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그니처 기반 안티바이러스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시그니처 기반 안티 바이러스 성능 향상 기법에 대한 연구 (A Performance Enhancement Scheme for Signature-based Anti-Viruses)

  • 조민재;신지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5-72
    • /
    • 2015
  • 안티바이러스는 단말에서 악성소프트웨어를 탐지하는데 있어 널리 사용되는 솔루션이다. 이 중 시그니처 기반 안티바이러스는 가장 기본적인 탐지방법으로 파일과 악성소프트웨어의 시그니처를 비교하여 탐지한다. 최근 악성소프트웨어의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시그니처 기반 안티바이러스의 탐지 시간이 증가하고 시간당 처리량이 줄어들면서 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 이를 개선한 새로운 성능향상 솔루션을 제시한다. 특히, 본 논문의 솔루션은 성능향상 수준이 가장 높은 솔루션으로 알려진 SplitScreen과 비교하여, 클라이언트의 작업을 줄이고, 시그니처 서버와의 통신비용을 줄여 안티바이러스 솔루션의 성능향상에 기여하였다.

기업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악성코드 대응 방안 (Effective malware countermeasures in enterprise environments)

  • 유다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83-685
    • /
    • 2015
  • 이메일 등 외부로부터 유입된 악성코드로 인해 기업환경 사용자들의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대다수 기업환경 사용자들은 시그니처 기반의 안티바이러스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신종 악성코드에 대한 대응률은 낮다. 또, 신종 악성코드 샘플을 수집하더라도 분석하고 시그니처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반영되기 전까지 사용자는 신종 악성코드를 진단하지 못하는 취약점을 가지게 된다. 최근 클라우드컴퓨팅 기술이 활성화되면서 안티바이러스에 응용하여 적용하고 있다. 방대한 데이터베이스 및 빠른 질의응답을 토대로 클라우드 기반의 안티바이러스는 시그니처 기반의 안티바이러스를 대체할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본 논문은 클라우드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안티바이러스를 기업 환경에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악성코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GRU를 활용한 악성코드 탐지의 관한 연구 (A Study on Malicious Code Detection Using GRU)

  • 류경근;최용철;이덕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54-257
    • /
    • 2020
  • 최근 악성코드에 의한 피해사례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인 시그니처 기반 안티바이러스 솔루션은 제로데이 공격이나 랜섬웨어처럼 전례가 없는 새로운 위협에 속수무책일 정도로 취약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이 다중 엔드포인트 보안 전략의 일환으로 시그니처 기반 안티바이러스 솔루션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응하고자 다양한 악성코드 분석기술이 출현해왔으며, 최근의 연구들은 부분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기존에 진행했던 시그니쳐 기반의 한계를 보완하고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은 머신러닝을 이용한 바이러스 분석 모델과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GRU를 이용한 솔루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DB Server를 통해 머신러닝을 학습 시키며 다양한 샘플과 형식을 이용하여 머신러닝을 학습하고 이를 이용해 새로운 악성코드, 변조된 악성코드의 탐지율을 높일 수 있다.

딥러닝을 이용한 악성코드탐지 연구동향

  • 최선오;김영수;김종현;김익균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26
    • /
    • 2017
  • 인터넷의 발달로 인류가 많은 유익을 얻었지만 동시에 악성코드와 같은 또다른 문제를 겪고 있다. 이러한 악성코드를 막기 위해 시그니처 기반의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악성코드의 변종이나 제로데이 악성코드를 막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분류하는 연구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블록체인과 딥러닝을 이용한 악성코드 탐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licious Code Detection Using Blockchain and Deep Learning)

  • 이덕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0권2호
    • /
    • pp.39-46
    • /
    • 2021
  • 최근 맬웨어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시그니처 기반 안티 바이러스 솔루션은 제로 데이 공격 및 랜섬웨어와 같은 새로운 위협에 취약하다. 그럼에도 많은 기업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다중 엔드 포인트 보안 전략의 일부로 서명 기반 안티 바이러스 솔루션을 유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안티 바이러스 솔루션으로 블록 체인과 딥 러닝 기술을 이용한 솔루션을 제안한다. 기존 DB 서버를 통해 업데이트되는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탐지 유닛을 보완하고, 다양한 샘플과 형태를 사용하여 딥 러닝 용 DB 대신 블록 체인을 구성하여 신규 악성 코드 및 위조 악성 코드 탐지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악성코드 탐지 메커니즘 (An Effective Malware Detection Mechanism in Android Environment)

  • 김의탁;류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05-313
    • /
    • 2018
  •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증가와 효율성으로 개방형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의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모바일 기기, 가전제품의 운영체제, IoT 관련 제품들과 더불어 메카트로닉스의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는 가용성과 안정성이 증명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성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안드로이드 기반의 악성코드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 PC와 다르게 모바일 제품에 악성코드가 유일될 경우, 모바일 기기가 Lock됨으로 사용할 수 없고, 불필요한 과금과 더불어 수많은 개인의 연락처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금융서비스를 통해 막대한 손실을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해한 악성 파일을 실시간으로 탐지 및 삭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과정 및 시그니처 기반 악성코드 탐지방법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악성코드를 실시간 감시하고 삭제할 수 있는 기법을 설계하였다. 우리가 제안하고 설계한 방법은 모바일 환경과 같이 제한적인 리소스 환경에서 악성코드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오픈소스기반 악성코드 솔루션 분석 (The Analysis for Malicious Code Solution Based on an Open Source)

