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수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5초

한.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a of Korea and Japan - Focused on the Revised Curricula -)

  • 임현수;강홍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37-35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로부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왔던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시사점을 찾는 것으로 한국과 일본의 새 교육과정의 개정배경 및 개정중점, 목표 및 내용영역을 비교하였다. 두 나라는 비슷한 시기에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 두 나라 모두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고, 국가의 요구사항과 직전 교육과정 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정하였다. 우리나라는 학생, 학교의 자율권을 확대와 교과별 교육내용을 적정화, 주5일제 월2회 시행에 따른 수업시수 감축 등을 중심으로, 일본은 살아가는 힘, 기초적인 지식과 기능의 습득, 사고력 판단력 표현력 육성 등을 중심으로 강조하였다. 일본의 학력향상을 위한 수업시수를 증대는 이번 개정의 최대 성과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 PDF

환경요인에 따른 오리엔트종 잎담배의 화학적 특성과 품질과의 관계 I. 재배지역과 재배시기가 다른 잎담배의 품질과 화학성분 비교 (The Relation of the Quality of Oriental Tobaccos to their Chemical Constituents I. Comparison of Quality and Chemical Properties of Leaf Tobacco Produced from Different Location and Season)

  • 류명현;손현주;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7-96
    • /
    • 1988
  • 재배환경과 품질이 크게 상이한 한국의 만기작과 조기작, 그리이스 관행 재배에서의 생육환경, 잎담배의 화학성분 변화와 품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1. 생육중 강우량은 한국의 만기작> 조기작> 그리이스작 순으로 적고, 일조시수는 강우량의 역순이었으며, 조기작은 만기작에 비해 이식후 30∼80일 기간중 강우량이 60% 적고, 일조시수는 20% 많았다. 2. 그리이스작은 한국 재배엽에 비하여 전질소, 니코틴, 석유에텔 추출물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그리이스작>조기작>만기작 순으로 휘발성 유기산, 정유성분 중성부의 함량이 높고 품질이 좋았으며, 조기작은 만기작보다 회분함량과 pH가 크게 낮았다. 3. 건조엽의 품질과 석유에텔추출물, 휘발성 유기산, 전질소함량은 정의 상관, 회분함량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4. 품질평가를 위한 지수로는 총 휘발성 유기산(mg/100g), (equation omitted) 접합도가 높았다.

  • PDF

공학교육인증활동을 교수업적평가에 반영하는 방안 (A Study on Including the ABEEK Activities in the Professor Evaluation System)

  • 박진원;백현덕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93-101
    • /
    • 2009
  • 국내 많은 공학계 대학에서 공학교육인증제가 시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이 교육, 연구, 봉사로 나누어 교수업적평가를 시행하고 있고, 승진과 관련하여 전문학술지에 게재한 연구논문 실적이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가 되고 있다. 그러나 공학교육인증 관련 활동이 교수업적평가에 반영되지 않고 있어 평가기준과 교육관련 의무 사이에 괴리가 존재한다. 본 논문은 공학교육인증 관련 활동을 교수업적평가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제시된 5가지 방안 중에서 설문조사결과 정년을 보장받은 정교수급은 책임시수 경감을 선호했고 부 조교수급은 논문게재 실적 경감을 선호하였다. 논리성과 교수들의 선호도를 감안해 보면 공학교육인증제 시행에 참여하는 교수들에게 책임강의 시수 일부를 경감해 주거나 추가 강의실적으로 인정해 주는 등 교육관련 업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오랫동안 공학교육인증제를 시행해 오고 있는 미국의 경우 공학계 교수들에게 특별한 혜택이 부여되지 않고 있는 점을 감안해 보면, 우리나라도 도입과 정착기를 지나면 공학교육인증제 시행에 따른 혜택을 점차 폐지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잣나무와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과 Key-Year (Diameter Growth and Key-Year in Pinus koraiensis and Pinus densiflora Trees)

