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on Temporomandibular Joint Function and Pain Threshold for Life Care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목 안정화 운동이 턱 관절 장애 환자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턱 관절 기능 및 압통역치에 미치는 효과 연구

  • Lee, Eun-Sang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Gwangju Suwan Hospital Sport Rehabilitation Center)
  • 이은상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광주 수완병원 스포츠 재활센터)
  • Received : 2019.09.18
  • Accepted : 2019.10.28
  • Published : 2019.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upper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and pressure pain threshold. 36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upper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group(UCSEG) and control on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four weeks. The upper cervical stabilization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effect than the control group (p <.01, 95% CI: 8.074, 16.899). (p <.01, 95% CI: .826, 3.243). In the change of pressure pain threshold, the upper cervical stabiliz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the masticatory muscle(p <.01, 95% CI: .251, 1.382) and masticatory muscle(p <.01, 95% CI: .462, 1.826).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upper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was effective that TMD. It will be able to provide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patients suffering from TMD, and to suggest new approaches for TMD pati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 목 안정화 운동이 턱 관절 기능장애과 압통 역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36명의 대상자를 상무목 안정화 운동 그룹과 대조군 두 그룹으로 설정하여 상부 목 안정화 운동은 압력센서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를 총 4주간 주 3회 20분씩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개구범위에 있어서 상부 목 안정화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p<.01, 95% CI: 8.074, 16.899), 우측 치우침에서 상부 목 안정화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1, 95% CI: .826, 3.243). 압통 역치의 변화에서는 관자근(p<.01, 95% CI: .251, 1.382)과 깨물근(p<.01, 95% CI: .462, 1.826) 모두 상부 목 안정화군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턱 관절 기능장애 환자에게 상부 목안정화 운동이 턱 관절 장애에 효과적이었다. 턱 관절 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더욱더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턱 관절 장애로 인한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