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병 방제효과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초

콩과식물 종실 추출물의 살균활성 (Fungicidal activities of leguminous seed extracts toward phytopathogenic fungi)

  • 이회선;김병섭;김흥태;조광연;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1-27
    • /
    • 1998
  • 25종 콩과식물 종자의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기주식물상의 온실실험조건에서 6종의 주요 식물병원균에 대해 방제효과를 조사한 그 효과는 콩과식물의 종류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25종의 공시종자를 5 mg/pot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결명자 (C. obtusifolia), 소리테(G. max var. solitae), 약콩(G. max var. yagkong), 흑태(G. max var. hooktae), (P. multiflorusf), (P. radiatus var. aurea)과 (V. sinensis) 추출물들은 오이잿빛곰팡이병, 밀붉은녹병 및 보리횐가루병에 대하여 8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을 뿐 아니라, 잿빛곰팡이병의 살균제 저항성 균주에 대해서도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공시종자 모두 벼도열병, 벼잎집무늬마름병 및 Phytophthora infestans병에 대해서는 거의 활성이 없거나 활성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잿빛곰팡이병, 밀녹병 및 보리흰가루병 등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상기 종자추출물들은 식물병 방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예상되었으며, 특히 살균제 저항성 잿곰팡이병에 높은 활성을 보여 시설원예재배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잿빛곰팡이병의 방제에도 크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석회유황합제를 이용한 배나무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의 친환경 방제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Pear Scab and Rust Using Lime Sulfur)

  • 차주훈;김경희;최으뜸;송장훈;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52-58
    • /
    • 2018
  • 배를 유기재배하는 과원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프로그램을 도출하기 위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에 따른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관행재배와 비교 검정하였다. 석회유황합제와 석회보르도액을 10회 살포한 친환경방제구에서는 관행재배과원에 비해서 잎에 발생하는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에 대해 40% 이상의 방제효과를 증대시켰다. 석회유황합제만을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강우 전후에 8회 살포한 친환경방제구에서도 관행재배과원에 비해서 과실에 발생하는 검은별무늬병에 대해 30% 이상의 방제효과를 증대시켰다. 배 유기재배시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시기를 조절하는 친환경방제로 주요 병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리라 전망된다.

비파나무 및 홍가시나무 점무늬병의 살균제 방제효과 (Efficacy of Fungicides for the Control of Leaf Spots on Eriobotrya japonica and Photinia glabra)

  • 서상태;신창훈;지권혁;박소영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410-412
    • /
    • 2011
  • 2000년대 후반부터 고흥지역의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와 제주지역의 홍가시나무(Photinia glabra)에 Entomosporium mespili에 의한 극심한 점무늬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방제효과가 높은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효과를 검정한 3개의 농약 중 비파나무 점무늬병에는 propiconazole 처리가 방제가 64.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홍가시나무 점무늬병에는 chlorothalonil 처리가 방제가 87.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opanate-methyl 처리는 방제가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propiconazole은 홍가시나무에 약해를 나타내었다.

구기자 탄저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Fungicide Selection for Control of Lycium chinense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p.)

  • 구한모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26-31
    • /
    • 2008
  • 구기자 탄저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13개의 탄저병 균주는 구기자의 청양재래 품종에 대해서 숙과와 미숙과 모두에서 상처 접종 시 병원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15종 살균제의 균사생육 억제 효과를 실내 검정하여 탄저병균에 대한 균사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dithianon WG, tebuconazole SC, tebuconazole WG, trifloxystrobin+tebuconazole SC, azoxystrobin SC 및 polyoxin D zinc salt+carbendazim WP 등 6종의 살균제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살균제들의 포장에서 병 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dithianon WG, tebuconazole WG, trifloxystrobin+tebuconazole SC, tebuconazole SC 및 azoxystrobin SC 등 5종의 살균제가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Burkhoderia sp. AK-17에 의한 잎들깨 재배의 생물학적 조절 (Biological Control of Perilla Culture by Burkhoderia sp. AK-17)

