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립

검색결과 642건 처리시간 0.021초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수술 가이드의 사용 (The use of surgical guide stent for implant placement)

  • 이지연;윤지영;오남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66-375
    • /
    • 2014
  • 임플란트 식립 시 수술 가이드는 치료계획 수립 및 진단 뿐 아니라 식립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수술 가이드는 식립 위치만 보여 주는 디자인(Nonlimiting design), 식립 위치와 각도를 보여주는 디자인(Partially limiting design), 식립 위치와 각도 및 깊이까지 보여주는 디자인(Completely limiting design)으로 나뉜다. 식립 위치와 각도를 보여주는 디자인은 제작이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반면 식립 위치와 각도 및 깊이까지 보여주는 디자인보다 수술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식립 위치와 각도 및 깊이까지 보여주는 디자인은 해부학적으로 정확하고 보철적, 생역학적 관점에서 최적화 된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심미적, 기능적으로 술 후 불편감을 최소화 해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수술 가이드에 대하여 문헌을 통해 고찰해보고 이를 임상에 적용한 증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교정용 미니스크류의 형상에 따른 식립 토오크의 비교 (Comparison of insertion torque regarding changes in shape, diameter, and length of orthodontic miniscrews)

  • 임선아;차정열;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9-97
    • /
    • 2007
  • 교정용 스크류의 적절한 식립 토오크는 스크류와 골과의 경계에 적절히 작용하여 실패를 최소화 할 수 있는데, 너무 낮은 식립 토오크는 안정성이 없으며 반면에 너무 강한 식립 토오크는 열, 기계적 손상으로 골 괴사를 야기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는 임상적으로 스크류의 길이와 직경 및 형태 등을 달리하여 식립 토오크를 측정해서 스크류의 각 부분에 대한 세분화된 토오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1.5 mm 두께의 인공피질골 블록에서 cylindrical type 스크류와 taper type 스크류 두 형태 모두에서 스크류 길이가 길수록 최대 식립 토오크 값도 함께 증가하였다. 특히 cylindrical type 스크류에서 길이에 따른 토오크 변화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p<0.05). 미니스크류의 연속적인 식립 토오크 분석 결과 cylindrical type 스크류는 연속적인 그래프 형태를 보이면서 불완전 나사부에서 식립 토오크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taper type 스크류는 나사선의 마지막 경사진 부분에서 식립 토오크가 크게 증가하였다. 외경이 커질수록 최대 식립 토오크 값은 증가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형태와 외경, 길이는 모두 토오크 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데, 식립 토오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경, 형태, 길이 순서였다. 본 연구 결과 스크류의 식립 토오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스크류의 외경이며 각각의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피질골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합한 스크류의 두께 및 나사산의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스크류의 초기 고정력을 얻는데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교정용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 시의 피질골 스트레인 해석 (Cortical bone strain during the placement of orthodontic microimplant studied by 3D finite element analysis)

  • 남옥현;유원재;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28-239
    • /
    • 2008
  • 식립 후 힘의 부하가 조기에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임플란트의 경우 식립 시의 골응력 혹은 스트레인의 관리가 그 안정성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교정용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 시 피질골에 발생하는 응력(스트레인)을 해석하였다. 0.9 mm 직경으로 미리 드릴링한 1mm 두께 피질골에 마이크로임플란트(AbsoAnchor SH1312-7, Dentos, Daegu, Korea)가 식립되는 전체 과정(10회전, 식립 깊이 5 mm)의 모사를 위해 총 1,800 step의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식립 진행과 더불어 생기는 나사산 주위 피질골의 기하학적 형상변화를 유한요소해석에 반영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remesh를 실행하였으며, 빠른 수렴을 위해 마이크로임플란트는 강체로, 피질골은 강소성체로 모델링하였다. 해석 결과,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 시 피질골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은 임플란트 주위골 전체에서 정상적인 골개형을 위한 한계치로 보고되고 있는 $4,000\;{\mu}$-strain을 상회하였고, 나사산 첨부 인접골에서는 스트레인이 100% 이상에 달하였다. 계산된 피질골 식립토오크는 약 1.2 Ncm 정도로 가토 경골에 동일 모델의 마이크로임플란트을 식립하며 측정한 값에 약간 미달하였으나 근접한 수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이크로임플란트의 식립과정을 3D 유한요소법으로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에 의해 피질골에 발생하는 스트레인 크기는 생리적인 골개형을 저해할 수 있는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agle Dog 에 식립된 순수한 타이타늄 임프란트 및 피막처리된 타이타늄 임프란트 주위의 골조직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A Histological Study on the Bone Tissues Surrounding Coated and Non-Coated Titanium Implants in Beagle Dogs)