  • 한상섭;박완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216-222
    • /
    • 1988
  • 춘천근교(春川近郊)와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연습림(演習林)에서 자라고 있는 잣나무와 소나무의 직경생장량(直徑生長量)을 측정(測定)하여 다변량해석(多變量解析) 방법(方法)으로 직경생장(直徑生長)에 미치는 기상인자(氣象因子)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으며, 또한 특이(特異)한 기후변동하(氣候變動下)에서 나타나는 Key-year를 분석(分析)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일(同一)한 기상조건(氣象條件)과 입지환경하(立地環境下)에서 잣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이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보다 양호(良好)하게 나타났다. 2. 잣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에 미치는 기상인자(氣象因子)의 영향(影響)에 대한 크기는 안개, 일조시수(日照時數), 강수량(降水量), 습도(濕度), 온량지수(溫量指數), 증발량(蒸發量)의 순위(順位)로 나타났다. 3.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에 미치는 기상인자(氣象因子)의 영향(影響)에 대한 크기는 안개, 일조시수(日照時數), 습도(濕度), 강수량(降水量), 온량지수(溫量指數)의 순위(順位)로 나타났으며, 증발량(蒸發量)은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4. Key-year는 잣나무와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에 미치는 특이(特異)한 기후변동(氣候變動)이 있었던 1964년(年)과 1973년(年)에 나타났다.

  • PDF

초등학생을 위한 단계별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Stag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Primary School Children)

  • 김재희;이유정;강성미;오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131-5139
    • /
    • 2014
  • 본 연구는 정규교과과정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사회인지학습이론 기반 흡연예방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수행되었다. 프로그램 적용대상은 D 광역시 소재 4개 초등학교의 1학년, 3학년, 5학년 학생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이 1학년은 54명과 50명, 3학년은 57명과 54명, 5학년은 101명과 99명이었다. 프로그램 실시는 1학년은 2시수, 3학년은 4시수, 5학년은 6시수가 2013년 11월 1일부터 12월 19일까지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효과측정을 위해 흡연 지식 및 태도, 자아개념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자료의 분석에는 Chi-square test와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후 흡연지식에서는 모든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흡연태도와 자아개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초등학생 대항 흡연예방 프로그램은 정규교과과정에 연계되어 단계별로 적용되어야 하며 단기 효과보다는 장기 효과를 목표로 하여야 할 것이다.

Stacking Ensemble Learning을 활용한 블록 탑재 시수 예측 (A Study on the Work-time Estimation for Block Erections Using Stacking Ensemble Learning)

  • 권혁천;유원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488-496
    • /
    • 2019
  • The estimation of block erection work time at a dock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when establishing or managing the total shipbuilding schedule. In order to predict the work time, it is a natural approach that the existing block erection data would be used to solve the problem. Generally the work time per unit is the product of coefficient value, quantity, and product value. Previously, the work time per unit is determined statistically by unit load data. However, we estimate the work time per unit through work time coefficient value from series ships using machine learning. In machine learning, the outcome depends mainly on how the training data is organiz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use 'Feature Engineering' to determine which one should be used as features, and to check their influence on the result. In order to get the coefficient value of each block, we try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the Ensemble learning methods which is actively used nowadays. Among the many techniques of Ensemble learning, the final model is constructed by Stacking Ensemble techniques, consisting of the existing Ensemble models (Decision Tree, Random Forest, Gradient Boost, Square Loss Gradient Boost, XG Boost), and the accuracy is maximized by selecting three candidates among all model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erified by the predicted total work time for one ship among the same series.

