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in the Daechung Reservoir

대청호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 이진환 (상명대학교 생물학과) ;
  • 오희목 (생명공학연구소 환경생물소재연구실) ;
  • 맹주선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 Published : 2000.09.01

Abstract

In order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factors,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a at two stations in the Daechung Reservoir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November 1998. Nutrients (nitrite, nitrate, ammonia and phosphate) have gradually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previous reports. Concentrations of the total nitrogen, phosphorus, chlorophyll -a and transparency exceeded the standard value of eutrophication.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eutrophication of the Daechung reservoir was caused by various pollutants.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under the influence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but very tiny cell-sized blue-green algae were less important in regards to the chlorophyll-a. Except at station 1 from July to August,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bloomed during the time of the survey. Spring phytoplankton blooms caused by nitrate and phosphate in the surface layer. High concentrations of the suspended solids in July and August were caused by an inflow of them due to heavy rains. Density of heterotrophic bacteria was high in August owing to the high water temperatures and the organic nutrients which were from the nearby reservoir.

본 연구는 1998년 5월부터 11월까지 대청호의 2개 정점 표ㆍ중ㆍ저층에서 수질과 일차생산을 나타내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물리ㆍ화학적 환경요인(수온, 용존산소량, pH, 투명도, 총질소, 질산염, 아질산염, 암모니아, 총인, 인산염, 용존총인, 총유기탄소, 부유물질),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chlorophyll-a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영양염류(아질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및 인산염)가 과거에 비하여 증가되었으며, 총질소, 총인,chlorophyll-a 및 투명도는 부영양화의 기준치를 초과하여 대청호의 수질은 심한 부영양화 수역으로 판명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7월과 8월의 정점 1을 제외하고 년중 대발생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봄철 대발생은 아질산염, 질산염 및 인산염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Chlorophyll-a의 농도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별 변동과 대부분 같은 경향으로 변화하였다. 여름철에 높은 부유물질은 장마기의 강우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8월의 많은 종속영양 세균수는 높은 수온과 장마시 주변 수역으로부터 유입된 각종 유기영양염류의 유입에 따른 대량증식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겨연구소 보고서 대청호의 부영양화에 관한 연구 김동근;서윤수;송준상;이문호;최재덕;박건현;최광수
  2. 한국육수학회지 v.28 Cyanobacteria의 증식에 따른 대청호 생태계내의 생물군집 변화 김명운;김민호;조장천;김상종
  3. 한국육수학회지 v.30 대청호 cyanobacteria 대발생 지역에서 환경요인의 일일변화 및 탄소의 흐름 김명운;김상종
  4. 한국육수학회지 v.31 대청호에서 cyanobacteria수화와 Anabaena cylindrica 생장억제미생물 분포도의 상관관계 김철호;이정호;김도한;최영길
  5. 한국육수학회지 v.29 대청호 및 금강수계의 종속 영양미생물 분포와 세포외 효소 활성도의 계절별 변화 김철호;이희준;최영길;박영식;이기성;최청일
  6. 한국수질오염보전 v.2 대청호 일부 수역의 성층화 현상과 조류의 일차 생산성에 관한 조사 연구 박동욱;이홍근
  7. 한국육수학회지 v.29 대청호 및 금강수계의 종속 영양미생물 분포와 세포외 효소 활성도의 계절별 변화 김철호;이희준;최영길;박영식;이기성;최청일
  8. 다목적댐 저수지 수질 조사 보고서 산업기지개발공사
  9.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7 대청호에서 수환경 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변동 신재기;조경제;오인혜
  10. 한국육수학회지 v.17 대청호 식물플랑크톤의 일주성 수직이동 오광철;오희목;이진환;맹주선
  11. 한국육수학회지 v.31 대청호의 생태학적 연구(-97') 오인혜
  12. 한국육수학회지 v.28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발생에 대한 단기적 예측 오희목;김도한
  13. 한국육수학회지 v.30 대청호 수화발생시 수중 인농도와 cyanobacteria의 다중인산염 분포관계 오희목;박중홍;윤무환;맹주선
  14. 한국육수학회지 v.32 대청호내 cyanobacteria에 의한 취기물질 생산 오희목;반용호;박대균;이진환;맹주선
  15. 한국육수학회지 v.31 대청호 성층파괴시 cyanobacteria의 수직분포 및 세포내 인의 조성 오희목;이석준;박정호;맹주선
  16. 한국육수학회지 v.28 대청호의 수심에 따른 유기물 분해능과 오염의 신호지표 이기성;고동규;박영식;최청일;최영길
  17. 대청호에서의 질화작용 v.28 대청호에서의 질화작용 이옥재;이일규;박희진;안태영
  18. 한국육수학회지 v.32 대청호의 년중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이정호
  19. 산업기지개발공사 연구보고서 대청댐 저수지 청주시 상수도 취수원 오염원 조사 이홍근;송준상;이형진;박동;이영신
  20.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3 대청호의 식물 플랑크톤상에 관한 연구 정상진
  21.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대청호의 수질에 관한 연구 정상진
  22. 댐저수지 수질 회복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Ⅰ. 한국수자원공사
  23. 댐저수지 수질회복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Ⅱ. 한국수자원공사
  24. 대청호의 일차생산과 가두리 양어장 및 유역으로부터의 유기물 부하량 v.27 대청호의 일차생산과 가두리 양어장 및 유역으로부터의 유기물 부하량 황길순;김동섭;허우명;김범철
  2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19th ed.) APHA
  26. Limnol. Oceanogr. v.22 Determination of total nitrogen in aquenous samples using persulfate digestion D'Elia CFP;A Steudler;N Corwin
  27. Arch. Hydrobiol. v.89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 receiving lakes Forsberg C;SO Ryding
  28. Lake Reserv. Manage v.4 Developing phosphorus croteria for Minnesota lakes Heiskary S;WW Walder
  29. Limnol. Oceanogr. v.10 The measurement of total phosphorus in seawater based on the liberation of organically bound fraction of persulfate oxidation Menzel DW;N Corwin
  30. OECK Paris. DAS/CSI/68.27 Scientific fundamentals of the eutrophication of lakes and flowing water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nitrogen and phosphorus as factors in eutrophication Vollenweider RA
  31. Can. J. Fish. Aquat. Sci. v.42 Chloroform-methanol extraction of chlorophyll-a Wood LW
  32. J. Plankton Res. v.8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quality on the relative N and P requirement the optimum N: P ratio of marine planktonic algae Wynne D;GY R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