  • 임상훈;손성희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91-10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악골에 식립된 순수한 타이타늄 임프란트와 타이타늄 플라즈마 처리된 타이타 늄 임프란트 및 수산화인회석으로 피막처리된 타이타늄 임프란트의 주위 골조직을 광학현미경 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 관찾히였다. 3 마리의 beagle dog 에서 상하악 소구치를 편측으로 발거한 후 12 주의 치유기를 거쳐 임프란트 를 식립하였으며, 임프란트 식립 후 4주, 8주 및 12주에 실험동물을 각각 희생시켜서 조직 표본을 제작하였다. 임프란트 주위의 골조직에서 염증이나 이물반응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상적인 악골에서와 유사한 골조직 소견이 관찰되었다 상악골 및 하악골에 식립된 모든 임프란트의 4주 표본에서, 골과 임프란트 변의 직접적인 접촉이 관찰되었다. 동일한 치유기에서는, 상악골에 식립된 임프란트의 면에 비하여 하악골에 식립된 동종의 임프란트의 변에서 더 많은 양의 골접촉이 관찰되었으며, 순수한 타이타늄 임프란트의 면에 비하여 피막처리된 타이따늄 임프란트의 변에서 더 많은 양의 골접촉이 관찰되었다.

  • PDF

미니스크류 식립 각도 및 부위에 대한 3차원적 연구 (Three Dimensional Study of Miniscrew about Installation Area and Angle)

  • 조희상;이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203-211
    • /
    • 2008
  • 교정치료에서 고정원의 조절은 치료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최근 골에서 쉽게 지지를 얻을 수 있는 미니스크류가 개발되고 발전되어 많은 치료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미니스크류는 해부학적 구조물들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안전하게 식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임상적으로 미니스크류를 흔하게 심는 부위이면서 초기 고정이 약한 상악 구치부 협측 부위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식립 각도에 따른 인접치아에 대한 손상가능성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상악 구치부 협측에서 $1.2{\times}6.0mm$의 미니스크류를 식립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CEJ에서 5~8mm 상방에 그리고 피질골 표면에서 3~5mm 내측에 미니스크류의 끝이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각 치근 사이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또한 식립각도를 30도, 45도, 60도로 나누어 식립 각도별 치근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대구치와 대구치 사이, 대구치와 소구치 사이, 소구치와 소구치 사이의 3그룹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립부위에 따른 비교에서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사이에서 치간골의 면적이 유의하게 작았다. 2) 각도에 따른 비교에서 대구치 사이와 소구치와 대구치 사이에서는 더 기울여 식립 하는 것이 안전함을 보였으나, 소구치 사이에서는 식립 각도가 안전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니스크류를 식립 할 경우 대구치 사이보다는 대구치와 소구치 사이 또는 소구치 사이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부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구치 사이와 대구치와 소구치 사이에 식립 할 경우에는 식립 각도가 증가 할수록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정용 미니스크류의 디자인에 따른 식립 및 제거 토오크 (Insertion and removal torques according to orthodontic mini-screw design)

