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Factors on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Focused on Dimensions of Empathy, Ego-resilience, Stress-coping Strategies

간호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영향요인: 공감의 하위영역,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 정혜선 (국립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7.02.21
  • Accepted : 2017.04.06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focusing on dimensions of empathy,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cademic stress, dimensions of empathy,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mong subjects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305 nursing students between November 1, 2015 and November 30,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were grade, personality orientation, major satisfaction, ego-resilience and emotion focused coping style,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54.1%. To improve nur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nursing students who are in their upper grades, extroverted, and with low major satisfaction. In developing a program to reduce academic stress,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include measures to raise the level of ego-resilience and to improve the level of emotion focused coping style among stress-coping strategies, and to conduct subsequent research to identify pathways in which the dimensions of empathy, ego-resilience and stress-coping strategies affect academic stress.

본 연구는 공감의 하위영역,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간호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5년 11월 1일부터 2015년 11월 30일까지 간호학생 30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학업스트레스, 하위영역별 공감,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영향요인은 학년, 성격성향,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및 정서중심 대처방식으로 파악되었고, 총 설명력은 54.1%이었다. 이상으로 간호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개선시켜 건강한 학교생활을 돕기 위해서는 간호학생 중 고학년, 성격이 외향적인 경우와 전공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다.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정서중심 대처방식 수준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포함시켜야 하겠으며, 하위영역별 공감,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는 후속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J. Liaschenko and E. Peter, "Nursing ethics and conceptualizations of nursing: profession, practice and work," Journal of the Advanced Nursing, Vol.46, No.5, pp.488-495, 2004.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4.03011.x
  2. 정복례, 김미예, 서순림, 홍해숙, "일 대학 간호학과 교육 과정 개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9권, 제2호, pp.298-309, 2003.
  3. 손영주, 최은영, 송영아,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스트레스연구, 제18권, 제4호, pp.345-351, 2010.
  4. 김종경, "간호교육 개선을 위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련 문헌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47-59,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1.47
  5. F. Timmins and M. Kaliszer, "Aspects of nurse education programmes that frequently cause stress to nursing students-fact-finding sample survey," Nurse Education Today, Vol.22, pp.203-211, 2002.0 https://doi.org/10.1054/nedt.2001.0698
  6. M. Pulido-Martos, J. M. Augusto-Landa, and E. Lopez-Zafra, "Sources of stress in nursing students: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studie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pp.15-25, 2011.
  7. 이숙정, 유지현,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3호, pp.589-607, 2008.
  8. R. Misra and M. McKean,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its relation to their anxiety, time manage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Studies, Vol.16, No.1, pp.41-51, 2000.
  9. 장해순, "대학생의 자아노출과 공감능력이 스트레스 지각정도 및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1권, 제3호, pp.5-28, 2013.
  10. 유효현, 박귀화, "의과대학생의 정서지능, 자아탄력성, 대처효능감과 학업스트레스간의 관계," Korean J Med Educ, 제27권, 제3호, pp.187-193, 2015. https://doi.org/10.3946/kjme.2015.27.3.187
  11. 이미현, 박미숙, "간호대학생의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863-98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63
  12. 신소흥,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4-24,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1.14
  13. 최효진, 이은주,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61-268, 2012. https://doi.org/10.7739/jkafn.2012.19.2.261
  14.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NewYork NY, 1984.
  15. C. R. Rogers, "A theory of therapy,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developed in the client-centered framework," In Koch S. (Ed.), A theory of therapy,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psychotherapy, New York: McGraw Hill, pp.184-256, 1959.
  16. M. H. Davi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ournal Supplement Abstract Service(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Vol.10, p.85, 1980.
  17. H. S. Je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empathy among nursing students,"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Letters, Vol.103, pp.44-48, 2015.
  18. 이미라, 정현숙, 조미경,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대처, 스트레스결과에 대한 구조모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321-332, 2000.
  19. 여현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1, pp.177-184,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77
  20. 양선이, "간호 대학생의 공감 능력 및 자아 탄력성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3(B), pp.1699-1710, 2015.
  21. L. Campbell-Sills, S. L. Cohan, and M. B. Stein, "Relationship of resilience to personality, coping, and psychiatric symptoms in young adult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44, pp.585-599, 2006. https://doi.org/10.1016/j.brat.2005.05.001
  22. J. Block and A. M. Ker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 Pers Soc Psychol, Vol.70, No.2, pp.349-361,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23. 박완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양식 및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제18 권, 제3호, pp.240-250, 2009.
  24. 유계숙, 신동우, "대학생의 학업․취업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 및 취업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제14권, 제6호, pp.3849-3869, 2013.
  25. 강일, 기선완, 김성은, 정범석, 황지희, 송지은, 김지웅, "한국어판 대인 관계 반응성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제48권, pp.352-358, 2009.
  26. 김미화,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7. 김정희, 知覺된 스트레스,認知세트 및 對處方式의 憂鬱에 대한 作用: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87.
  28. 양윤경, 한금선, 배문혜, 양승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 스트레스 연구, 제22권, 제1호, pp.23-33, 2014.
  29. 정혜선, 이기령, "간호대학생의 공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제16 권, 제9호, pp.6044-6052,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9.6044
  30. 신은정, "감성지능, 자아탄력성이 간호대학생의 생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일 대학을 중심으로," 계명간호과학, 제17권, 제1호, pp.1-12, 2013.
  31. 이경희, 이소우, "Resilience(회복력) 개념분석," 스트레스 연구, 제13권, 제1호, pp.9-18, 2005.
  32. 김경식, 김연규, 박영만, 서강석, "청소년의 캠핑 참가가 회복탄력성 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pp.1010-102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1010
  33. 고미숙,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생활 적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pp.280-291.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280
  34. 정유진, 고진강,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성격 특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24, No.4, pp.296-302, 2016. https://doi.org/10.17547/kjsr.2016.24.4.296
  35. 양선이, "간호 대학생의 공감 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Journal of the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7권, 제3B호,pp.1699-171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