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Institutionalized and Home Reared Children

시설보호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정서지능, 사회적 능력,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Park, Mi-Kyeo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tholic Sangji College) ;
  • Moon, Hyuk-Jun (Departmen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박미경 (가톨릭상지대학 유아교육과)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 Published : 2009.0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home reared children. In total, 584 grade 4, 5, and 6 stud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305 of which were institutionalized and 279 home reared.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home reared children. Positive correlations were established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both groups of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강복정, 이정덕(2000). 시설청소년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연구-건강가족적 관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 153-182
  2. 공경희(2002). 시설아동의 사회부적응 행동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 수도권 학교와 시설청소년을 중심으로 -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세은, 이순형(2002). 시설보호 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 정서조망 능력의 비교. 아동학회지, 23(2), 107-120
  4. 김선해(2002).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비교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수민(2004). 시설아동이 지각하는 보육사의 양육태도와 정서, 사회적 발달.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행자(1985). 아동발달론. 서울: 수학사
  7. 노동익(1997). 아동복지수용시설의 운영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노봉련(1998). 시설아동의 학업부진의 원인과 그 대안에 관한 연구: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노혜련, 장정순(1998). 육아시설아동의 생활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 65-92
  10. 문용린(1997a). 정서지능의 의미와 중요성. 제11회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학술대회
  11. 문용린(1997b). 종합진로.진로적성검사. 서울: 대교출판부
  12. 박경미(1997). 유아기 아동의 문제해결능력과 정서적 안정과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경옥, 이경님(1997).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적, 인지적 조망수용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6(1), 1-14
  14. 박금옥(1998). 청소년들의 자기조정학습방략정도와 학업성취 및 사회적 능력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영애, 최영희, 박인전(2000). 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의 특성 및 상호관계. 아동학회지, 21(3), 5-23
  16. 박은선(2000). 육아시설 아동의 학교부적응 문제해결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손순자(1993). 국민학생의 자아개념과 적응행동과의 관계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신소희(1984). 시설아동의 사회적 부적응 문제에 관한 연구 : 고아원의 남녀 중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연진영(1987). 아동의 공감발달 및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오세순(1999).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정서지능 비교.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강이, 성미영(2002). 유아의 정서 지식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 시설보호 유아와 일반 유아의 비교. 아동학회지, 24(1), 33-45
  22. 이민숙(2003).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이 사회성 발달 및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서정(2001). 생활시설 아동의 심리적 환경과 부적응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순형, 이강이, 성미영(2001). 시설아동의 가족관계망에 따른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지, 39(4), 79-89
  25. 이종원(1988). 육아시설아동의 성격특성분석을 통한 생활지도 개선방안. 대구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혜원(1972). 사회적 장애아의 특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전규용(2002). 시설아동의 심리사회적 환경과 사회부적응 행동에 관한 연구.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정선욱(2002). 시설보호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최은영(1999).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간의 상관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최은주(2003). 감성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와 사회성의 관계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최일경(1995). 시설아동의 문제 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Bowlby, J.(1965). Child care and the growth of love(2nd ed). Middlex, England: Penguin Books
  33. Bowlby, J.(1980). Attachment and loss III. N. Y. : Basic Books
  34. Cassidy, J., Parke, R., Butkovsky, L., & Braungart, J.(1992). Family-peer connection : The rol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 the family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Child Development, 63, 603-618 https://doi.org/10.2307/1131349
  35. Denham, S. A.(2001). Dealing With feelings: Foundations and consequence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2(1), 5-10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201_1
  36. Dunn, J., & Brown, J.(1994). Affective expression in the family,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their interaction with others. Merrill Palmer Quarterly, 40, 120 - 137
  37. Frank, D. A., Klass, P. E., Earls, F., & Eisenberg, L.(1996).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orphanages: One view from pediatrics and child psychiatry. Pediatrics, 47(4), 569 - 578
  38. Huston, A. C., McLoyd, V. C., & Coll, C. G.(1994). Children and poverty: Issues in contemporary research. Child Development, 65, 275-282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4.tb00750.x
  39. Kernberg, O.(1976). Object relations theory and clinical psychoanalysis. NY: Jason Aronson
  40. O'Malley, J. M.(1977). Research perspective on social competency. Merrill-Palmer Quarterly, 23, 29-44
  41. Salovey, P., & Mayer, J. D.(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2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42. Sroufe, L. A., Schork, E., Motti, E., Lawroski, N., & LaFreniere, P.(1984). The role of affect in social competence. In C. Izard, J. Kagan, & R. Zajonc(Eds.), Emotions, cognition, and behavior.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