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표현 및 관계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 Integr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ship Operators for Spatiotemporal Data (시공간 데이터를 위한 공간 및 시간 관계 연산자의 통합)

  • Lee, Jong-Yeon;Ryu, Geun-H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6 no.1
    • /
    • pp.21-31
    • /
    • 1999
  • In this paper we study on an interface connection between spatial operators and temporal operators to support the unified operations for spationtemporal data. The integration development of the spatiotemporal operations will be defined as a common use of spatiotemporal relationship operators by spatiotemporal referencing macros. additionally we propose an integration algorithm of a history operator and temporal relationship operators. Then the proposed system will be implemented on the commercial GIS software and evaluated by examples of spatiotemporal query expressions. Here, our integr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operators will provide spatiotemporal query expressions with a useful framework.

  • PDF

Hydrological Analysis of Lateral Inflow (측방유입의 수문학적 해석)

  • Kim, Hayoung;Park, Changyeol;Yoo, Chulsa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0-200
    • /
    • 2011
  • 실제 유역에서 지류유입량(tributary inflow)의 형태로든 사면류의 형태로든 측방유입은 반드시 존재한다. 측방유입이 하도의 지배적인 흐름이 되는 경우 이는 유출수문곡선의 종거값과 형태를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측방유입의 형태를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과 같은 수문학적 특성으로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전체 유역 내에서 측방유입의 지체효과 및 저류효과를 파악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측방유입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Saint-Venant 방정식을 근간으로 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Muskingum 하도추적모형 또는 Muskingum-Cunge 하도추적 모형을 확장한 연구가 나머지 부분을 차지한다(Hayami, 1951; Dooge et al. 1982). 지금까지 수행된 대다수의 연구들은 수치해석적으로 측방유입의 유출량을 모의하거나 혹인 관측값이 존재하는 경우 역으로 측방유입의 특성을 유추한 것들로 다소 복잡하고, 관측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역의 물리적인 특성과 주하도의 특성만을 이용하여 측방유입의 특성을 대략적으로 유추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전체유역과 각 소유역의 관계는 전체유역의 물리적인 특성과 주하도의 수문학적 특성만으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유역분할 시 각 소유역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전체유역의 유출량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uskingum 하도추적모형을 재해석한 순간단위도를 이용하여 측방유입의 수문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격자형태의 사각형과 삼각형 유역을 임의로 가정하였으며, 각각의 유역에서의 순간단위도를 선형하천모형과 선형저수지모형의 합으로 유도하였다. 이때 저류상수는 하도길이와 비례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사각형과 삼각형 유역에서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을 유도하였다. 특히 유역 출구에서 최원점에 위치한 격자에서 유출이 발생시간을 집중시간으로 가정하였으며, 이 시점에서의 종거값과 기울기를 이용하여 저류상수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선형하천과 선형저수지모형 각각은 집중시간과 저류상수로 특징지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결정된 측방유입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이 적절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대유역에서 유역분할의 효과뿐만 아니라 홍수량 할당문제를 입증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sign of a spatiotemporal object model for 2D geographic objects (2차원 지리 객체를 위한 시공간 객체 모델 설계)

  • Lee, Hyeon-Ah;Nam, Kwang-Woo;Ryu, Keun-H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9D no.1
    • /
    • pp.43-56
    • /
    • 2002
  • Most of works have been performed on representation of spatiotemporal objects from various points of view. Most of them represent spatiotemporal objects using approaches from GIS, temporal databases, object-oriented databases or data type. Spatiotemporal objects can be classified as objects whose position and shape changes discretely over time, objects whose position changes continuously and objects whose shape changes continuously as well as position. Previous works on spatiotemporal model have focused on only one of th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atiotemporal model that can represent three types of objects in Euclidean plan. For this purpose, we represent both discrete and continuous moving objects by defining temporal model extended from valid time and by defining relationship between two consecutive versions of objects. The proposed spatiotemporal object model is based on open GIS specification so that it has compatibility with existing spatial data model.

New delay-dependent stability criterion for uncertain time-delayed systems (불확정성 시간지연 선형시스템에 대한 시간지연 종속 안정화 조건)

  • Yi, Yearn-Gui;Bae, Jin-Ho;Kim, Jin-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1751-1752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불확적성을 지닌 시간지연 선형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안정화 조건을 유도한다. 기존의 안정화 조건보다 향상된 안정화 조건은 이전의 Lyapunov-Krasovskii 후보 함수를 보다 일반화 한 새로운 Lyapunov-Krasovskii 후보 함수와 LMI 변수들간의 관계성을 표현해주는 자유행렬 변수의 개념을 이용한 개선된 형태의 벡터-행렬 등식에 의하여 유도되어진다. 새로운 안정화 조건은 LMI 형태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제시된 안정화 조건의 유용성을 쉽게 검증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어진 예제를 통한 기존의 결과들과의 비교를 통해 이전의 결과들보다 보다 더 큰 시간지연 값 및 불확정량에 대하여도 안정성을 보장해 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Facial Region Detection Using the Multivariable Histogram Technique (다변수 히스토그램 기법을 이용한 얼굴 영역 추출)

