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아동의 학교생활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xperiences on the school life and career choice of youths who aged out from institutional care (시설퇴소청소년의 초·중·고 학교생활 및 진로선택 경험)

  • Kang Hyunah;Lee Jongeun
    •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 /
    • v.43
    • /
    • pp.49-7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n the school life and career choice of youths who aged out from institutional care. For the purpose, we conducted two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s for each of eight youths We analyzed youth descriptions by utiliz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firstly, we separated meaning units from the youths' descriptions and drew three categories and eight sub-categories from the meaning units. The three categories were 'What I learned at school is shame', 'I learned how to live in school', and 'The graduation of high school as a good student is a condition for safe escape from the institution. The study participants became aware of the negative social perceptions toward institution children in their school lifes. The participants have commonly shared their experiences of being hurt by the perceptions. However, they have learned how to protect themselves and adapted to school life. Additionally, they took advantage of the public benefits and cares in career choice by adapting to the controls of institutions for successful aging out.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youths in institutional care.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Hope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시설 보호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 Lim, Jung Ha;Moon, Chi Yun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8 no.2
    • /
    • pp.63-80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emperament, social support and hope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A total of 198 children, aged 10 to 13, recruited from 20 institutions in Seoul participated. Demographics, temperament, social support from friends, institution-family and school teacher, and hope were assessed by self-report. Results showed that in bivariate level,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vel of hope. Howeve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indicated that children's hope was predicted only by age and social support from friends, institution-family and school teacher. That is, temperament was not contributed to predict hope, whilst social support contributed unique variance to the prediction of hope, controlling for age. The more social support the children felt they had, the higher levels of hope they reported. Further analyses revealed that support from friends, institution-family and school teacher were influential factors in explaining hope agency, while support from institution-family and school teacher were influential factors in explaining hope pathway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controlling for ag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Institutionalized and Home Reared Children (시설보호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정서지능, 사회적 능력,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Park, Mi-Kyeong;Moon, Hyuk-Jun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7 no.2
    • /
    • pp.1-1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home reared children. In total, 584 grade 4, 5, and 6 stud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305 of which were institutionalized and 279 home reared.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home reared children. Positive correlations were established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both groups of children.

Factors related to Institutiona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시설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변인 연구: 정서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 Moon, Hyuk-Jun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4 no.10
    • /
    • pp.1-8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n the social competence of institutional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institutional children of 300 10-12 year old and questionnaire measures were employ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competence as well a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nd social competence. Compon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at predicted social competence were emotional facilitation of thinking and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Degree of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institutiona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People III-김종태 평화의 마을 원장

  • Choe, Jeong-Gwan
    • Social Workers
    • /
    • no.11 s.55
    • /
    • pp.42-43
    • /
    • 2006
  • 재단법인 인촌기념회는 제20회 인촌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지난 11일 시상식을 가졌다. 본지는 공공봉사부문을 수상한 대전 평화의 마을에서 김종태 원장을 만나 수상 소감과 함께 원로 사회복지사로서 느끼는 현 사회복지계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김종태 원장은 중앙신학교(현 강남대학교) 사회사업과를 다니다 1957년 고 함석헌 옹이 운영하는 씨알농장에서 공동체 운동을 시작했다. 그는 1967년 홀트아동복지회 일산복지타운 원장을 지내다 1987년부터 아동생활시설인 대전 평화의 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1990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 대학원에서 사회사업복지 과정을 공부하기도 한 김종태 회장은 40년 동안 봉사활동만을 하며 생활시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입해 전국으로 전파한 공을 인정받아 인촌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 PDF

Present Status of E. vermicularis Infestation in Primary Schools and Orphanages (국민학교(國民學校) 및 집단주거시설(集團住居施設) 아동(兒童)의 요충감염현황(蟯蟲感染現況))

