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페이서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5초

GIS 스페이서 삼중점 전계 완화를 위한 쉴드링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hield ring Design for Relieved Electric Field Intensity in GIS Spacer Triple Junction)

  • 권구민;이승관;강민철;정경식;김경회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181-118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초고압 가스절연개폐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 내 고체 절연물인 스페이서에서 삼중점의 전계를 완화하기 위한 쉴드링 설계 방법과 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420kV GIS 스페이서를 축대칭 모델로 단순화하여 전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쉴드링 직경에 따른 삼중점 전계세기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쉴드링과 스페이서 계면 사이의 최소 이격거리를 계산하여 쉴드링의 최적 직경을 구하였다. 추가적으로, 새로운 설계 기법인 Double 쉴드링 기법을 소개하고 기존의 쉴드링이 하나인 경우와 비교 분석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영상처리를 이용한 조사후 핵연료 집합체의 결함검출 (A Defect Detection of Irradiated Nuclear Fuel Assembly using Image Processing Technology)

  • 조재완;최영수;정경민;신중철;정승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25-42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4 m 길이의 핵연료 집합체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그리드 외관의 이상 상태를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한다. 원자로 가동 중에는 중성자 조사와 고온 고압 냉각수의 열 유동에 의한 물리적 작용으로 정방 격자구조로 되어 있는 연료봉이 늘어나거나 휘어져 연료봉 틈새 간격이 좁아지고 냉각수의 원활한 유동이 방해를 받게 됨에 따라 연료봉을 지지하는 스페이서 그리드의 변형이 초래될 수 있다. 스페이서 그리드 간격의 변화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스페이서 그리드의 이상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실험 영상으로는 스웨덴 Ahlberg 사의 4면 검사장치에 의해 수행된 경수로형 핵연료 집합체의 검사 동영상을 이용하였다.

  • PDF

개방형 스페이서를 가진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극초단파대 외부잡음 유입 측정 (Measurement of UHF noise penetration into the barrier and bushing of the open barrier type gas-insulated switch gear(GIS))

  • 박기준;임재섭;구선근;윤진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618-1619
    • /
    • 2003
  • 개방형 스페이서(barrier)가 적용된 가스 절연개폐장치(GIS)에 외장형 부분방전(PD) 센서를 적용 하고 센서장착부, 인근 스페이서 또는 부싱으로 유입되는 광대역 잡음신호의 투과율을 10 - 2000 MHz의 극초단파 영역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간단한 금속 차폐체에 의한 잡음신호의 감쇄효과도 측정 하였다. 스페이서 또는 부싱을 통하여 인근센서에 유입되는 잡음의 크기는 차폐시와 대비하여 약 25 dB 증가하였다.

  • PDF

역전기투석 장치 내 스페이서의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for the Effect of Spacer in Reverse Electrodialysis)

  • 신동우;김홍근;김태환;박종수;전동협
    • 청정기술
    • /
    • 제19권1호
    • /
    • pp.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역전기투석 장치 내 스페이서(spacer)에 의한 유동변화와 스페이서의 높이변화에 따른 해수의 유동 및 이온전달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육각형 모양의 스페이서에 대해 3차원 전산유체해석을 진행하였다.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레이놀즈수(Reynolds number)가 커짐에 따라 스월량(swirl)이 커지며 단위시간당 해수의 이온이 멤브레인(membrane)으로 전달되는 양이 늘어나지만, 반면에 입출구의 압력차도 증가하였다. 또한 스페이서가 두꺼울수록 파워수(Power number)와 셔우드수(Sherwood number)가 증가하였다.

메타아크릴레이트 실란을 이용한 유리섬유 강화복합재료의 물성향상 (The Adhesion Promotion of Glass Fiber Reinforced Composite Using Methacrylate Functional Silanes)

  • 장정식
    • 공업화학
    • /
    • 제1권2호
    • /
    • pp.133-139
    • /
    • 1990
  • 서로 다른 스페이서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실란을 합성하여, 유리섬유 표면위에서 이들의 흡착거동 및 배향에 관한 FI-IR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유리섬유/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은 유리섬유 표면을 처리한 실란 카플링제의 스페이서기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실리카 표면에서의 실란 카플링제의 등온 흡착율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실란의 메틸렌 스페이서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긴 스페이서기를 가지는 실란 분자는 흡착 매체 표면에 활궁처럼 휜상태로 흡착하였다. 유리섬유/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재료의 고온 습윤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실란카플링제의 분자 구조와 기계적 물성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도 연구가 병행되었다.

