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습지이용

검색결과 827건 처리시간 0.031초

생태적 인공습지를 이용한 회야댐 수질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Hoeya Dam Reservoir Using Ecological Constructed Wetland)

  • 이상현;조윤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89-49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습지를 이용하여 회야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제어함으로써 수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인공습지에 부들과 갈대를 식생하여 부영양화 유발물질인 질소(N)와 인(P)의 제거효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인공습지 운영에 있어 계절적 및 수리하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공습지에 의한 총 N와 P의 제거율은 평균적으로 20.7%와 42.7%로 나타났으며 계절적으로는 식생식물의 성장기(6월~7월)와 개화기(9월~11월)에 높은 제거 효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인공습지는 회야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인 N와 P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대안으로 판단된다.

그래프이론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습지네트워크 구축모델 개발 (Development for Wetland Network Model in Nakdong Basin using a Graph Theory)

  • 노백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97-406
    • /
    • 2013
  • 습지보전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식생의 온전성, 멸종위기종 출현여부 등 대상지역 위주의 습지평가방법에서 점차 주변지역이나 광역적인 위상관계, 연결성을 고려한 경관생태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습지평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에 분포하는 407개 습지를 대상으로 경관생태학적 접근방법과 그래프이론에 의해 습지생태네트워크 구축모형을 제시하였다. 습지의 물질순환, 철새이동루트 등 현지조사 자료가 부족한 낙동강 유역의 네트워크 분석에는 평면네트워크 그래프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연결성 분석은 임계거리를 15km로 설정하여 습지군집 5개와 핵심습지 4개를 도출하였다. 이진모형과 확률모형에 의한 통합연결성지수와 연결가능성지수를 계산한 결과, 5개 습지군집 및 핵심습지와 취약습지를 검증할 수 있었으며, 낙동강본류와 금호강지류에 위치한 습지군집이 습지생태네트워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낙동강 유역의 습지군집과 네트워크, 취약습지 분포특성은 유역 단위의 습지보전 관리계획 수립, 습지복원사업을 실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신불산 고산 습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Management Program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Wetlands located at Sinbul Mountain)

  • 이기철;남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신불산 고산 습지의 식물상 생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습지 생태계 관리와 : 현명한 이용방안을 수립하였다. 총 167종의 식물이 동정되었으며, 그 중 고산 습지식물인 진퍼리새가 우점종으로 규명되었고, 한국특산종인 개족도리, 감소추세종인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등이 분포하고 있어 보존의 가치가 높다. 신불산 고산습지 습지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국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 습지 보호를 위한 감시 및 단속활동,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현명한 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HGM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기능평가 연구 (Functional Assessment of Yongdam Dam-wetland by HGM)

  • 김덕길;신한규;김재근;김형수;유병국;안경수;장석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65-675
    • /
    • 2011
  • 댐 상류지역 및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는 댐의 수질개선, 동식물의 서식처 확보 등과 같은 생태보전 및 경관 제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이 지니고 있는 습지의 역할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문지형학적 방법인 HGM을 이용하여 댐습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용담댐의 기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적인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댐습지와 자연습지를 비교했을 때, 댐습지가 자연습지의 약 6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댐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의 관리와 보전이 잘 이루어진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연구(2) - CE를 이용한 가치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and Functions of Dam-wetland(2) - Assessment of Value by CE : Focussing on Boryeong Dam -)

  • 김덕길;유병국;김재근;신한규;김형수;박두호;안재현;안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3-143
    • /
    • 2009
  • 최근들어,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습지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습지의 가치평가는 자연습지에 대해서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댐도 습지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이를 댐습지라 정의하고 댐습지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 기법으로는 선택실험법(CE)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지역은 보령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6대광역시와 보령시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는 Conditional Logit(CL) 모형과 Random Parameter Logic(RPL)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령댐습지를 주변습지지역만 고려했을 경우, 총 가치는 약 728억원으로 나타났다.

  • PDF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가치평가 연구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of Yongdam Dam-wetland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김덕길;유병국;김재근;신한규;김형수;안경수;장석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7-158
    • /
    • 2012
  • 최근 들어,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습지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습지의 가치평가는 자연습지에 대해서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댐도 습지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이를 댐습지라 정의하고 댐습지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 기법으로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지역은 용담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6대광역시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습지생태공원 시나리오에 대한 용담댐습지의 총 가치는 약 420억원으로 나타났다.

