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포츠센터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초

전통놀이 참여자들의 재미요인이 재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도전정신의 조절효과 검증 (The effect of fun factors on re-particitation intention to traditional play: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challenge spirit)

  • 오영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33-142
    • /
    • 2022
  • 본 연구는 전통놀이 참여자들의 재미요인과 재참여의사 간의 관계에서 도전정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21년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개최한 전통놀이 한마당 대회 참여자 164명이다. 이들은 재미요인, 도전정신, 재참여의사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측정지를 분석하기 위해 SPSS18.0, PROCESS Macro(V.2.13), Interaction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도모와 도전정신의 상호작용은 높은, 중간수준에서 재참여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성 함양과 도전정신의 상호작용은 재참여 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감 경험과 도전정신의 상호작용은 높은, 중간수준에서 재참여 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D 프린터로 제작된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가동술(IASTM) 적용방법에 따른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Muscular Activity in Method with the Application of 3D Printer Maded Instrument Assistant Soft Tissue Mobilization(IASTM) Tools)

  • 태원규;강종호;박태성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77-182
    • /
    • 2022
  • 본 연구는 3D 프린터로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근육의 주행방향에 대해 강찰법 방향의 차이로 인한 근활성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자는 건강한 20대 성인 20명으로 진행하였고, IASTM을 근육 주행방향의 수직 강찰법 중재(수직군)와 근육 주행방향의 수평 강찰법 중재(수평군)를 적용하였으며 대상자를 각 10명씩 배치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중재 전과 후의 근활성도를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측정,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평군에서 근활성도가 감소하였으나 수직군에서 근활성도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IASTM의 적용에 방향성의 차이가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고시인성 안전의복의 착용 현황 분석 및 시인성 평가를 통한 착용 의무화 제안 (A Proposal for Workers to Mandatorily Wear High-visibility Safety Clothing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Evaluation of Its Visibility)

  • 강인형;최병호;오철;육지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1-478
    • /
    • 2022
  • In roadside workplace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afety of workers. The roadside workers underestimate the effect of the brightness of their clothes and judge that drivers will recognize them easily, and the drivers misjudge that the roadside workers are far away and that the vehicle can be stopped in sufficient time. Therefore, customized safety education reflecting this and wearing work clothes with certified visibility functions are required. In Korea, it is not compulsory for roadside workers and vehicle guide attendants to wear work clothes with a visibility function. In this study, the distance ahead perceived by drivers was measured using manikins wearing certified and non-certified reflective safety vests. The perception distance of the non-certified reflective safety vest was 1.4 times longer than that of the certified reflective safety vest, thus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wearing a certified reflective safety vest. To prevent roadside workers from suffering traffic accidents, we propose the enactment of a law that makes it mandatory for them to wear high-visibility safety clothing. Specifically, Article 32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 of the Road Traffic Act should include high-visibility safety clothing in life protection equipment, and additionally, to prevent secondary accidents, we propose the enactment of a law requiring the installation and wearing of certified reflective safety vests in vehicles.

편측 무릎인공관절수술 후 초기 재활과정에서 다리 에르고미터 적용 시 양다리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of Both Lower Extremities When a Lower Extremity Cycle Ergometer is Applied During Initial Rehabilitation After Un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 최은지;이상열;석힘;윤성영;허재석;이승훈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2호
    • /
    • pp.179-187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ymmetrical difference between the use of leg muscles on the surgical and non-surgical sides during initial lower extremity ergometer exercise after unilateral knee arthroplasty. Methods: Twelve elderly patients diagnosed with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and who underwent unilateral arthroplast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leg length of each subject was taken into account when setting the application distance of the lower extremity ergometer. The same pedal resistance, strength, and speed were used for all the subjects. The total angle of use of the ergometer (360°)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n extension section and a flexion section. Using a surface electromyography system, the activities of the muscles of the surgical and non-surgical sides were converted into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and analyzed using the paired t-test. Results: When the activities of the muscles on the surgical and non-surgical side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lexion and extension sections (p < .05), and that the tibialis anterior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flexion section (p < .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sion section of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or in the flexion and extension sections of the gastrocnemius (p >.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rectus femoris, tibialis anterior, biceps femoris, and gastrocnemius on the surgical side act in an opposite manner to those on the non-surgical side during pedaling in the same section.

푸시업과 무릎 푸시업, 벽 푸시업 운동시 어깨안정근 활성도의 비교 (Comparison of Scapular Stabilizer Muscles Activity among Push-Up, Knee Push-Up and Wall push-Up)