  • PDF

154 kV 복도체 가공송전선로에서 전자력에 의한 소도체간 접촉 (Kissing of Sub-conductors due to Magnetic Forces in a 154 kV Bundled Overhead Transmission Line)

  • 김상범;노희원;김영홍;고광만;박종혁;김상수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3호
    • /
    • pp.383-389
    • /
    • 2016
  • 국내 154 kV 복도체 가공송전선로를 대상으로 전자력에 의한 소도체간 접촉현상을 실증적으로 재현하고 대처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클수록, 스페이서의 간격이 클수록 소도체간에 작용하는 전자력은 크게 측정되었다. 스페이서 간격이 68 m일 경우 전류 크기가 2,000 A 일 때부터 소도체는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소도체간 간격이 변화하는 횡방향 진동이 시작되었다. 스페이서 간격이 136 m일 경우 전류 크기가 증가할수록 소도체간 간격은 좁아지다가 2,250 A 일 때 두 소도체는 완전히 접촉하였다. 스페이서 간격에 따른 전자력의 크기를 도식화하고 안전한 스페이서 간격을 제시하였다. 시험선로와 실선로 간에는 접촉현상이 발생하는 조건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송전선로 가선 과정에서 도체에 가해진 여러 형태의 잔류 응력, 바람 조건 등의 차이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다봉채널내의 공기-물 플러딩 : 스페이서 그릿 및 블럭키지의 영향 (Air-Water Flooding in Multirod Channels : Effects of Spacer Grids and Blockages)

  • Cha, Jong-Hee;Jun, Hyung-Gi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5권3호
    • /
    • pp.381-393
    • /
    • 1993
  • 이 논문은 하강하는 물의 막과 상승하는 공기유동으로 구성된 수직 다봉채널내서의 역유동 플러딩에 관한 실험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특히 다봉속에 혼합깃이 있는 것과 없는 스페이서 그릿 및 블럭키지가 프러딩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시험부에는 5$\times$5 지르칼로이관속이 사용되었다. 플러딩에 관한 전의 해석적 모델과 실험적 상관식들을 본 실험결과와 비교한즉 기존의 모델과 상관식들이 매우 높은 플러딩 곡선을 예측함이 발혀졌다. 스페이서 그릿은 이것이 없는 봉속과 비교하면 낮은 플러딩 공기유량을 나타낸다. 그러나 혼합깃이 있는 스페이서 그릿은 이것이 없는 스페이서 그릿에 비하여 높은 플러딩 공기유량이 요구된다. 블럭키지를 가진 봉속은 더욱더 높은 플러딩 공기유량을 갖는다. 세가지 형식의 시험봉 속에 대한 실험적 플러딩 상관식이 얻어졌다.

  • PDF

GIS용 폐쇄형 스페이서의 에폭시 주입구용 UHF 부분방전 센서의 특성비교 (Performance of comparison of external-type UHF PD sensors for epoxy injection hole of barriers in GIS)

  • 황철민;구자윤;이영상;박기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04-106
    • /
    • 2004
  • GIS의 금속으로 차폐된 폐쇄형 스페이서(barrier)의 에폭시 주입구를 통해 방사되는 극초단파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외장형 UHF PD 센서를 제작하였다. 센서에 내장되는 패치안테나는 모노폴(monopole)과 다이폴(dipole) 형태로 설계하여 고주파 전자기장 해석 툴을 이용하여 각각의 특성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제작된 센서는 362kV GIS의 차폐형 스페이서의 에폭시 주입구에 장착하고 각 센서의 PD 검출 감도와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 PDF

170kV GIS용 절연스페이서의 신뢰성 기반에 의거한 수명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ife Evaluation Based on Reliability Function for the Insulate Spacer of 170kV GIS)

  • 김한균;임진석;서왕벽;김민규;이정기;배동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896-897
    • /
    • 2007
  • 산업사회의 발달과 정보통신의 발전 등으로 전송전압이 상승하고 도시의 인구 집중화 현상으로 전력설비의 대용량, 고전압으로 인해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GIS를 구성하고 있는 중요부품 중의 하나인 절연스페이서의 사고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한전 및 국외 사용자로부터 수명보증 등 신뢰성에 대한 공인 시험기관 성적서 또는 인증서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전의 표준규격(ES 150-579)에 따른 신뢰성평가기준에 부합되는 냉열시험과 장기과전압시험을 실시하여 절연스페이서의 체계적인 수명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휴대폰 카메라 렌즈 스페이서 적용을 위한 구리의 흑화 (Cu Blackening through CuO Oxidation for the Application of Camera Lens Spacers in Mobile Phones)

  • 이예지;김용하;김창현;원용선
    • 청정기술
    • /
    • 제27권1호
    • /
    • pp.17-23
    • /
    • 2021
  •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 내에 정렬된 카메라 렌즈들은 일반적으로 검은색 폴리머 스페이서(spacer)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이 계속 얇아지고 삽입되는 렌즈의 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고려해볼 때, 렌즈들을 분리해주는 스페이서의 기계적 특성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기존 폴리머 스페이서의 대체재로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구리(Cu) 소재가 고려되고 있는데, 특히 표면에 고유한 흑색 구리(II) 산화물(CuO)을 형성하여 빛의 간섭을 줄이고 플레어(flare) 현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로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과 특허들을 분석 및 정리하여 표준 구리 흑화 공정과 공정 조건을 제시하였다. 전체 공정은 수세(cleaning), 탈산화(deoxidizing), 활성화(activation), 흑화(blackening), 그리고 안정화(sealing)의 단위 공정들로 구성되는데, 각 단위 공정의 온도 및 활성화 용액의 농도 등의 공정 변수가 구리 시료(strip)의 흑화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표준 공정 조건은 색차계로 측정된 구리 시료의 흑화도가 품질 만족(on-spec.) 조건에 부합하는가를 기준으로 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