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설치기준

Search Result 73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ment of a Water Balance Analysis Tool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빗물이용시설 활용성 평가를 위한 물수지 분석 도구 개발)

  • Park, Jongpyo;Sim, Inkyeong;Won, Changyeon;Kim, Re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0-380
    • /
    • 2022
  • 빗물이용시설은 2014년 「물재이용법」 개정에 따라 시설 확충에 맞춘 획일적인 운영으로 시설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대상 시설의 이용량 증가에 대한 부분은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설치 의무대상시설에 대한 적정한 시설의 이용현황을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이용시설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빗물이용시설의 효율적 관리방안 설정을 위해서는 의무 대상시설별 설치 및 운영관리 실태조사, 빗물이용시설관련 기준 검토 및 분석, 빗물이용시설 개선방안 마련의 단계로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이용시설 기준 검토 및 분석에서 지역별, 수요처별, 용도별 일정 빗물이용 활용률을 확보할 수 있는 빗물이용시설의 평가를 위해 수문학적 물수지 분석을 통한 물수요-공급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수지 분석 툴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빗물이용시설 물수지 분석 excel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빗물이용시설 공급충족률(필요수량 대비 빗물이용량), 빗물보장률(전체일수 대비 빗물이용일수), 빗물이용시설 이용률(빗물이용시설용량 대비 빗물이용가능량)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개발한 물수지 분석 excel 도구를 이용하여 현재 설치되고 운영하고 있는 의무대상시설의 운영현황과 도구에서 계산된 활용성 평가 결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운영 현황을 개선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운영 결과를 시설 설치 이전에 확인하여 최적 운영방안 도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between Computer Simulation and Real-car Crash Test of Energy Absorption Facilities for Various Road Environments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충격흡수시설의 시뮬레이션 분석 및 실물충돌시험 결과 분석)

  • No, Min Hyung;Park, Jea Hong;Seo, Chang Won;Sung, Jung Gon;Yun, Duk G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3
    • /
    • pp.399-407
    • /
    • 2022
  • Energy absorption facilities installed on roads should follow the performance standards of the real-car crash test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Guidelines for Roadside Safety Facilities'. However, due to different installation conditions, such as differing structure widths on roads, some energy absorption facilities do not provide adequate performance. In order to apply varied environments on roads, an energy absorption structure was designed in this study with 150 mm height and four layers of W-shape guardrail at 200 mm intervals, and the performance was verified using LS-DYNA computer simulation. Through a real-car crash test, the performance of the facility designed by LS-DYNA was tested and was found to meet the performance of the CC2 category for crash cushions. The conclusion of the comparison demonstrates that the simulation and the real-car crash tests are both significant.

Study on Guideline of Water Supply System for Forest Fire (산불방지 급수시설 설치 기준 마련에 관한 연구)

  • Kim, Dong-Hyun;Nam, Song-Hee;Keum, Si-Ho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7 no.3
    • /
    • pp.38-46
    • /
    • 2013
  • Permanent water supply and water sprinkling systems are essential to protect major forests and facilities from forest fire. Back in 2005, Naksan Temple, a valuable cultural asset of Korea, was burned down in a forest fire that took place in Yangyang. This started a series of movements including installing water supply facilities and managing forests near important cultural assets. As for the existing facilities, however, they were installed without any standard guidelines for management and installation according to each constructor's specifications, which were based on the National Fire Safety Code 109. Unfortunately, this is not effective in protecting facilities from forest fires such as they have a small protection area, limited simultaneous sprinkling, and a difficult the movement of fire hose. Against this background, the study examines the condition of water supply facilities currently in use, identifies their deficiencies, and suggests how to improve the criteria for water supply service to effectively prevent forest fire. Specifically, three systems were proposed: Water Sprinkler Tower System for preventing spread of crown fires, and Forest Fire Hydrant System and Portable Water Spray System to be effective for suppressing surface fires. In addition, the standards on the performance and components of water pumps are also suggested.

A Study of the Rationalization of Handling Facility Safety Management Standard for Hazardous Chemicals : Focusing on Dike (화학물질 안전관리 시설기준 합리화 연구 : 방류벽 중심)

  • Kim, Nam-Suk;Yoo, Byung-T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4 no.2
    • /
    • pp.29-35
    • /
    • 2020
  • The Chemical Control Act has revised in 2015 to promote chemical safety, particularly enhancing the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However, in some existing facilities, it was difficult to comply with some facility standards because of lack of land, safety accident possibility during rebuilding.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rovide a more rational approach of dike standard which was the highest(2017: 117, 2018: 83) complaint for two years(2017~2018, 1,087) by prior study, FLACS simulation, analyze safety management standard and conduct a survey. Therefore, considering the purpose of installing the discharge wall only at existing facilities in operation, additional sensors that can detect chemical leakage and leakage were recognized as an additional alternative to installing and operating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This will help the safety and cost aspects of small or medium-sized businesses 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at cannot secure legal grounds or fail to enforce legal regulations due to economic problems such as construction costs.

