새만금 방조제 건설기간에 해당하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새만금 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조사 시기 및 조사 정점에 따라 57 - 85,219 cells/ml의 큰 변화를 보였다. 새만금호 내부 수역은 담수 및 해수의 유입량 변화와 계절변화에 기인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시공간적으로 변화하였다. 한편, 담수 정점들은 상시적으로 높은 현존량이 기록되어 녹조발생이 잦았으나 방조제 밖 해수역의 현존량은 보편적 범위에 있어왔다. 장기적 관점에서 방조제 물막이 공사 완공(2006년 4월)을 전후하여 비교할 때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주암호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와편모조 Peridinium bipes의 시공간적 분포

  • 최지영;김보라;고춘주;김백호;한명수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지 제13권(제2호)
    • /
    • pp.163-164
    • /
    • 2004
  • 최근 담수적조가 발생하고 있는 주암호의 와편모조 Peridinium를 중심으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동태와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3년 8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매월 1회씩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변동을 조사하였다. 주암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호소 유입부인 정점 3에서 높은 현존량과 종수를 보인 반면, 댐 인접부근인 정점 1에서는 낮은 현존량을 보였다. 또한 와편모조 Peridinium bipes의 대발생은 주로 강우가 적고 저수량이 적은 건기에 일어났으며, 대발생 시기와 규모는 정점 3, 정점 2, 정점 1순으로 나타났다.

  • PDF

동해(東海) 서남해역(西南海域) 식물(植物) 플랑크톤의 현존량(現存量) 분포(分布)와 수온(水瑥)-염분(鹽分) 특성(慝性)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 and the Associated T-S Properties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Sea of Japan))

  • 이원호;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
    • /
    • 1990
  • 동해 서남해역의 상부 125미터 수층을 대상으로 1981년 9월부터 1984년 10월에 걸 쳐 6회의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841개의 해수시료를 구하였고, 이들의 수온, 염분, 무 기영향염류 및 식물플랑크톤 종별 현존량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도합 235종류의 식물플랑크톤을 동정하였으며, 이 가운데 Cylindrothecqa closterium 과 Nitzschia delicatissuma 등의 두 종이 최고의 공통종인 동시에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연구해역 상부혼합 층 시료 중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수온, 염분 및 무기영양염류 등의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봄에는 수온의 회귀상수가 염분에 비해 1.6-4.2배 컸으며, 반대로 가을에는 염분의 회귀상수가 수온에 비해 2.1-3.4배 크게 나타났다. T-S diagram 위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분포가 봄에는 수온 변화에 민감 하였으며 가을에는 염분 변화에 민감하였고, 도식적으로 T-S diagram 상에 표시한 높 은 현존량 구역은 계절적으로 순환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연구해역의 식물플랑 크톤 현존량 분포가 여타가 여타의 환경요인보다 특별히 해양물리학적 특성과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 PDF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관한 연구 (Standing Crops of Freshwater Phytoplankton in Kumgang River, Korea)

  • 이석구;부성민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47-353
    • /
    • 2000
  •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를 알기 위하여 현도, 마암, 장암, 나포에서 1998년 10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매월 1회 채수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현도에서 7월에 $39.5{\times}10^3cells ml^{-1}, 마암에서 7월에 112.1{\times}10^3cells ml^{-1}, 장암에서 7월에 125.5{\times}10^3cells ml^{-1}, 나포에서 8월에 288.6{\times}10^3cells ml^{-1}로 최대였으며, 현도와 마암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5.0{\times}10^3Cells ml^{-1}이하였고, 나포에서는 5.0{\times}10^3Cells ml^{-1}$ 이상이었으며, 장암은 그 중간이었다. 각 조사 정점의 현존량은 마암이 현도보다 3배 이상 높았고, 장암이 마암보다 1.3배, 나포는 장암보다 2.1배 높아서, 중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현존량 조사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봄부터 초여름까지는 장암의 현존량이 최대였고, 다른 계절에는 나포에서 가장 높았다. 현존량의 시공 분포 변화는 중심형의 소형 규조류 Cyclotella spp.와 Stephanodiscus spp. 및 사상 규조류 Aulacoseira spp.의 번무에 기인하였다.