  • 차정열;윤태민;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12
    • /
    • 2008
  • 교정용 미니스크류의 원추 형태가 식립 후 시기별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기별 제거 토오크 및 동요도와 조직시편분석을 시행하였다. 성견 6마리의 하악 협측골에 원통형과 원추형 교정용 미니스크류 (Biomaterials Korea, Seoul, Korea) 48개를 식립하고, 식립 시 식립 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고 3주, 12주 동안 교정력을 부여한 후, 제거 시 제거 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였다. 식립 토오크는 원통형 미니스크류에서 13.6 Ncm, 원추형 미니스크류에서 22.3 Ncm 로 원추형 미니스크류에서 높은 식립 토오크가 측정되었다 (p < 0.001). 식립 3주째 제거 토오크는 원통형 미니스크류에서 5.7 Ncm, 원추형 미니스크류에서 9.1 Ncm 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p < 0.05). 식립 12주째 원추형 미니스크류의 제거 토오크는 3.6 Ncm 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p < 0.05) 원통형 미니 스크류의 4.2 Ncm 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니스크류의 원추 구조는 식립 토오크를 유의하게 증가시켜 식립 후 3주간 안정성에 도움이 되었으나, 12주 후 안정성에 있어서는 원통형 미니스크류와 유사하였음을 시사한다.

Self-drilling 방식의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에 의해 발생하는 피질골 스트레인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cortical bone strain induced by self-drilling placement of orthodontic microimplant)

  • 박진서;유원재;경희문;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03-212
    • /
    • 2009
  • 골밀도가 높고 두꺼운 피질골에 마이크로임플란트를 self-drilling 방식으로 식립하는 경우 과도한 수준의 골부하 (bone loading)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이는 인접골의 정상적인 골개형(bone remodeling)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으로 두께 1.0 mm의 피질골에 Absoanchor SH1312-7 마이크로임플란트((주)덴토스, 대구, 대한민국)가 self-drilling 방식으로 식립되는 과정(10회전, 식립깊이 5 mm)을 모사(simulation)하였으며 식립 단계별로 피질골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을 조사하였다. 식립중 마이크로임플란트 첨부의 절삭연(cutting flute)에 의한 골삭제로 생기는 나사길(threaded groove)의 치수를 얻기 위하여 가토 경골에 마이크로임플란트를 식립/제거한 후 Micro CT (Explore Locus RS, GE Healthcare, Ontario, Canada)를 이용하여 기하형상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치밀골의 유한요소모델에 반영하였다. 해석결과, 치밀골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은 임플란트 식립깊이에 따라 증가하였고, 초기단계에서 나사산에 인접한 골에 국한되던 과부하 부위(스트레인이 4,000${\mu}$-strain을 상회하는 영역)가 식립깊이 증가에 따라 인접골 전체, 즉 나사산 인접부는 물론 골(valley) 부위에 접하는 모든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self-drilling 방식으로 마이크로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치밀골에 발생하는 스트레인 크기는 생리적인 골개형을 저해할 수 있는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치부 임플란트의 심미적 수복

  • 이서영;류재준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32
    • /
    • 2009
  • 오늘날 단일치 임플란트의 식립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임플란트 술식 중 하나이며, 상악 전치부는 이중 가장 흔하게 시행되는 식립 부위 중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악 전치부 단일 상실치에 대한 치료 계획은 구강 내 다른 어떤 부위보다 복잡하며 고도로 심미성을 요구하는 부위로서 아무리 경험이 많고 기술이 뛰어난 치과의사라 할지라도 시술할 때마다 큰 도전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상악 전치부에서 임플란트 보철의 심미적 성공을 이루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 요소 하나하나에서 심미적 결과를 이룩하여야 하고 이 결과들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게 하여야 하며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시술 시 교과서의 그림처럼, 모형에 식립해 본 것처럼 쉽게 되지 않는 것은 물론 구강 내 환경이 모형과 다를 리 만무한 것이 당연한 첫 번째 이유이며 뿐만 아니라 환자 대부분의 경우 모형처럼 완벽한 경 연조직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치아만 상실된 경우는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인 이유도 크다. 즉, 원하는 위치에 식립을 하고 장기간의 심미적 유지를 위해서는 경 연조직에 대한 처치가 필수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이야기이다. 이를 간과하고 식립한 경우 추후 심각한 bone의 resorption, 그에 따르는 gingiva의 끔찍한 recession, 용납할 수 없는 비심미적 보철물의 제작은 불을 보듯 뻔한 결과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상악 전치부 식립 치료계획 시 치과의사는 성공적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요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이들의 완벽한 처치에 최선을 다 해야할 것이다.