  • 김용권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23-131
    • /
    • 2023
  • 이 연구는 일반 푸시업과 무릎 푸시업, 벽 푸시업 운동시 어깨 안정근의 활성도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어깨관절에 통증이 없고 푸시업 운동을 하지 않은 대학생 남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어깨 안정근의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위등세모근, 아래등세모근, 중간등세모근, 앞톱니근, 앞세모근, 뒤세모근, 큰가슴근, 가시아래근에 부착하였다. 일반 푸시다운은 무릎 푸시다운과 벽 푸시다운 보다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푸시업 동작에서는 앞톱니근과 가시아래근이 다른 어깨안정근에 비해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더 컸으며, 일반 푸시업 동작이 무릎 푸시업과 벽 푸시업 보다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UT/LT 비율에서는 무릎 푸시다운이 벽 푸시다운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UT/SA 비율은 푸시다운과 푸시업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푸시업과 푸시다운 동작 시에는 앞톱니근과 앞어깨세모근, 가시아래근이 다른 어깨안정근보다 근활성도가 높고, 일반적인 푸시업 운동이 무릎 푸시업과 벽 푸시업 운동보다 근활성도 측면에서는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푸시다운을 할 경우에는 어깨안정화를 위해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푸시다운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목 안정화 운동이 턱 관절 장애 환자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턱 관절 기능 및 압통역치에 미치는 효과 연구 (Effect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on Temporomandibular Joint Function and Pain Threshold for Life Care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 이은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61-46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 목 안정화 운동이 턱 관절 기능장애과 압통 역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36명의 대상자를 상무목 안정화 운동 그룹과 대조군 두 그룹으로 설정하여 상부 목 안정화 운동은 압력센서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를 총 4주간 주 3회 20분씩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개구범위에 있어서 상부 목 안정화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p<.01, 95% CI: 8.074, 16.899), 우측 치우침에서 상부 목 안정화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1, 95% CI: .826, 3.243). 압통 역치의 변화에서는 관자근(p<.01, 95% CI: .251, 1.382)과 깨물근(p<.01, 95% CI: .462, 1.826) 모두 상부 목 안정화군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턱 관절 기능장애 환자에게 상부 목안정화 운동이 턱 관절 장애에 효과적이었다. 턱 관절 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더욱더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턱 관절 장애로 인한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스마트 피트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Fitness Models for Active Senior)

  • 강승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5-140
    • /
    • 2022
  • 본 연구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기술을 활용한 운동 사례와 이슈를 분석하고 기존의 실버세대와 달리 높은 활동력과 경제력을 지닌 액티브시니어의 웰니스 라이프에 적합한 향후 스마트 운동 환경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피트니스 산업에서도 필요한 운동도구나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 등을 정기적으로 받아보거나 이용하는 구독경제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며, 하드웨어 판매와 콘텐츠 구독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액티브시니어에게 건강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서의 가치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피트니스센터 뿐만 아니라 홈트레이닝 운동기구, 피트니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확장된 토털 플랫폼으로서의 모습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개인별 건강상태에 알맞은 운동프로그램을 제안 받고 선택하여 운동 전, 후, 운동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에 실시간 변화를 주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능 연동이 스마트 피트니스 모델의 차별적 요소이다.

막걸리박 열수추출물이 db/db mouse에서 혈당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Turbid Rice Wine (Takju) Lees Extract on Blood Glucose in the db/db Mouse)

  • 이현숙;홍경희;윤철호;김재민;김순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9-223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akju lees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s in the db/db mice (a murine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We fed 40 male db/db mice a control diet (G0, AIN93G) an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1% (G1), 2% (G2), or 4% (G4) Takju lees extract for 4 weeks. We found no difference in foo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among the animal groups. In the G1 and G2 groups, plasma glucose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Days 10 and 21 compared with the G0 group. However, we found no difference in plasma glucose levels between groups G4 and G0. The change in insulin concentrations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se animal groups, and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lucose transporter 4 (GLUT4) expression in the soleus musc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akju lees extract has a beneficial effect in animals with type 2 diabetes.

막걸리 박 열수추출물의 혈당지수 및 제2형 당뇨 모델 동물에서 경구혈당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Glycemic Index and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f Takju (Korean turbid rice wine) Lees Extract)

  • 이현숙;홍경희;윤철호;조우균;김순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62-665
    • /
    • 2008
  • Takju lees extract is expected to be a promising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the glycemic index (GI) of Takju lees extract and its effects in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The GI for Takju lees extract was evaluated with 10 healthy young adults (Male 5, Female 5). OGTT was conducted in 20 male db/db mice, fed on a diet containing 2% Takju lees extract for 4 weeks. Those animals were subjected to OGTT after one oral administration of Takju lees extract at 2 g/kg BW. The GI of the Takju lees extract was measured at 97.97. The effects of the Takju lees extract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 db/db mice evidenced no difference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akju lees extract is a high GI material, and it has no effect on blood glucose levels in a type II diabetic animal model.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confirm its anti-diabetic effects.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발내재근 훈련과 발배뼈 가동술이 유연성 편평발에 미치는 효과 (Impact of Intrinsinc Foot Muscle Training and Navicular Mobilization on Flexible Flatfeet to Improve Life-care)

  • 이은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95-201
    • /
    • 2019
  • 본연구의 목적은 발내재근 훈련과 새로운 접근 방법인 발배뼈 가동술 중 유연성 편평발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32명의 대상자를 발내재근 훈련과 발배뼈 가동술군 두 그룹으로 설정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발배뼈 높이 검사에서 두군 모두 유의한 샹항을 보였고(p<.01), 발내재근 훈련군이 발배뼈가동술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1, 95% CI: .768-4.607). 족저압 압력분포의 변화에서도 두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1), 발내재근 훈련군이 발배뼈 가동술보다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1, 95% CI: 3.404-14.90 8). 본 연구결과 유연성 편평발에 발배뼈 가동술보다 발내재근 훈련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편평발을 경험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더욱더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편평발로 인한 2차적인 근골격계 질환 또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