  • PDF

대청호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in the Daechung Reservoir)

  • 이진환;오희목;맹주선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55-365
    • /
    • 2000
  • 본 연구는 1998년 5월부터 11월까지 대청호의 2개 정점 표ㆍ중ㆍ저층에서 수질과 일차생산을 나타내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물리ㆍ화학적 환경요인(수온, 용존산소량, pH, 투명도, 총질소, 질산염, 아질산염, 암모니아, 총인, 인산염, 용존총인, 총유기탄소, 부유물질),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chlorophyll-a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영양염류(아질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및 인산염)가 과거에 비하여 증가되었으며, 총질소, 총인,chlorophyll-a 및 투명도는 부영양화의 기준치를 초과하여 대청호의 수질은 심한 부영양화 수역으로 판명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7월과 8월의 정점 1을 제외하고 년중 대발생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봄철 대발생은 아질산염, 질산염 및 인산염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Chlorophyll-a의 농도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별 변동과 대부분 같은 경향으로 변화하였다. 여름철에 높은 부유물질은 장마기의 강우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8월의 많은 종속영양 세균수는 높은 수온과 장마시 주변 수역으로부터 유입된 각종 유기영양염류의 유입에 따른 대량증식으로 추정된다.

  • PDF

철원북방 DMZ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V. 경안천(팔당호)과 토교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현존량과 Chlorophyll $\alpha$의 계절 변동 (Ecological studies on Togyo Reservoir in Chulwon, Korea. V. Seasonal Changes of Size-Fractionated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 a of Phytoplankton in Kyungan Stream of Paldang River-Reservoir Systems and Togyo Reservoir, Korea)

  • 한명수;이후랑;홍성수;김영옥;이경;최영길;김세화;유광일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91-99
    • /
    • 2002
  • 오염부하량이 높은 경안천과 오염부하량이 낮은 철원북방 비무장지대내 토교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현존량과 chlorophyll a농도에 대한 계절적 변화 및 환경요인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식물 플랑크톤의 크기를 고려하여 > $8\mu{m},\;3-8\mu{m},\;<3\mu{m}$ 세포 크기별로 분획하여 현존량과 chl. a 농도를 관찰하였다.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은 경안천이 토교저수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경안천에서 10배 정도 높았으나 크기별 chl. a의 농도는 두 지점 모두 소형 플랑크톤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경안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대부분 미세형이었지만 chl. a는 부분적으로 극소형 이 우위를 차지하였다. 반면, 토교저수지에서는 현존량은 소형과 미세형이, chl. a는 소형에서 높이 분포하였다. 따라서 영양염 및 물리적 조건이 서로 상이한 수계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는 출현종의 크기를 결정하기도하고 출현종의 특성에 따라 현존량과 chl. a의 불균형적 특성을 유도한다.

우포늪과 목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Woopo and Mokpo Swamp)

  • 김한순
    • 생태와환경
    • /
    • 제34권2호통권94호
    • /
    • pp.90-97
    • /
    • 2001
  • 국내에서 규모가 가장 큰 우포늪과 목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현존량, 우점종, 종 다양성 및 우점도 지수 등을 조사하였다. 우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조성은 녹조류와 규조류에 의해 우점되었으며, 현존량의 최고 밀도는 Oscillatoria sp.와 Micractinium psuillum이 bloom을 형성한 5월과 11월에 나타났다. 현존량의 강별 구성은 겨울을 제외한 전조사기간 동안 녹조류와 남조류가 우점하였고, 남조류는 4월부터 9월까지 그리고 11월에 높은 현존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5월과 7월에 매우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었다. 규조류와 유글레나류는 1월과 2월에 현존량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났으나 총 현존량이 적어 큰 의미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점종은 녹조류의 Micractinium pusillum은 가을과 겨울에 우점종으로 출현하였고, 남조류 Oscillatoria sp.가 두 정점에서 모두 4월부터 9월까지 그리고 11월에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과 Monoraphidium contortum, 그리고 Cryptomonas sp. 등이 일시적인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나 규조류는 우점종으로 출현하지 않았다. 종 다양성은 우점도 지수와 역의 상관도를 나타내었으며, 현존량이 최고치인 Micractinium pusillum과 Oscillatoria sp.가 bloom을 형성하여 절대적인 우점도를 나타낸 5, 6월 및 11월에 종 다양성은 가장 낮았다.

