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각 되먹임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6초

동작관찰과 시각적 되먹임 융합 운동이 머리전방자세와 둥근어깨의 정렬,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Action Observation and Visual Feedback Convergence Exercise on the Alignment, Pain and Function of Forward Head Posture and Round Shoulder Posture)

  • 강효정;양회송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23-128
    • /
    • 2018
  • 본 연구는 머리전방자세와 둥근어깨자세에 대한 일반 운동과 동작관찰, 시각적 되먹임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머리전방자세와 둥근어깨자세를 가진 24명으로 하였으며, 일반 운동군(8명), 동작관찰군(8명), 시각적 되먹임군(8명)으로 무작위 배분하였다. 모든 운동군은 주 3회, 총 4주간 운동하였다. 운동 전 후 머리척추각(CVA), 둥근어깨자세(RSP), 시각적 상사척도(VAS), 경부장애지수(NDI)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CVA는 일반 운동군과 동작관찰군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 RSP, VAS, NDI의 경우 모든 운동군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운동군 간 변화량 비교에서는 VAS에서 동작관찰군이 일반 운동군과 시각적 되먹임군보다 큰 변화량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동작관찰이 머리전방자세와 둥근어깨자세의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ual Feedback Treadmill Gait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 Force Plate Measurement System on Gait 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 이동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63-373
    • /
    • 2020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엔터테인먼트요소가 가미된 가상현실과 시각적 되먹임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보행능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 10명을 선정하여,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보행훈련을 일일 30분씩, 주5회, 5주간 총 25회 실시하였다. 이러한 보행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관절가동범위검사, 근활성도 검사, 버그 균형 척도(BBS), 보행분석, 삶의 질(SS-QOL) 평가를 중재 전·후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행 흔듦기 시기에 마비측 관절가동범위와 근활성도, 동적균형능력, 보행능력, 삶의 질이 중재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보행훈련이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의 발처짐, 근활성도, 동적 균형 및 보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한 삶의 질도 개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 향상과 삶의 질 개선을 통한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해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보행훈련 프로그램 적용을 권장한다.

발목관절의 시각되먹임 운동 이후 기능적 전기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Ankle Join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fter Visual feed-back Ankle training to Improve on Balance, Gait ability in Patient with Chronic Stroke)

  • 김동훈;김경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53-26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되먹임 발목관절 운동 이후 기능적전기자극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선정기준에 따라 만성 뇌졸중 환자를 22명을 대상으로 두 군으로 실시하였다. VFAF군은 시각되먹임 발목관절운동 이후 기능적전기자극치료(n=11), CON군(n=11)은 보존적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 훈련은 1일 60분, 1주 5번, 총 8주간 시행하였다. 중재 전·후에 균형과 보행능력을 검사하였다. 훈련결과 VFAF군이 COP, LOS, BBS, FRT, 10m WT에서 CON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시각적 되먹임 발목관절 운동 이후 기능적전기자극치료의 융합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로 임상에서 활용 될 수 있으며, 향후 졸중 환자를 위한 융합중재개발이 요구된다.

편마비 환자의 균형 증진을 위한 시각적 되먹임 운동 (3D Visual Feedback Exercise on Hemiplegia Patients for the Balance Ability)

  • 노효련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68-71
    • /
    • 2012
  • 이 연구는 시각적 되먹임을 이용한 3차원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1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3D 시각적 운동을 이용한 균형 훈련을 실시하였고, 11명은 고전적인 균형훈련을 실시하였다. 운동은 주5회 6주 동안 이루어졌다. Berg Balance 척도를 통해 균형정도를 측정하였다. 3D 시각적 운동을 이용한 그룹에서 균형 정도가 더 많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3D 시각적 운동은 뇌졸중환자의 균형훈련에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12주 동안의 시각 되먹임 균형 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2-week balance training with visual feedback on balance and walking funct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정명균;오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537-544
    • /
    • 2013
  • 본 연구는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대한 12주간의 시각 되먹임 균형 훈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총 20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10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근력, 자세조절 그리고 기능적 훈련을 포함한 보존적 물리치료와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균형훈련을 각각 15분씩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30분안 보존적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대한 측정은 기능적 도달 검사(Function Reach Test, FRT), 일어서서 걷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T), 6분 걷기 검사(6 Min Walk Test, 6MWT) 사용하여 시행되었다.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군은 모든 변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대조군은 모든 변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집단 간 비교에서 있어서는 FRT와 6MWT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 되먹임을 사용한 균형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향상을 위해 긍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자들을 포함시킨 장기간의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할 것이다.