  • 김근기;김용균;손홍주;최영환;강규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34-39
    • /
    • 2005
  • 시설원예단지의 재배환경은 고온다습으로 많은 병해가 발생하며, 이를 방제하기위해 과다한 농약을 사용하므로 농약 잔류성에 대한 피해가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법 개발로 청정 시설원예작물을 생산할 목적으로 길항균을 분리하였다. 잎들깨 재배토양과 식물체로부터 길항세균 18종을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길항세균 중에 AK-17이 가장 활성이 뛰어나 이를 이용하여 주요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잿빛곰팡이병원균의 Botrytis cinerea와 균핵병원균의 Sclerotinia sclerotiorum 및 줄기썩음병원균인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났다. 잎들깨의 주요 병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실험은 병발생 억제효과와 병 방제효과를 pot 실험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 균핵병은 55%의 병발생 억제호과와 92%의 방제효과가 있었고, 잿빛곰팡이병은 40%의 병발생 억제효과와 78%의 방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K-17의 식물 생육촉진효과는 신장이 120%, 생체중이 164% 증가되었으며, 엽수와 엽면적은 각각 120%와 220%의 증가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AK-17을 생리 생화학적방법과 유전학적 방법으로 동정한 결과, Burkhoderia sp.로 확인되었다.

전남지역 온실멜론의 노균병 발생 및 방제 실태 (Occurrence and Control of Downy Mildew of Netted Melon in Chonnam Province)

  • 고영진;안미연;서정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59-462
    • /
    • 1996
  • 예년과는 달리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낮은 기온과 잦은 강우로 인한 음습한 날씨가 지속되었던 전남지방의 온실멜론에서 노균병이 격발하였다. 올해 전남지역에서 심하게 발생한 노균병의 병징은 다각형의 모무늬 외에도 불규칙한 대형의 부정형 무늬를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급성형 병징들은 주로 개화기 무렵 아랫잎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병이 진전됨에 따라 윗쪽으로 진전되었고 병반이 뭉쳐져 잎을 급속하게 고사시켰다. 표본 조사한 12개 농가의 시설 하우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온실멜론의 노균병 이병엽율은 1%에서 100%까지 다양하였으며 수확을 전혀 못한 농가도 있었다. 각 농가에서는 노균병의 방제를 위하여 발병초기부터 농가당 최소 3회에서 최고 8회까지 살균제를 살포하는 방제 노력을 기울였으나 정확한 노균병 진단의 실패와 적정 약제 선정의 실패로 혼선을 빚어 방제효과는 높지 않았으며, 농약의 남용과 오용이 병방제에서 심각한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 PDF

몇 가지 식물 추출물의 밀 녹병 방제 특성 (Antifungal activities of Several Plant Extracts against Wheat Leaf Rust)

  • 최경자;김진철;장경수;이선우;김진석;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7-95
    • /
    • 2002
  • 야외에서 채집한 27종 식물의 메탄올 추출물의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녹병 및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험하였다. 벼 도열병에 대하여는 환삼덩굴, 비비추, 맥문동, 황기 추출물이, 잿빛곰팡이병에 대해서는 닭의장풀 추출물이, 보리 흰가루병에 대하여는 황기 추출물이 그리고 밀 녹병에 대하여는 비비추, 맥문동, 까마중 그리고 황기 추출물이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들 중 밀 녹병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우수한 4종 시료를 선발하여 이들의 방제 특성을 조사하였나. 맥문동과 까마중 추출물은 밀 녹병에 대한 예방효과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며, 치료효과는 황기 추출물은 우수하였으나 까마중 추출물은 다소 미약한 치료활성이 있었다. 식물 추출물의 침투이행성은 엽육이행과 엽간이행으로 실험하였는데, 4종 추출물 모두 엽간이행은 거의 없었으나, 엽육이행은 우수하였다. 식물추출물의 약효지속성은 대부분 좋았으며 특히 비비추와 까마중 추출물은 약제처리 7일 후에도 95% 이상의 방제가를 보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4종 식물 추출물 특히 까마중 추출물은 포장에서 밀 녹병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이리라 생각된다.