  • PDF

유한요소 모사해석을 통한 임플란트 나사산 형상이 치밀골의 식립응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s of implant thread profile on insertion stress generation in cortical bone studied by dynamic finite element simulation)

  • 유원재;하석준;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79-286
    • /
    • 2014
  • 목적: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동적과정을 유한요소해석으로 모사하여, 임플란트 나사형상 차이가 변연골의 식립 응력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코어직경 3.5 mm, 매식부 길이 10 mm인 Straumann 임플란트 몸체 외형에 서로 다른 4종의 나사산이 부여된 가상의 임플란트 모델 4개를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 제작하였다. 4종 나사산은 buttress 형, v-자 형, reverse buttress 형, square 형이며, 나사산의 높이와 피치는 0.3 mm와 1.0 mm로 모두 동일하다. 각 임플란트가 3.8 mm pilot hole을 갖는, 1.2 mm 두께 치밀골에 식립되는 과정을 $DEFORM^{TM}$ 3D (ver. 6, SFTC, Columbus, OH,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모사/해석하였으며, 식립이 진행되는 과정에 인접골에 생성/누적되는 응력(식립응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식립 초기, 그 하단부가 pilot hole 내로 진입하며 나사산이 골벽을 압박/변형시키는 단계에서 식립 토오크와 응력이 급격히 발생하였으며 그 이후에 토오크와 응력이 모두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식립 응력은 임플란트 나사산 형상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v-자형 나사산 경우가 가장 낮았고, square 형의 경우가 가장 높았다. 나사산 차이가 인접골 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나사산 첨부 보다는 기저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더 현저하였다. 결론: 임플란트 식립응력을 낮추어 골융합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데는 나사산 첨부가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v-자형 나사산이 유리하다.

표면처리가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식립수직력과 토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rface treatment on the insertion pattern of self-drilling orthodontic mini-implants)

  • 김상철;김호영;이상재;김철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8-27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에 표면처리를 시행하되 식립 과정의 용이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표면처리 방법을 찾기 위함이다.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etching, resorbable blasting media (RBM), 상부 나사산 부위만 RBM 처리를 한 hybrid 등의 3가지 방법으로 표면처리한 후 machined (표면 미처리)군과 비교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과 표면 거칠기 측정기로 표면 거칠기를 비교하였으며, driving torque tester를 이용해 실험용 인공골에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식립하여, 식립 토크(rotational torque)와 수직력(vertical loading)의 식립 패턴을 비교하였다. Machined surface군과 비교하여 acid etching군에서는 표면 거칠기(Ra 값)가 크지 않았으나 ($p$ > 0.05), RBM군이나 hybrid군에서 표면 거칠기(Ra 값)가 유의하게 컸다 ($p$ < 0.05). 최종 식립 토크는 모든 표면처리군에서 machined군보다 컸다 ($p$ < 0.05). 최대 식립수직력은 hybrid군이 machined군이나 etched군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며 ($p$ < 0.05), RBM군이 가장 컸다 ($p$ < 0.05).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유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보철용 임플랜트와 같은 방법으로 전면 표면처리를 하면 self drilling type 고유의 골 삭제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cutting edge 일정 부위를 제외하며 적절하게 조절된 표면처리를 하면 골 삭제 능력의 큰 저하 없이 용이한 식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