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재배

Search Result 1,315,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Effects of Climatic Factors as affected by the Type of Plastic House, Cultural Season and Crop Locations on the Growth and Yield of Summer and Retarding Culture of Cucumber Plants Grown in Rockwool (Plastic house의 형태, 재배양식 및 시설내 위치에 따른 기상환경의 차이가 암면재배 오이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임준택;김학진;정순주;이범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179-182
    • /
    • 1999
  • 하계나 추계에 시설재배 오이 생산에 있어서 고품질의 오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오이의 생육특성을 잘 알고, 시설의 형태, 재배양식 및 시설 내 위치에 따라서 생육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자랄지 예측하는 것은 재배자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특히 시설재배에서는 일조부족, 저온, 수분조건 등의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기 쉽기 때문에 이 같은 환경조건의 제어를 통한 관리가 고품질 다수확에 중요한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중략)

  • PDF

채소작물 병해방제 집중탐구 (3)수박 - 시설재배환경 덩굴마름병 발생에 적합 - 탄저병과 역병은 노지재배시 문제

  • 김충회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2 no.6 s.105
    • /
    • pp.94-101
    • /
    • 1991
  • 우리나라 수박재배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병해는 덩굴쪼김병(만할병), 덩굴마름병(만고병), 탄저병, 역병(돌림병)이라 할 수 있다. 이외에 5$\~$6가지의 병이 발생하고 있으나 상기 4가지 병해에 비하면 발생면적도 적고 피해도 일반적이지 못하다. 덩굴쪼김병은 접목재배에 의하여 피해가 경감되고 있으나 수박재배 경험이 풍부하지 못한 농민들은 이 병해 때문에 실패하기 쉽다. 덩굴마름병은 특히 시설재배에서 피해가 큰데, 전생육기간동안 기온이 낮을 때 발생하므로 해마다 농민들이 골치를 앓는 병해다. 탄저병과 역병은 시설재배보다는 노지재배에서 훨씬 많이 발생하며 그 피해도 대단히 크다. 특히 이 병해들은 강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약제를 살포할 여유도 없이 급진전하므로 잠깐 소홀히 한 사이 포장이 수박전체가 피해를 입는 경우가 허다하다. 여기에서는 앞서 이야기한 4가지 병해를 중심으로 발생생태와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알아본다.

  • PDF

Water Requirement of Red Pepper Cultivated in House (시설재배 고추의 생육시기별 물요구량 산정)

  • Eom, Ki-Cheol;Jung, Pil-Kyun;Choi, Sung-Ho;Kim, Tae-Wan;Yoo, Sung-Yung;Park, So-Hyun;Hur, Seung-Oh;Ha, Sang-Keu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6
    • /
    • pp.848-851
    • /
    • 2010
  • The essential factor for house cultivation is water management. Water requirement of crop is the most important for the water management. The water requirement of crop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rea as well as climate condition and growth stage. However, the measurement of PET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nd crop coefficient (Kc) is very difficult especially in house cultivation. Therefore, the PET and Kc of red pepper are estimated based on the lysimeter experiments carried out by the RDA for 11 years about the ratio of house cultivation to wild cultivation. Periodic PET, mean water requirement (MWR) and accumulated water requirement (AWR) of red pepper cultivated in house are evaluated.

수경재배 생산물의 수출확대 방안 I. 채소류 수출확대방안 II. 채소류 안전성 강화 대책

  • 신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11a
    • /
    • pp.86-128
    • /
    • 2002
  • 1. 채소류 수출확대방안 가. 생산 및 수출동향 1). 생산동향 o 채소류 면적은 정체상태에 있으나 수출되는 시설채소 면적은 소비자의 고품질 채소수요 증가에 힘입어 재배면적이 매년 증가추세에 있음 - 시설채소 재배면적 : (90) 40 $\longrightarrow$ (00) 91천ha(128%↑) o 시설채소 생산량은 재배면적의 증가와 재배기술의 발전으로 생산량이 대폭 증가하였음 - 시설채소 생산량 : (90) 1,017 $\longrightarrow$ (00) 3,247천톤(219%↑) (중략)

  • PDF

Monitoring of Soil Pollutant Loadings in Greenhouse and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 지역의 토양 내 오염부하 모니터링)