  • 한동진;정소정;김동건;최일영;최상용;이종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85-88
    • /
    • 2020
  • 최근 악성코드의 발전은 사이버 위협의 전방면에 걸쳐 영향을 주고 있다. DDoS, APT를 포함한 스팸 발송 등과 같은 사이버 공격은 악성코드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악성코드 솔루션이 존재하고 있다. 악성코드 솔루션은 오픈소스와 상업용 프로그램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상업용 프로그램은 악성코드뿐만 아니라 PC관리의 전반적인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방법은 시그니처 방식과 해시DB를 이용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기반 악성코드 솔루션을 비교하여 어떠한 방식이 더 효과적인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악성코드 방지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개발자가 비용효과적인 악성코드 탐지 방법을 잘 선택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 PDF

Opcode와 API의 군집화와 유사도 분석을 활용한 랜섬웨어 탐지모델 연구 (A Study on the Ransomware Detection Model Using the Clustering and Similarity Analysis of Opcode and API)

  • 이계혁;황민채;구영인;현동엽;유동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79-182
    • /
    • 2022
  • 최근 코로나 19 팬더믹 이후 원격근무의 확대와 더불어 랜섬웨어 팬더믹이 심화하고 있다. 현재 안티바이러스 백신 업체들이 랜섬웨어에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기존의 파일 시그니처 기반 정적분석은 패킹의 다양화, 난독화, 변종 혹은 신종 랜섬웨어의 등장 앞에 무력화될 수 있고, 실제로 랜섬웨어의 피해 규모 지속 증가가 이를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한 단일 분석만을 이용하여 탐지모델에 적용하는 것이 아닌 정적 분석 정보(.text Section Opcode)와 동적 분석 정보(Native API)를 추출하고 유사도를 바탕으로 연관성을 찾아 결합하여 기계학습에 적용하는 탐지모델을 제안한다.

머신러닝 기반 악성 URL 탐지 기법 (Machine Learning-Based Malicious URL Detection Technique)

  • 한채림;윤수현;한명진;이일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555-564
    • /
    • 2022
  • 최근 사이버 공격은 지능적이고 고도화된 악성코드를 활용한 해킹 기법을 활용하여 재택근무 및 원격의료, 자동산업설비를 공격하고 있어서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안티바이러스와 같은 전통적인 정보보호체계는 시그니처 패턴 기반의 알려진 악성 URL을 탐지하는 방식이어서 알려지지 않은 악성 URL을 탐지할 수 없다. 그리고 종래의 정적 분석 기반의 악성 URL 분석 방식은 동적 로드와 암호화 공격에 취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악성 URL 데이터를 동적으로 학습하여 효율적으로 악성 URL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탐지 기법에서는 머신러닝 기반의 특징 선택 알고리즘을 사용해 악성 코드를 분류했고, 가중 유클리드 거리(Weighted Euclidean Distance, WED)를 활용하여 사전처리를 진행한 후 난독화 요소를 제거하여 정확도를 개선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머신러닝 기반 악성 URL 탐지 기법은 종래의 방법 대비 2.82% 향상된 89.17%의 정확도를 보인다.

Opcode와 API의 빈도수와 상관계수를 활용한 Cerber형 랜섬웨어 탐지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erber-Type Ransomware Detection Model Using Opcode and API Frequency and Correlation Coefficient)

  • 이계혁;황민채;현동엽;구영인;유동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10호
    • /
    • pp.363-372
    • /
    • 2022
  • 최근 코로나 19 팬더믹 이후 원격근무의 확대와 더불어 랜섬웨어 팬더믹이 심화하고 있다. 현재 안티바이러스 백신 업체들이 랜섬웨어에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기존의 파일 시그니처 기반 정적 분석은 패킹의 다양화, 난독화, 변종 혹은 신종 랜섬웨어의 등장 앞에 무력화될 수 있다. 이러한 랜섬웨어 탐지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시그니처 기반 정적 분석의 탐지 방법과 행위기반의 동적 분석을 이용한 탐지 연구가 현재 주된 연구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분석만을 이용하여 탐지모델에 적용하는 것이 아닌 ".text Section" Opcode와 실제 사용하는 Native API의 빈도수를 추출하고 K-means Clustering 알고리즘, 코사인 유사도,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선정한 특징정보들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타 악성코드 유형 중 웜과 Cerber형 랜섬웨어를 분류, 탐지하는 실험을 통해, 선정한 특징정보가 특정 랜섬웨어(Cerber)를 탐지하는 데 특화된 정보임을 검증하였다. 위와 같은 검증을 통해 최종 선정된 특징정보들을 결합하여 기계학습에 적용하여, 최적화 이후 정확도 93.3% 등의 탐지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