습지목록의 개발, 가치 및 활용방안 (Development, value and use of wetland inventory)

  • 이기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03-315
    • /
    • 2012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 일대 습지의 생태계 특성과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습지목록을 제작하였다. 목록의 기초자료로 Landsat TM(1986년 4월 1일, 1987년 6월 23일, 1997년 6월 18일), Kompsat-2 (2008년 1월 12일) 인공위성 이미지, 항공 LiDAR (2009년 3월 1일) 자료와, 부산시에서 조사한 생물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DB를 구축하였다. 습지목록의 활용방안으로, 시계열별 습지분류도 제작 및 시공간 분석, 경관 패턴 분석, 저서생물 분포 특성 등을 파악해 습지 생태계 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3차원으로 제작된 습지지도는 습지의 경계설정과 습지의 동적 특성분석에 도움을 주어 이러한 기법들을 잘 활용한다면 우리나라 전역의 습지목록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HGM을 이용한 화포천 습지의 기능평가 (Assessment of Hwapo riverine wetland function using Hydrogeomorphic Approach)

  • 윤선화;김덕길;김형수;곽재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53-60
    • /
    • 2010
  • 습지는 종 다양성이 높고 영양물질이 풍부하며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로서 수문학적으로나 생태학적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습지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는 다양한 평가 방법중 하나인 HGM (Hydrogeomorphic)을 적용하여 화포습지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하였다. HGM방법은 하나의 기준습지를 선정한 후 대상습지와의 비교를 통해 습지의 기능을 지수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우포늪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화포천 습지의 기능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우포늪과 비교하여 비교적 긍정적인 기능지수의 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화포천 습지가 수문학적, 생지화학적, 식물서식처, 동물서식처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보전 및 관리를 한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침수분석을 통한 습지 서식환경분석 (A Study on Inhabiting Environment of Wetland using Inundation Analysis)

  • 김정욱;정재원;최영주;김형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221-222
    • /
    • 2016
  • 습지는 생태자원의 보고로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를 제공하며, 습지 생태계는 어느 생태계보다 생산성이 높다. 습지는 잦은 수위변동으로 인해 습지의 식물은 수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식물종의 특징과 최적의 생육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위에 따른 식물의 서식환경을 분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생태계가 잘 발달되어 있는 남한강의 비내섬 습지에 대해 유황분석을 하였고 유황에 따른 유량을 모의하였다. 모의된 유량과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유황별 홍수위를 산정하였으며, RAS Mapper를 이용하여 침수심과 침수구역을 모의하였다. 이를 통해 침수심에 영향을 많이 받는 식물의 서식환경을 분석하였다. 버드나무군락은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 및 0~0.8m의 침수심, 물억새군락은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 및 0~0.4m의 침수심, 쑥-망초군락과 달뿌리풀군락은 0~0.4m의 침수심, 그리고 환삼덩굴군락은 0~0.8m의 침수심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황에 따른 침수심에 대한 식생서식환경을 분석한 것으로 식생을 고려한 인공습지 조성이나 하천설계에 있어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비정수식물의 인공습지도입을 위한 자연습지토양 발아실험 (Germination Experiments using Natural Wetland Soil for Introducing Non-emergent Plants into a Constructed Wetland)

  • 이용민;강대식;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48
    • /
    • 2009
  • 습지식물은 습지의 일차생산자로서 습지 내의 다른 생물뿐만 아니라 습지토양, 수문 등과 같은 무생물 환경요인과 다양한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습지의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습지식생은 습지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습지를 조성할 때 식물도입방법으로 다양한 습지식물의 씨앗을 함유한 자연습지토양의 활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습지 mesocosm을 제작한 다음 수심과 자연습지토양 함유량에 따른 수생식물의 출현종과 성장 정도를 조사하였다. 자연습지토양의 발아실험에서 7종의 습지식물이 출현하였는데, 이 가운데 5종은 토양 채취지점인 서낙동강의 식물종과 일치하였으나 2종은 발아실험에서 새롭게 출현하였다. 수심에 따른 출현 식물 개체수는 침수 조건에서 15개체가 출현하여 2개체만 출현한 습윤조건에 비해 훨씬 더 많은 개체가 출현하였다. 자연습지토양의 혼합비율에 따른 출현 개체수는 자연습지토양이 100%일 때 개체수가 가장 많았으며, 자연습지토양의 비율이 50%, 75%, 25%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습지실험조에서 출현한 검정말과 붕어마름의 성장 정도를 살펴보면, 검정말은 자연습지토양의 비율이 50%인 조건에서 가장 활발히 성장하였으며 붕어마름은 100% 자연습지토양에서 가장 좋은 성장을 보였다. 자연습지토양 함유량에 따른 식물성장실험결과 자연습지토양의 혼합비율이 50%인 조건에서도 식물의 성장이 원활하여 자연습지토양과 인공습지 조성지역토양을 1:1로 혼합하여도 인공습지에서 식물의 안정된 활착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