적조기상정보 : 기상인자를 활용한 연안 적조예측기술 개발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Red Tide : Technical Development of Red Tide Prediction in the Korean Coastal Areas by Meteorological Factors)

  • 윤홍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91-396
    • /
    • 2005
  • 한국 연안 전 해역에 걸쳐서 매년 적조생물이 발생 한다. (1995년부터). 남해 중부 및 동부해역은 상습발생 지역이다 (7, 8월). 기상인자(기온, 수온, 강수량, 일사량, 일조시수, 바람)는 적조형성에 기여하며, 특히 수온 (기온)은 적조발생의 제한 인자로 작용한다. 수온 15$^{\circ}$C가 되는 일을 기점으로 적조발생에 소요되는 시간은 78${\sim}$104일 정도 걸리며, 누적일조시수, 누적수온, 누적강우량의 비교로부터 적조발생 해역을 구분할 수 있다. 즉, 남해중부 및 남해동부 해역은 고밀도 적조발생 해역이며 남해서부 해역, 동해남부 해역은 저밀도 적조발생 해역이다. 동해남부 해역을 제외한 나머지 해역은 수온 24.5${\sim}$25.5$^{\circ}$C의 범위에서 1000mg/l 이상의 밀도를 보이는데, 적조생물이 발생하면 대체로 수산피해를 가져다주는 적조경보의 범주에 든다. 위성원격탐사 기술로부터 우리나라 연근해 적조발생 해역 해황특성과 적조분포 상호간의 관계성으로부터 적조의 머무름과 이동은 냉수대의 발달 및 소멸 그리고 북상난류의 흐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물성플랑크톤의 농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적조분포 해역의 감지가 위성위격탐사 기술로 가능하였다. GIS 기술을 통한 적조정보관리시스템의 구축으로 적조정보를 통한 공간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 및 인식 비교 연구; 전문가 교사와 초보 교사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Critical Review and Perceptions of Elementary Software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Focused on Expert Teachers and Novice Teachers)

  • 송정범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97-303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초보 교사와 전문가 교사 대상 인식을 비교하였다. 인식 비교는 현장 지원을 위한 우선 순위, 전문성 신장을 위한 활동 내용, 편제 시수, 성취 기준 진술 내용, 6학년에만 도입된 교과서에 대한 적절성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모든 문항에서 두 그룹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편제 시수, 성취 기준 진술 내용, 6학년에만 도입된 교과서에 대한 의견에서 초보 교사는 '적절하다'라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전문가 교사는 '부적절하다'가 많았다. 아울러 실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교육용 로봇이 도입된 것에 대한 자유 응답식 의견의 주요 키워드를 분석할 결과 두 그룹 모두 긍정적인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초보 교사들은 '지원', '어려움', '문제'와 같은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키워드, 전문가 교사들은 '활용', '교육' 등 도입 후 교육적인 활용 부분에 대해 키워드가 도출되어 차이점을 보였다.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I Education Immersion Course for school autonomous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

  • Soo-Hwan, Lee;Jeong-Rang,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201-208
    • /
    • 2023
  • 인공지능 교육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는 인공지능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시수 확보와 수업 내용 구성의 어려움, 교육과정의 부재 등으로 인공지능 교육 내실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교자율과정이 있다. 학교자율과정은 학교에서 교과군내 시수 조정, 성취기준 활용 재구조화 등 교육과정 전반에 자율권과 재량권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학교자율과정을 활용한 인공지능 교육 몰입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몰입과정은 학생들이 한정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인공지능 교육을 밀도 있게 경험하기 때문에, 내실 있는 인공지능 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 인공지능 교육 몰입과정 이후 학생들의 전반적인 인공지능 소양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학교자율과정을 이용한 인공지능 교육 내실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정보영역 교육과정 분석 (An Analysis of the Information Curriculum of the University-affili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 이재호;장준형;정홍원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91-89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전체 수업 중 정보영역이 차지하는 비중과 수업내용 등을 분석하여 연구 기간 중 정보영역에 대한 추세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총 수업 시수에서 정보교육이 차지하는 시수를 분석한 후 정보교육을 컴퓨터 활용 교육, SW코딩교육, SW융합교육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교육과정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육에서 차지하는 정보교육의 비중은 2018년 대비 점차 확대되어 가는 추세이다. 둘째, 정보교육 내의 컴퓨터 활용 교육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SW코딩교육과 SW융합교육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다양한 형태로 정보교육의 분야가 확대되고 영재 학생들에게 여러 형태의 SW교육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변화의 속도도 빠른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는 보다 체계화된 정보교육이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그 유용성도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