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트레스 대처 방식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2초

대학생의 성격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MBTI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y Types and Stress Management Techniques and Their Effect on Academic Burnout - Based on the MBTI Personality Assessment -)

  • 임근옥;최연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785-790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MBTI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여 성격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성격유형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업소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EP, IJ성격유형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소망적사고 및 정서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EP성격유형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담자는 스트레스를 받은 내담자가 안정적인 상태에서 긍정적인 상상이나 기도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의 정서적 공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마트폰 중독의 구조모형 연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mpathy and Smart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이유리;박정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23-329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적 공감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공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하였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공감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서적 공감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적극적 대처방식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감소시키는 간접효과가, 소극적 대처는 스마트폰 중독을 악화시키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영향력 분석결과, 여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더 높고, 남학생의 경우 적극적 대처방식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중재할 수 있는 유용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효과 (The Interaction Effects on Academic stress of Gifted Student and Normal Student by Academic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s)

  • 양연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841-853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6학년 영재학생 100명과 일반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정서중심 대처방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감소되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문제중심 대처방식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았다.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영재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커졌으며, 일반학생은 문제중심 대처방식의 수준이 높을 때에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영향요인: 공감의 하위영역,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Influence Factors on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Focused on Dimensions of Empathy, Ego-resilience, Stress-coping Strategies)

  • 정혜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56-266
    • /
    • 2017
  • 본 연구는 공감의 하위영역,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간호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5년 11월 1일부터 2015년 11월 30일까지 간호학생 30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학업스트레스, 하위영역별 공감,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영향요인은 학년, 성격성향,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및 정서중심 대처방식으로 파악되었고, 총 설명력은 54.1%이었다. 이상으로 간호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개선시켜 건강한 학교생활을 돕기 위해서는 간호학생 중 고학년, 성격이 외향적인 경우와 전공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다.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정서중심 대처방식 수준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포함시켜야 하겠으며, 하위영역별 공감,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는 후속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심리사회적 성숙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t Influence of Ego-Resilience, Psycho-Social Maturity on Stress Coping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 김금순;김보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375-38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를 확인하고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A시 소재의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0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탄력성과 심리사회적 성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성적, 대인관계, 심리사회적 성숙도였고, 전체 설명력은 38%이었다. 따라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요인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관련요인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을 위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도구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신종감염병지식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Nursing Students' Coping with Stress)

  • 이소영;김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07-520
    • /
    • 2023
  •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신종감염병지식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자가성장하는 간호사를 육성할 실습교육 및 심리적 지원 전략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및 충북지역에 거주하는 간호대학생으로 2022년 9월 10일부터 10월 10일까지 총 259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활용하여 피어슨 상관계수를 통해 신종감염병지식,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진입(Enter)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습교육환경, 업무부담으로 인한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적극적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17 p<.005, r=.15 p=.017), 대인관계 갈등, 환자와 갈등, 업무부담, 바람직하지 않은 역할모델로 인한 스트레스는 소극적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양의 상관관계(r=.18 p=.040, r=.28 p<.000, r=.17 p=.006, r=.19 p=.003)를 보였다. 임상실습만족도에서 만족한다(B=.25, p=.003), 실습교육환경 스트레스(B=.17 p=.004), 성별(B=-.19, p=.023)순으로 적극적인 스트레스대처방식 총 변화량의 15%를 설명하였고, 실습업무부담으로 인한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소극적인 스트레스대처방식 총 변화량의 7%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보다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상담이나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회피대처방식의 융복합적인 관련성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avoidance coping styles for college students)

  • 김미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53-36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일대학교의 학생 314명을 대상으로 2018년 05월 02일부터 05월 28일까지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취업스트레스의 하위변수 중 성격 스트레스, 가족환경 스트레스, 학업 스트레스, 학교환경 스트레스는 정서중심적 대처방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취업불안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추구와 정서중심적 대처방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들의 정서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우울 같은 정서와 신체상의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으므로 심리지원서비스를 통한 조기 발견과 이의 대처에 관한 심리치료 프로그램 및 교육, 특강, 캠프 등의 혼합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정서중심적 대처방식에서 문제해결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적 행동 기술훈련(계획,방법,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 of the Traumatic Experiences on Drinking among Alcoholics -Mediating role of Stress Coping)

  • 우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80-188
    • /
    • 2014
  • 본 연구는 외상경험이 있는 알코올중독자들의 외상경험과 음주기대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변수 간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대처방식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연령, 최종학력, 단주경험, 단주모임참여, 병식인지가 통제된 상황에서 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이 음주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대처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다. 변수의 경로는 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대처방식이 낮았고(${\beta}=-.328$, p<.001), 스트레스대처방식이 높을수록 음주기대가 낮았으며(${\beta}=-.532$, p<.001), 외상경험이 높을수록 음주기대가 높은 것(${\beta}=.408$, p<.001)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음주에 대한 기대가 높고(${\beta}=.153$, p<.01), 단주경험이 많을수록 음주기대가 낮았다(${\beta}=.156$, p<.05). 스트레스대처방식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본 결과, 외상경험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거쳐 음주기대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적 방안과 함의를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대인불안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 (Differences of Social Anxiety and Stress Coping Style by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 박순주;배다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305-315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대인불안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2013년 5월부터 6월까지 6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척도, 대인관계 불안 척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대인불안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 대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인불안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소극적 대처방식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대인불안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보다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중재를 통해 대인불안을 감소시키고 적극적 대처방식의 사용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mpus Life Stress, Stress Coping Type, Self-esteem, and Maladjustment Perfectionism on Suicide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 박선욱;김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3-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대학생의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부산경남지역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생각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대학생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대학생활만족도가 낮은 그룹에서 자살생각이 강했다. 둘째, 제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은 자아존중감, 대학생활 만족도,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법인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순으로 뚜렷한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반면에, 부적응적 완벽주의, 대학생활 스트레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인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순으로는 뚜렷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지고,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귀 분석의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남학생,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역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존중감의 영향이 가장 컸다. 즉,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여학생보다 남학생에서,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대학생의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대인관계 기술 향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개선,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의 완화, 그리고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의 모색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