파킨슨병 환자의 Handwriting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학습 전략에 대한 문헌 고찰 (A Review of the motor learning stratige to improve handwriting 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 유연환;박진혁;이주현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29-38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handwriting에서의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운동학습 전략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 이를 위하여 파킨슨병 환자에게 발생하는 handwriting에서의 문제점인 소자증(Micrographia)을 치료한 국내 외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결과 : 소자증을 개선하기 위해 파킨슨병 환자에 적용하는 운동학습 방법 중 외적단서와 되먹임 전략을 주로 적용한다. 이는 기저핵 손상으로 인한 내적 동기체계의 문제와 운동 개시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외적단서는 시각적 청각적 언어적 단서 등을 이용하였고, 되먹임은 주로 시각적 자극을 이용하였다. 외적단서와 시각적 되먹임을 제시하는 동안 소자증을 가진 환자의 글자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일부 연구에서는 단서 제거 후 짧은 기간 동안 쓰기과제 수행이 유지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결론 : 앞으로 운동학습의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는 전략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각되먹임 균형훈련이 낙상을 경험한 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on Balance in Elderly Fallers)

  • 이선우;이경진;송창호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2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on the postural balance of elderly faller. Methods: Fifty on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6-88 years) with a recent history of fall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to an experimental group (EG, n=25) and to a control group (CG, n=26). The EG participated in training sessions three times/week for 6 weeks.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with the a computerized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screen was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tatic balance (center of gravity) and dynamic balance (Functional reach test, Timed "Up & Go" test, Berg balance scale)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end of training. Result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were demonstrated within the EG (p<.05), but not in the CG. Conclusion: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postural balance of elderly fallers.

요추 관절가동범위와 신체압력중심을 이용한 신체균형능력 분석 및 훈련 콘텐츠 (Analysis and Training Contents of Body Balance Ability using Range of Motion of Lumbar Spine and Center of Body Pressure)

  • 구세진;김동연;신성욱;정성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9-28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신체의 움직임 정보와 족압 분포의 변화를 측정하여 신체 균형 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관성측정장치와 FSR 센서를 사용하여 관절가동범위와 신체압력중심을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균형 능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 측정된 관절가동범위와 신체압력중심의 정량적인 값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결과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콘텐츠는 측정된 균형정보를 바탕으로 난이도가 조절되며 균형능력을 개선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춰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이것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는 물체를 보면서 진행하는 시각 되먹임 방법을 이용하여 집중력과 참여의지를 높여 더욱 효과적인 균형 훈련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코어강화를 동반한 시각적 되먹임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협응력,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of Core Strength on Coordinati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of Stroke Patients)

  • 윤삼원;손호희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45-153
    • /
    • 2020
  • PURPOSE: This study compares the effects of HUBER rehabilitation and general rehabilitation treatment on the coordinati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of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enrolled 38 randomized stroke patients, and data was collected for 6 weeks. All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 = 19) or control group (n = 19).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dministered Huber rehabilitation and gene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he control group was given only general rehabilitation treatment. Both treatments were conducted for 30 minutes during each training session, 3 training sessions per week, for 6 weeks. The coordinati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o compare the intergroup and intragroup changes. RESULTS: Change in the right LOS (limit of stability) (p < .001) and forward LOS (p < .02) following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left LOS (p > .1) and backward LOS (p > .2). Alterations in coordination (p < .02) and TUG (p <. 05) were significantly greater after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UBER rehabilit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ordinati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stroke patients. To strengthen and valid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studies related to HUBER rehabilitation are required.

거울을 이용한 시각적 되먹임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a Mirror on the Balance in Hemiplegic Patients)

  • 지상구;남기원;김명권;차현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3-16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mirror and the training without mirror on the balance in people with hemiplegic paralysis. Methods: A total of 26 strok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2 groups : visual feedback training group(n=13) and control group(n=13). Both groups received PNF(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for 5 times(each 30 minutes) per week over 6 weeks period. The group, which is enrolled in visual feed back training, performed additional exercise in front of mirror for 30 minute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same exercise without mirror.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visual feedback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foot pressure and total pressu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and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swa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Also, visual feedback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 the Berg Balance Scale(BBS), Timed Up and Go test(TU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perceived benefits of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mirror to augment the balance of stroke patients. Therefore,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mirror is feasible and suitable for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