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에 대한 해석

검색결과 960건 처리시간 0.042초

Block-Out된 암거의 구조안전성 검토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of Box Construction with Opening)

  • 은충기;채원규;김광일;손영현;홍성욱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8-53
    • /
    • 2003
  • 최근 기존 암거구조물에 하수관로 등 추가적인 관로의 설치에 의해 암거 구조물이 손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으나, 현장여건상 이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의 검토가 미비한 채 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암거의 상단부에 흄관이 관통하였을 경우 block-out된 암거구조물의 구조적 거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암거구조물의 손상 인접부위의 종방향 및 횡방향 휨모멘트를 구조해석에 의해 산출하고, 이들 구조해석 결과에 의해 block-out된 암거의 손상 인접부위에 대한 구조안전성 검토를 수행하였다.(중략)

  • PDF

유한요소법에 의한 양쯔강 신설 대수로사면 안정검토 (Stability Analysis by FEM on New Large Shiplock Slopes in Yangtze River)

  • ;최용기;박종호;우상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27
    • /
    • 2006
  • 중국 Three Gorges Project의 대수로사면 안정성은 설계와 시공측면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사면 굴착으로 인한 제하과정에서 암반은 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놓인다. 본 논문은 FEM(2D-3D)를 이용하여 단층 암반 굴착으로 인한 암반사면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해석결과 굴착 후 수로사면의 양측 수직벽과 분리울타리의 중간 상부에서 인장응력과 전단손상영역이 주로 발생하였다. 해석결과를 토대로 대규모 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나 시공단계에서 국부적 사면활동을 방지하기 위한 록볼트와 록앵커 등의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유리창 외부 청소용 로봇의 자중에 대한 구조해석 (Structural Analysis of Self-weight of Cleaning Robot for External Windows)

  • 김균태;전영훈;김정태;박경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03-204
    • /
    • 2017
  • In case of developing a guide-rail type window cleaning robot, only the first prototype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the size and the load of the window cleaning robot was not optimized, and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self-weight of the window cleaning robot, the stress concentration area was derived and the concentrated stress was quantified. Analysis showed that the upper rail shaft had a bending stress of 9.964Mpa and the bolt had a shear stress of 19.544Mpa.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future prototypes.

  • PDF

현장 열응답 시험(TRT)과 CFD 역해석을 통한 지반의 열전도도 평가 (Evaluation of Ground Thermal Conductivity by Performing In-Situ Thermal Response test (TRT) and CFD Back-Analysis)

  • 박문서;이철호;박상우;손병후;최항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2호
    • /
    • pp.5-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현장 열응답 시험결과를 동일한 지중열교환기와 지반 조건에 대한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하고 역해석을 통해 지반의 열전도도를 평가하였다. 총 6개의 보어홀을 원주에 소재하고 있는 시험시공 현장에 설치하였으며 순환 파이프의 형상과 그라우트 재료에 대한 수직 밀폐형 지중열교환기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적인 U형 순환 파이프와 새롭게 개발된 3공형 순환 파이프를 보어홀 내 시공하였다. 수치해석은 CFD 해석 프로그램인 FLUENT를 적용하여 3차원 열전달 거동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보어홀에 대해 시간에 따른 순환수의 유입, 유출 온도 차이와 지반의 깊이별 온도변화를 User Define Function (UDF)을 이용하여 실제 조건을 모사하였다. 주어진 보어홀 조건과 실내시험을 통해 시험시공 현장의 열 물성을 입력치로 적용하여 수치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현장 열응답 시험에서 측정된 시간에 따른 유입, 유출 순환수의 온도 변화를 모사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지반의 열전도도를 3W/mK로 적용하였을 때 보다 4W/mK일 때 현장 열응답 시험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터널굴착으로 발생한 주변 단일지층 및 복합지층 지반에서의 지반변위에 대한 거동비교 (Comparison of Ground Movements in A Single Ground Layer and Multiple Ground Layers due to Nearby Tunnel Excavation)

  • 손무락;윤종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C호
    • /
    • pp.167-17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터널굴착으로 발생한 주변 단일지층 및 복합지층 지반에서의 지반변위에 대한 거동을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은 단일지층 및 복합지층 조건에서 서로 다른 시공조건(지반손실량)을 가진 터널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얻어진 지표면에서의 최대 침하량과 최대 수평변위량은 지층조건 및 시공조건별로 상호비교되었다. 뿐만 아니라, 수치해석을 통해 얻어진 지표면에서의 최대 침하량은 터널 굴착부 천단에서 발생된 최대 침하량과 지층조건 및 시공조건(지반손실량)별로 상호 비교되었으며, 지표면에서의 최대 침하량과 최대 수평변위량의 관계 또한 지층조건에 따라 상호 비교되었다. 더불어, 지층조건에 따라 터널굴착부에서 발생한 지반손실량($V_L$)과 지표면에서 형성된 총 침하부피량($V_s$)이 서로 비교되었다. 수치해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와 기존 현장계측자료와의 비교가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터널굴착으로 발생된 서로 다른 지층조건을 가진 주변지반에서의 거동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실무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터널 갱구부 붕괴 사면의 안정성 해석 및 보강공법에 관한 연구 - 수안보 온천 1, 2터널 붕괴 현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bility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f Tunnel Portal Failure Slope - in Suanbo Hot Springs 1 and 2 Tunnel Failure Site)