  • Kim, Jong-Seong;Lee, Joon-Sang;Joo, Kyoung-Hwan;Rim, Han-Jong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13 no.1
    • /
    • pp.26-31
    • /
    • 1988
  • An epidemiological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E. vermicularis infestation among children in primary schools and orphanages. A total of 2,966 children in primary schools and orphanages was examined for F. vermicularis by means of cellotape anal swab techniqu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ies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enterobiasis among children and to make a comparison with the rate of infestation by survey areas.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egg positive rate of cellotape anal swab method was 16.3% out of 2,966 children. 2) The egg positive rate of urban area was 6.9% out of 1,144 children and the egg positive rate of rural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rban area. 3) The egg positive rate of boys and girls were 15.7% out of 1,528 children and 16.9% out of 1,438 children. 4) The egg positive rate of primary schools, orphanages and mental retardation child group was 11.3% (out of 2,412), 32.7% (out of 416) and 55.1% (out of 138) respectively. There was noted a tendency of decrease in prevalence by increase of the age.

  • PDF

The Application conditions and the Improvement plan of Integration class of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정보매체 활용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Lee, Hwan-Seung;Kim, Young-K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466-474
    • /
    • 2004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교육은 과거의 분리교육에서 벗어나 포함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어느 정도의 장애를 떠나 일반학급에서 통합교육을 받고자 한다면 수용하고 그에 해당하는 교육과정과 필요한 지원을 하여야 한다. 특히 통합학급에서 아이들에게 교육하는데 있어서 정보매체를 활용한다면 교육적 효과는 다른 매체 보다 뛰어남을 알 수 있다. 과거의 셈하기와 읽기, 쓰기 교육에서 벗어나 생활중심의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취지에 적절한 정보매체를 활용한다면 보다 질 높은 교육이 이루어짐은 당연할 것이다. 하지만 통합학급의 특수교육 대상아동의 경우 여러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그 유형에 따라 다양한 매체들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통합학급 환경은 그 필요성과는 달리 어떤 것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활용 실태는 어떻게 되는지 기준 안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에 따른 통합학급의 정보매체의 활용실태 분석을 통하여 장애아동 유형별 갖추어야할 시설과 환경 및 자료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개선방안을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해보고자 하는데 있다.

  • PDF

A study on context of children's library considering user behavior (아동의 독서 및 놀이 행태를 반영한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아동의 가구 사용방법(Way of Seat)과 아동-부모의 상호작용방법을 중심으로))

  • Song, So-Ra;Pan, Young-Hwan;Jeong, Ji-H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901-906
    • /
    • 2009
  • 어린이 도서관은 일상생활 가까이에서 지역주민에게 지식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를 통해 우리나라 전체 도서관 서비스의 수준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생활 친화적 문화기반 시설인 소규모 도서관(혹은 문고)시설이다. 즉 어린이 도서관은 접근성을 가장 큰 장점으로 하여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고객중심의 공공도서관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어린이 도서관의 주 이용고객은 어린이와 주부로서 최근 이들이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어린이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고 공부를 하는 장소에서 나아가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가능한 문화적 공간으로 변모하여가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책을 읽는 조용한 공간이지만 주 이용자가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이기에 독서행위와 더불어 또래 친구들과의 친교행위. 부모님과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행위, 소규모 근육활동과 같은 놀이행위가 병행된다. 또 어린이 도서관에서 사용되어지는 정형적인 모듈의 서가를 비롯한 입식. 좌식 테이블과 의자들은 소수의 디자이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다수의 어린이들은 디자이너의 의도와 방법에 따라 가구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환경적 컨텍스트에 맞추어 가구의 새로운 쓰임을 발견하며 훨씬 더 다채로운 방법으로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및 놀이 행위 시 아동-부모의 상호작용 방법에 기반하여 아동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하여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위 이면에 내재된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태 이면에 내재한 어린이만의 특성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특수한 물리적 환경요인 및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반조사 및 어린이 도서관 방문을 통한 정황조사(Contextual Inquiry)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생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과 독서 및 놀이 행위 시 행태를 관찰하여 Photo Based Research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 하였다.

  • PDF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Library Satisfactions of Mothers of Early School-age Children (학령초기 아동 어머니의 도서관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탐색)

  • Sang Eun Lee;Naya Cho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1
    • /
    • pp.233-261
    • /
    • 2023
  • Drawing on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 the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the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library satisfaction for mothers of early school-age children. The study used the eighth wave(2015)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earchers selected ecological variables for each ecological system based on previous studies. Results showed that mothers had moderate satisfaction with librari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libraries was affected by library accessibility, satisfaction with public services, type of residence, children's reading time, and supportiveness of parenting policy. The study showed that external factors such as family, community, and policies could affect library satisfaction along with internal factor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study suggested a possible practical implication for library policy.