2018-2019년 보은지역 대추나무 빗자루병 발생 및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간주사 방제 효과 (Occurrence of Jujube Witches' Broom Disease and Control Efficacy of Trunk Injection with Oxytetracycline in Boeun Area from 2018 to 2019)

  • 강효중;최성희;이경희;박희순;오하경;이성균;신현만
    • 식물병연구
    • /
    • 제26권1호
    • /
    • pp.19-28
    • /
    • 2020
  •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1950년대에 남한지역에 대발생하여 대추 재배지를 황폐화시킨 고위험 식물병이다. 최근 전국적으로 대추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빗자루병 대발생 위험성을 사전에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2017년과 2019년에 걸쳐 보은 지역의 대추 과원에서 병조사를 하였다. 또한, 빗자루병 조기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병징을 찾아내고, 성보싸이클린수화제(OTC, 옥시테트라사이클린칼슘알킬트리메틸암모늄 수화제, 유효성분 17%)의 수간주사 방제효과 증진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 충북 보은 지역의 대추나무 빗자루병 발병률(이병주율)은 매우 낮았으나, 발생 지역과 발생 농가를 중심으로 점차 의미 있게 증가하고 있었다. OTC 방제시험 결과 처리 시기는 대추나무 생육 초기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발병이 심한 나무에서는 수간주사 후 당해 연도에도 같은 나무의 다른 건전한 가지에서 병징이 발현되었다. 6월에 1차 수간주사를 한 처리에서 2차 수간주사는 5개월 후보다 한 달 후에 하였을 때 방제효과가 더 좋았다. 이러한 결과는 조기 병징을 활용한 진단과 이를 근거로 한 조기 방제가 빗자루병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고 병 방제효과를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전염원 경감법 개발을 위한 시도 (Trials for Developing the Measures to Reduce the Inoculum Sources of Apple White Rot)

  • 김대희;김이부;엄재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9-255
    • /
    • 1996
  •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주 전염원은 가지 병반에서 형성되는 자낭포자 및 병포자이므로, 가지에서의 포자형성 또는 포자의 분산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으로 저해할 수만 있다면 효과적으로 병을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전염원을 줄이기 위한 첫 번째 시도로 1992년 이른봄 가지에 형성된 사마귀를 호미로 제거한 결과, 병포자의 분산과 과실발병 억제효과에 있어서 무처리와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두 번째 시도로 포자의 분산을 막기 위해 1993년 이른봄에 겹무늬썩음병에 걸린 가지를 비닐필름으로 감고 5월부터 9월까지 20일 간격으로 살균제를 살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는 병 방제효과가 있었고, 나무의 생육에 있어서도 콜크층이 이상 비대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이상이 없었다. 이 개념을 더욱 발전시켜 1994년 이른봄에는 병든 가지를 수용성 고분자 물질인 polyvinyl alcohol로 도포하고 수배 분산 포자의 수를 조사한 결과, 포자의 분산량이 크게 줄어져 실용화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키틴분해세균의 현장 대량 배양방법을 이용한 효과적인 식물병의 생물적 방제 전략 (An Effective and Practical Strategy for Biocontrol of Plant Diseases Using On-Site Mass Cultivation of Chitin-Degrading Bacteria)

  • 김영철;강범용;김용환;박서기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19-34
    • /
    • 2017
  • 유기농 및 지속 가능한 농산물에 대한 최근의 전 세계적인 수요는 농가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생물 농약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생물학적 방제 방법은 실제 현장 조건에서 식물병 방제 스펙트럼이 제한적이고 효능이 높지 않다. 본 연구팀은 키틴분해 미생물과 키틴을 활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방제효과가 우수한 키틴 기반 제형을 개발했다. 이 제형은 포장 조건에서 다양한 식물병을 성공적으로 방제하였다. 본 리뷰에서는 성공적인 포장 연구와 관련하여 이 제형에 함유되어 있는 키틴분해미생물들의 생태학적 측면과 생물적 방제 기작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키틴분해미생물의 현장 대량 배양과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제 방법을 사용하여 농민 친화적인 수단으로 확대 할 수 있는 생물적 방제 방법과 전략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