The Study on the Legal Improvement for Fire Protection in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목조건축 문화재의 화재방호를 위한 법규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Dong Cheol;Roh, Sam Kew;Ham, Eun Gu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9 no.1
    • /
    • pp.19-26
    • /
    • 2015
  • This study covers securing legal systems and institutions regarding the standards for installing fire prevention facilities to prevent fire on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Conflicts among relevant laws were revealed and problems related to fire prevention performance, technical standards, responsibilities, etc.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legal fire prevention equipment and the equipment for self-extinguishing were identified through pondering over current legal systems of fire prevention facilities. To resolve the problems, at least the principle to preserve original shapes of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should be secured even though fire preven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the installation process should be regulated by laws considering features of fire on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so that fire prevention performance can be guaranteed. The directions to improve installing system through legalization of design, construction, and audit review institutions and legalization of the technical standards for fire prevention facilities were suggested to guarantee performance when establishing fire prevention facilities for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Development of optimal operating standards for deep stormwater storage-drain facilities for urban flood defense. (도시유역 홍수방어를 위한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 최적운영기준 산정기법 개발)

  • Yoon, Jun-Seo;Moon, Hyeon-Tae;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84-284
    • /
    • 2022
  • 최근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기후는 연 강수량이 여름에 집중되는 한국 강우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도시화된 대도시의 배수 시설 능력 부족은 돌발 강우, 국지성 집중 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를 야기한다.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선진국의 경우 대심도 저류배수터널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시설운영기준 및 매뉴얼 개발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와 같은 시설물에 대한 운영사례가 없고, 시설물 내 복잡한 수리 현상에 대한 수리모형 실험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강서·양천 일대에 설치된 대심도 터널인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안정적인 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최적운영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시유역 강우유출모의에 적합한 XP-SWMM 모형을 활용하여 강우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수직구별 유입유량, 도달시간 등의 유출특성을 반영하고 수문개방시간을 고려한 시설물 운영기준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유역 홍수예방을 위한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안정적인 운영계획 수립 및 시설물 운영 매뉴얼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a View for setting Public Library standards (공공도서관 기준설정의 관점에 관한 연구)

  • 서일민;이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4.12a
    • /
    • pp.177-180
    • /
    • 1994
  • 공공도서관은 환경과 유기적인 상관관계가 큰 조직으로 기준설정이 필요하고 따라서 효율적인 봉사를 할수있다. 본 연구는 기준이 가지는 특성과 설정과정을 분석하고 질적인 수준을 위한 이용도 조사와 봉사정신에 입각한 시스템기준 설정을 시도한 논문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설치기준: 일인당 면적기준보다 시스템 단위의 지역기준, 장서기준: 참고서적 우선의 장서구성과 최신성을 위한 정간물 구입, 직원기준: 업무분석을 통해 전문직과 비전문직의 구별과 전문성 향상, 시설기준: 일인당 좌석, 면적기준보다 봉사형태에 따른 다양한 시설, 봉사기준: 이용행태분석을 통해 봉사정신에 입각한 프로그램 설정.

  • PDF

항공장애물 표식설치에 관하여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0 s.70
    • /
    • pp.28-33
    • /
    • 1974
  • 항공기의 운행 안전을 위해 제40조 및 동법 시행 규칙 제133조, 제134조, 제135조, 제140조, 제141조, 제142조와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 제12조에 의거 설치 운용하고 있는 항공장애물 표식에 있어 건물 및 기지 시설 설치지 임의 설치, 또는 비설비 방치로 인해 항공장애물표식(주간 및 야간)관리 운용상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항공기 안전 운항의 불안전 요소가 되고 있어, 건물 및 기지 설비 시설 당국의 항공장애물 표식 적부검사를 받도록 관계기관에 요망하고 있는 바, 특히, 회원의 고층건물 설비 시 유의할 사항임으로 ‘항공기 관계조문’ ‘시행규칙’ ‘설치기준’ 및 ‘항공기장애물 설치허가신청서’의 양식을 소개한다.

  • PDF

원예시설의 환경설계 및 환경제어

  • 손정익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 no.1
    • /
    • pp.72-81
    • /
    • 1994
  • 최근, 원예시설의 자재의 규격화 및 국내상황에 적합한 원예시설의 설치를 위하여 구조안전기준 등을 포함한 일련의 체계적인 원예시설의 연구가 진행 중에 있고, 그 결과의 파생효과로써 최근 일부 온실의 시공시에 국내상화에 적합한 합리적인 구조설계가 정착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온실설계에서 환경제어장치 정도의 언급 이외에는 환경설계 및 환경제어에 관련된 내용을 설계에 적용하는 예는 거의 없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은 생산시설의 설치에 따른 비효율적인 운용이 우려된다.(중략)

  • PDF

Automatic Fire Detector Spacing Calculation for Performance based Design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화재감지기배치의 공학적연구)

  • Yoon, Myong-O;Park, D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180-189
    • /
    • 2010
  • 현재의 화재안전기준에서 규정하는 화재감지기의 배치방법은 면적에 따라 규정된 숫자를 적정하게 배치하는 수준이다. 이 기준은 과학적인 근거는 가지고 있지 못하다. 외국의 기준을 도입하여 그에 따라서 설치하고 있을 뿐이다. 소방시설을 설계하는 방법에는 화재안전기준과 같이 명문화 된 규정에 따르는 규범위주설계(Prescriptive-Based)와 화재역학, 구조역학, 재료역학, 유체역학, 열역학 등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가 있다. 현재로서는 성능위주설계가 활성화 되지 않았지만, 최근 소방시설공사업법은 성능위주설계방법을 이용하여 소방시설을 설계 할 수 있도록 개정('05. 8. 4)되었으며 그 시행령('07, 1. 24)에서 성능위주설계를 적용할 특정소방 대상물의 범위를 정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감지기를 최적의 위치 및 거리에 설치하기 위하여 그에 대한 공식의 도입과 공식을 Software로 계산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계산하고 규범위주설계에 따라 배치한 화재감지기의 상태와 비교 분석하며 향후 성능위주설계 방법으로서 정착시키기 위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