Literature Review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s of Korean Rural Living Science -Food & Nutrition- (한국 농촌 생활과학 연구동향 및 문헌고찰 -식생활 분야-)

  • 강미영
    • Korean Journal of Rural Living Science
    • /
    • v.2
    • /
    • pp.1-23
    • /
    • 1991
  • 농촌주민들의 영양 섭취실태에 대한 동향을 요약해 보면 1. 총 섭취식품중 약 90% 정도를 식물성식품으로써 섭취하고 있으며, 곡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되는 반면 콩류, 채소류 및 과일류의 섭취 비율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2. 총 열량섭취는 감소하는 추세이고 총열량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비율이 74 : 12 : 12의 수준이다. 총 단백질 섭취에 대한 동물성 단백질 섭취율은 36%로써 질적으로 바람직하게 변화되고 있다. 칼슘의 섭취수준이 권장량의 90%정도로서 조금 부족한 듯 하지만 철분, 비타민 등 대체로 영양섭취상태는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농촌 영아들의 경우는 모든 영양소가 권장량에 현저히 미달되는 상태이다. 이유식품 개발 및 이유 방법에 대한 상담 지도가 적극 필요한 실정이다. 4. 새마을 유아원의 설치 및 유아급식의 혜택으로 농촌 유아들의 영양 섭취 상태는 두드러지게 개선되었으나 철분섭취 상태는 권장량에 미달되는 실정이다. 취학전 아동의 영양향상을 위해서는 유아 교육시설 확충 및 간식의 중요성에 대한 농촌 주부 대상의 영양 교육 확대 실시가 요청된다. 5. 국민학교 아동들에게서는 빈혈의 발생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성장 발육기에 있는 이들의 심신발달에 필요한 영양공급 및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일정한 지도 목표를 설정하여 계획적으로 실시하는 학교 급식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하겠다. 6. 청소년기 및 임신 수유부의 경우도 철분의 섭취상태가 부족하기는 하지만, 철 결핍성 빈혈증상이 나타날 정도는 아니고 영양섭취상태도 대체로 양호하다. 7. 노인들의 식품 영양 섭취실태는 권장량에 크게 미달되는 실정이기는 하지만 혈액검사의 수치들이 대체로 정상인 범위에 있고 건강상태도 양호한 편이다. 식품 개발 및 조리법에 관해서 요약해 보면 1. 식량수급의 안정을 기하고자 다수확 품종인 통일계통 쌀의 취반 및 가공적성에 대한 검토가 진행되었으며, 잡곡류 및 감자류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해 복합분의 사용에 의한 식품가공 적성에 대한 연구들이 실시되었다. 2. 콩류에 대한 연구로는,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탈지대두박의 단백질 식품으로의 이용을 위해 추출법의 검토 및 탈지대두박을 이용하는 두부제조법 등 다각적으로 식품에의 적용에 관해 연구가 진행 되었다. 3. 발효식품 중 김치에 대해서는 농촌지역에서 제조되는 김치의 종류와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및 김치의 저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일련의 검토가 있다. 간장, 고추장, 된장에 대해서는 Koji를 이용한 개량식 제조법 및 팽화시킨 곡분을 사용하는 간편 제조법, 비용 절감을 위한 대체원료 이용에 대한 연구 등이 진행되었다. 4. 이밖에도, 병조림 제조방법, 어린이를 위한 고영양 보충식 개발, 생선의 폐기 부분을 이용하여 칼슘 급원 식품으로서의 유용성에 관한 조리과학적 검토 등이 실시되었다. 식습관 및 식생활 관리 지도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농촌여성의 농업역할이 가중되면서 자녀들의 식생활을 방임하기 쉬운 실정이므로 유아 교육시설 및 학교 급식 등을 통해서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하며, 한편, 식생활 담당자인 농촌주부에 대한 규칙적이고 정확한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