  • PDF

운문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The Dynamic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Unmun Dam)

  • 김한순
    • 생태와환경
    • /
    • 제45권2호
    • /
    • pp.232-241
    • /
    • 2012
  • 2009년 8월부터 2010년 4월까지 계절별로 조사된 운문댐의 식물플랑크톤은 총 121종류였으며, 이들은 녹조류(47종류)와 규조류(45종류)가 출현종의 76%를 차지하여 가장 중요한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점별 출현종 수는 동창천과 운문천의 유입부 지점이 합류부나 취수탑 부근보다 출현종 수가 많았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동창천 유입부 지점에서 가장 높은 현존량을 나타내었으며, 계절별로는 봄철에 가장 높은 현존량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강별 구성은 가을철에는 와편모조류가 가장 높은 구성비를 차지한 반면 나머지 계절 동안에는 규조류가 가장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고, 남조류는 여름철에 비교적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우점종은 여름철에는 규조류Aulacoseira granulata가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가을철에는 와편모조류 Peirdinium voltzii, 겨울과 봄철에는 규조류 Asterionella formosa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운문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는 가을철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우점도지수는 봄철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원 하수종말처리장 주변 수역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현존량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in the Nearby Streams of Suwon Sewage Disposal Plant)

  • 이옥민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82-291
    • /
    • 2001
  •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와 현존량의 수질에 대한 지표성을 이용하여 수원시 하수종말처리장 주변수역의 6개 정점을 선정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식물상을 밝히고, 특히 주로 특정 서식처에 분포하는 종을 조사함으로써 조사 수역의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계절별 현존량을 측정하여 하수종말처리장 주변수영의 오염정도와 연중 변화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Engler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4문 4강 11목 6아목 22과 2아과 54속 155종 20변종 1품종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Microcystis flos-aquae과 Oscillatoria chlorina를 비롯한 다수의 분류군이 부영양화된 수역에서 출현하는 종류로서 모든 조사정점에서 출현하였다. 또한 현종량의 정점별, 계절별 분포는 정점 1,2,4sms 하계에 현종량의 최고치를 나타내며, 정점 6은 추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정점 3과 5에서 동계에 현존량의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계절별 평균치를 보면 동계의 평균 현존량 값이 6,363,000cells/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추계와 하계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점 1,2,4,6은 하계 또는 추계에 현존량의 최고치를 나타냄으로써 부영양화된 수역임을 알 수 있었으나, 반면에 정점3,5는 동계에 최대의 현존량을 나타냄으로써 전형적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의 계절적 분포와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이상과 같은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와 현존량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수원시를 통과하여 흐르는 모든 수역이 부영양화된 수역임을 알 수 있었으며, 하수종말처리장을 통과한 수역인 정점 5와 6도 역시 부영양화된 수역으로 나타났다.

  • PDF

동해안 석호의 식물플랑크톤 분포와 현존량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of Lagoons in the East Coast of Korea)

  • 문병렬;이옥민
    • 환경생물
    • /
    • 제20권4호
    • /
    • pp.325-338
    • /
    • 2002
  • 송지호, 쌍호, 매호, 향호 등 4개의 호소로부터 총 12개의 채집 정점을 선정하여 2001년 5월, 8월 그리고 11월 등 3회에 걸쳐서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와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본 조사수역으로부터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는 Engler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총164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이는 4문 4강 14목 26과 59속 139종 22변종 2품종 1미동정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문별로 살펴보면 남조식물문이 31종 2변종으로 33분류군이 출현하였고,황갈조식물문의 규조강이 84종 16변종으로 총 10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또한 유글레나식물문은 6종 1변종으로 7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녹조식물문은 18종 3변종 2품종 1미동정종으로 총 24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각 정점의 우점종은 synedra fasciculata, Nitzschia amphibia, Cyclotella comta, Oscillatoria planctonica 등 5종의 규조류와 3종의 남조류로 나타났다. 아우점종은 Trachelomonas cervicula와 Spirogyra sp.를 제외하면 Nitzschia obtusa를 비롯하여 대부분이 규조류로 나타났다. 현존량은 조사된 4개의 석호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다. 본 연구수역에서 출현한 종 중 Oscillatoria chlorina등 16분류군이 오염수역에 분포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정수역에 분포하는 종으로는 Cocconeis placentula 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Microcystis nos-aquae 등 4종은 비릿한 냄새를 내서 악취를 낼 수 있는 종류들이다.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와 현존량을 통하여 볼 때 조사 수역은 오염수역에 분포종이 다수 분포하며, 높은 현존량을 나타냄으로써 모두 부영양화된 수역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