  • 황선철;김준영;김우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574-576
    • /
    • 2000
  • 디지털 영상 처리에서 사람 얼굴 인식은 여러 응용 분야에 요구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이 있는 칼라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기술한다. 영상에 있는 얼굴 및 복잡한 배경과 다른 구성 성분들을 분류시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변수 히스토그램 기법을 이용하여 얼굴 후보 영역과 머리 후보영역을 추출하고, 머리와 얼굴 후보 영역들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최종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인터넷상에 있는 128개의 영상을 입력 데이터로 실험한 결과, 인식 시간이 빠르고 영상의 배경에도 강건한(robust)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Impact of Watching Motives of Parenting Reality TV Program on User Satisfaction and Rewatching (육아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동기가 이용자 만족과 재시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아빠! 어디가?>,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 Kim, Dong-Woo;Lee, Yeong-Ju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9 no.6
    • /
    • pp.925-933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watching motives of parenting reality TV Program, (MBC), (KBS2) on user satisfaction and rewatching. Viewing motives of parenting reality TV Program are found as 'interest', 'charm of children characters', 'relief of loneliness' and 'express everyday feeling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ching time according to the factor of 'charm of children characters'. Also 'interest' and 'expression of everyday feelings' affect viewing satisfaction of viewers. It is necessary to plan interesting reality program and arrange attractive characters to improve viewing satisfaction of TV progra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Web-based Mulimedia Authoring System (웹기반 멀티미디어 저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박영미;박종운;송한영;신현산;박두영;장종환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3 no.2
    • /
    • pp.243-258
    • /
    • 2002
  • The web-based multimedia development tool was implemented to create and edit multimedia contents under the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 with icons. The development process enables the developers to verify the contents being developed by checking for errors, exchanging feedbacks and utilizing the pre-execution feature. By applying the tree structure to the internal data format, the tool uses inherent display features among media objects with time and spatial relations to efficiently process the synchronism of media objects that participate in the presentation and asynchronism according to user interaction.

  • PDF

한국어 부사어의 분류와 분포 제약

  • 채희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1.06a
    • /
    • pp.95-96
    • /
    • 2001
  • 문장에서 술어를 수식하는 대표적인 표현은 부사어이다. 부사어는 일반적으로 문장 구성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지 않는 첨가어(adjuncts)이기 때문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보충어(complements)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이루어진 분야이다. 그렇지만 부사어는 피수식어의 의미를 구체화/한정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어순, 호응(concord)등의 통사적 현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이러한 부사어를 통사적, 의미적 기준에 의해 정확하게 분류하고 그들의 분포제약을 밝히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부사어와 관련된 통사 현상으로, 부사어와 피수식어의 공 기(co-occurrence)관계 및 부사어와 술어 어미의 호응 관계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려고 한다. 부사어는 통사적인 기준과 의미적인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손남익 1995, 김경훈 1996, 임유종 1998). 통사적 기준으로는 단어나 구를 수식하는 성분부사와 문장을 수식하는 문장 부사로 나누는 방법과 위치에 대한 제약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제약부사와 자유부사로 나 누는 방법이 있다. 이 두 통사론적 기준에 의해 분류되는 부사들은 서로 어떤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장부사는 문두에 놓여야 한다는 위치적 제 약 이 있기 때문에 제약부사로 분류된다. 의미적 기준으로 부사어를 분류할 수도 있는데, 시간/ 공간 부사어, 양태/정도 부사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의미적 기준에 의해 분류된 부사어는 통사적 기준에 의해 분류된 것들과는 어떤 상호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일 반적으로 시간부사와 장소부사는 자유부사에 속하며 양태부사와 정도부사는 제약부사에 속 한다. 부사어와 피수식 요소와의 통사적 공기 관계 및 의미적 관계 그리고 그와 관련된 문 법 현상도 연구의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 부사들이지만 “*순이는 빨리 과연 달린다”에서 볼 수 있는 종류의 분포적 특성을 알아 볼것이다 (심재기 1982, 송 철의 1989). 또한 “길이/*길게 빛나다”와 “*길이/길게 드리워졌다”와 같은 대조에서 나타나는 통사, 의미적 기능의 상관 관계 및 제약들의 상호 작용도 살펴 볼 것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Authoring System using Temporal/Spatial Synchronization Manager (시공간 동기화 관리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저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Yeu, In-Kook;Hwang, Dae-Hoo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4 no.11
    • /
    • pp.2679-2689
    • /
    • 1997
  • In this paper, a multimedia authoring system using temporal/spatial synchronization manager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support easy and efficient generation of multimedia title. For this goal, a flowchart-oriented logic generator which represents a title author's design intent into a practical title composition logic without extra translation process, and a logic interpreter which translate and implement the generated title logic, are designed. Furthermore, a temporal/spatial synchronization manager which manages temporal/spatial synchronization information between media data for multimedia representation, is designed. Especially, a temporal specification model and MRL, a formal language for the model, are designed to synchronize the temporal relation between media objects. The MRL represents a complex temporal relation by simple and clear form, and synchronizes efficiently multimedia re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author's intent. A presentation frame editor which makes coincidence between visible size of representation media and attachment point, is implemented for spatial synchronization.

  • PDF

A Study on the Self-identity and Satisfaction through Avatar Expression Process (아바타 표현과정 속 자기동일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Yeu, Ye Kang;Shin, Choon Sung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6
    • /
    • pp.18-29
    • /
    • 2022
  • This study proposes an evaluation item model for the avatar expression process, satisfaction and self-identification for each expression ele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ttributes on the influence on the user in setting the avatar. The evaluation of avatar expression method was composed of self-identification and satisfaction by ease of expression and expression elements on the avatar production and expression process. To evaluate the proposed evaluation model, 17 peopl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more diverse the expression element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avatar expression process. Hair shape and face shape were the most important expression factors, and clothes and overall harmony was the most concerned facotrs. Most of them tried to express themselves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However, in self-identific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and production process. In this study identify the decision-making factors that appear in the avatar expression process, the direction in which satisfaction can be formed, and the factors that affect self-identification. In addition, it will be a basic study on how avatars have a lasting influence on user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