  • Hong, Eun-Mi;Choi, Jin-Yong;Yoo, Seung-Hwan;Kang, Moon-Seong;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8-448
    • /
    • 2012
  • 농경지의 잔류비료나 농약 등의 비점오염원은 강수 또는 관개를 함에 따라 지표 및 지하 유출과 함께 거동함으로써 토양 내에 집적됨과 동시에 지하수 수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부가가치 농산물 수요의 증가로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설재배의 경우 노지재배와는 상이한 유출 및 침투 특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과다시비로 인한 오염원의 토양 내 집적이 심각한 수준이나,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 지역의 토양 내 비점오염원 오염부하량을 평가하고 지하침투 과정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지의 비교 평가가 가능한 포장 및 광역단위 시험포장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모니터링 대상지역에서 토양수, 토양수분, 관개량, 기상조건 등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여 비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한달에 두 번 모니터링을 통하여 자료 수집 체계를 확립하였다. 시설재배지 및 관행재배지 토양 및 토양수 수질 분석 결과, 시설재배지 내 영양물질 농도가 관행재배지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하부토층으로 내려갈수록 영양물질의 농도 및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향후 본 시험포장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샘플링을 통하여 시설재배지 토양내 비점오염원의 침투 과정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지하침투 영향 및 오염부하량 모델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Fertigation Method on the Growth of Cucumber Plants in Soil Culture (상이한 급액방법이 토양양액재배 오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이정필;김홍기;임종극;서범석;정순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149-152
    • /
    • 1999
  • 최근 들어 시설재배는 토양재배에서 관비재배, 관비재배에서 양액재배방식으로 전환하려는 농가가 급속히 늘고 있어 시대가 변천하면서 더욱 생력적이고 효율적인 농업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시설의 구조나 형태가 작물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고, 또한 토양재배시 초래되는 연작장해를 회피하기 위한 농가의 요구가 반영된 결과이다. (중략)

  • PDF

Effect of rose powery mildew incidenc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green houses (유리온실내 온도변화가 장미횐가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정성수;김정만;정종성;최정식;김형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05a
    • /
    • pp.69-70
    • /
    • 1997
  • 장미의 재배면적은 480㏊로서 국화 다음으로 많은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고 생산액에서는 130억원으로 전체 절화류 생산액의 28%를 차지하고 있다. 재배면적 480㏊중 457㏊(95.2%)가 시설재배이고 19.7㏊(41%)만이 루지재배로서 대부분이 시설내에서 재배되고 있다. 장미흰가루병은 B. C 300년경에 처음으로 보고된 이래 지금까지 장미에 가장 피해가 큰 병이다. (중략)

  • PDF

Effect of Amount of Nutrient Solution Supply on the Growth and Yield in Isolated Bed Culture of Eggplant (가지 격리상재배시 급액량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Kim, Ju;Jang, Ik;Choi, Dong-Chil;Jung, Jong-Sung;Kim, Chi-Sun;Choi, Jung-Sik;Choi, Young-Geun;Bae, Jong-H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3.04a
    • /
    • pp.98-103
    • /
    • 2003
  • 우리나라의 가지 재배면적은 1970년 2,815ha이었던 것이 그 후 점차 줄어들어 2001년은 866ha가 재배되고 있고, 시설재배면적은 1970년 27ha로 전체면적의 1%도 채 안되는 매우 적은 면적이었으나 2001년에는 전체면적의 33%에 가까운 284ha가 재배되고 있다. 연간 총생산량으로 보면 1970년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다. 이는 노지재배의 10a당 수량이 적을 때는 892kg 많을 때는 2,782kg 이나 시설재배의 10a당 수량은 1,617-4,294kg으로 노지재배에 비해 시설재배의 수량이 많기 때문이다(M.A.F. 2001). (중략)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ltivated under Greenhouse and Open Field Conditions (시설 및 노지 재배한 오디의 품질 특성)

  • Lee, Ji Young;Hwang, In Guk;Kim, Ha Yun;Yoo, Seon Mi;Park, Jong 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12
    • /
    • pp.1964-1968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ltivated under greenhouse and open field conditions.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pH, acidity, soluble solid content, and contents of free sugar, polyphenol, and anthocyanin were investigated.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in mulberry cultivated in open fields was higher than that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The average p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eenhouse mulberry whereas acidity was higher in mulberry grown in open fields. The average soluble solid content of mulberry cultivated in open field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ructose and glucose were detected in mulberry as free sugar. The free sugar content of mulberry was not affected by cultivation conditions. The average polyphenol contents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nd open fields were 393.36 and 514.47 mg%, respectively. The average anthocyanin contents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nd open fields were 205.00 and 265.56 mg%, respectively. The average poly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s of mulberry cultivated in open fiel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 Design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for Greenhouse Cultivation (시설재배를 위한 지능정보시스템의 설계)

  • Oh, Se-j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2
    • /
    • pp.183-190
    • /
    • 2017
  • Recently the scale and area of greenhouse cultivation have been enlarged in Korea, and its importance in domestic agriculture is being increased. According to these situation, environment control systems are widely used in greenhouses. Even though development of greenhouse facilities and control devices, cultivation skill using them is in lower level more than european countries and Japan. In this study, we propose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based on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supports environment control systems. Proposed system is able to support to maintain optimal environment for plant growth using data from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also give useful knowledge for cultivation by active way. Furthermore, it estimates future status of plant growth, and suggest best strategy of environment control for current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