  • 백용;구호본;유기정
    • 지질공학
    • /
    • 제12권4호
    • /
    • pp.367-378
    • /
    • 2002
  • 최근 국도가 4차선 선형 개량화 되는 과정에서 일반국도 내 터널 수가 증대되고 있으며 터널 갱구부의 사면 붕괴도 적지 않게 보고되고 있다. 운용중 터널 갱구부 사면 붕괴는 절토사면과는 달리 시공성 및 대책공법 선정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4월 발생한 수안보 온천 1, 2터널붕괴 현장을 대상으로 정밀 현장조사를 실시, 안정성 해석에 따른 효율적인 보강공법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붕괴 현장의 정밀 지질조사를 통하여 붕괴 원인 분석 및 지반강도정수 산정을 위하여 현장 조사 및 붕괴 현장에 대한 역해석을 실시 지반강도정수를 추정하였다. 암반사떤의 안정성 해석을 위하여 불연속면의 영향을 고려하여 평사투영법을 실시하였으며, 안전율을 산정을 위하여 Tarlen을 이용한계평형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안보 온천 1터널의 경우, 사면경사완화공법을 2터널의 경우는 3개의 영역으로 구분 콘크리트 버트리스 및 보강공법으로 록앵커 시공, 결착식 낙석방 지망을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3차원 스캔을 이용한 터널계측의 경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conomic Aspects on 3-D Scanning Measurement during Tunnel Construction)

  • 최원일;박근영;조국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77-81
    • /
    • 2010
  • D&B(Drill & Blast) 공법은 터널 시공시 현장지반조건에 대한 신속한 대응능력이 장점으로서, 정보화 시공에 의한 피드백해석(feedback analysis)이 필수적이며 이때 터널변위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계측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내공변위 계측에 있어서의 기존계측 사례와 첨단 IT기법을 이용한 계측사례의 비교 분석을 통한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하며 적용성 평가를 위해 00지하철 현장에서 내공침하 비교계측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계측비용, 계측빈도, 계측간격, 계측기간, 계측소요시간 등을 평가항목으로 선정하여 실제 현장터널의 내공 및 천단변위 계측시 소요되는 계측 용역의 내역자료를 통해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터널 시공시 기존방법에 비해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시공에 기여함으로써 첨단 IT기법을 응용한 레이저스캐너의 현장 적용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2-Arch 터널의 3차원 거동 특성 -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on 3D behavior of 2-Arch tunnel)

  • 유충식;김주미;김희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255-26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2-Arch 터널의 3차원 거동 메카니즘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도심지 지하철에 적용된 2-Arch 터널을 고려하였으며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좌우 터널의 이격거리, 지반조건, 토피고 등에 대한 매개변수연구를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토대로 다양한 조건에 대한 터널 천단침하 및 쇼크리트 응력, 중앙기둥 작용하중 등을 중점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좌우 터널 이격거리, 지반조건, 토피고에 따른 2-Arch 터널의 거동 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숏크리트 라이닝 응력 및 중앙 기둥 작용하중은 후행터널 시공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터널관통지층이 취약할 경우 후행터널이 선행터널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거리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해석 결과를 토대로 2-Arch 터널의 시공중 변위 및 숏크리트 라이닝 응력 변화 경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고성토 보강토옹벽의 거동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Behavior of High-Raised Reinforced Soil Wall)

  • 조삼덕;이광우;이훈연;장기수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35-42
    • /
    • 2006
  • 최대 높이가 29.5m인 고성토 보강토옹벽에 대한 시공 및 계측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이 높은 보강토옹벽에 대한 설계 및 시공 경험이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본 현장에서는 철저한 설계 및 시공관리가 이루어졌다. FHWA 설계기준에 근거하여 본 현장 보강토옹벽의 내적 및 외적안정을 검토하였고, Bishop의 간편법을 이용하여 전반활동에 대한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공관리 및 안정성 검토를 위한 일련의 현장계측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높이가 20m 이상이고, 2단으로 시공된 대표단면 2개소에 대한 계측결과를 분석하였다. 계측결과, 벽체 및 보강재의 변형이 매우 작게 측정되었으며, 벽체작용 수평토압 또한 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높이가 20m이상으로 매우 높은 옹벽구조물에 있어서, 보강토옹벽공법이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시공관리가 잘 이루어질 경우 이같이 높은 보강토옹벽에 대하여 FHWA 설계기준이 매우 보수적인 안전측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시공과정 및 현장계측을 고려한 NATM 터널의 수치해석적 연구 (A Study on the Numerical Analysis of A NATM Tunnel with Consideration of Construction Procedure and Field Measurement)

  • 박춘식;강만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1호
    • /
    • pp.28-38
    • /
    • 2010
  • 본 연구는 NATM 터널의 천단변위, 내공변위, 숏크리트 응력, 록볼트 축력 등의 현장 계측치를 분석하고, 2D 3D 연속체 수치해석 및 2D 불연속체 불연속면 변형 해석을 실시,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여 각 구간의 시공과정에 따른 전반적인 변위와 거동의 경향성 및 수치해석적 접근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단면 굴착 구간(지보패턴 P1~P3)에서 터널의 천단 및 내공변위를 예측하고자 할 시에는 2D 연속체 수치해석만으로도 가능하나, 상 하 반단면 구간(지보패턴 P4~P6)에서 터널의 천단 및 내공변위를 예측하고자 할 시에는 반드시 2D 불연속 수치해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한편, 2D 연속체 수치해석만으로도 전 구간에 대한 터널 내 숏크리트 응력 및 록볼트 축력의 예측이 가능하다. 그리고 시공 단계에 따른 거동 및 경향성을 확인하고자 할 시에는 3D 연속체 수치해석을 수행하여야 하며, 대형 대피소 등의 접속부의 경우도 반드시 3D 연속체 수치해석을 수행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