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트레스 대처

검색결과 799건 처리시간 0.024초

광주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조사 (Stressors and Coping Behaviors among the $5^{th}$.$6^{th}$ Graders at Gwangju City)

  • 강혜영;박소라;장금옥;박광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5-4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essors and coping behaviors among the 5th 6th graders at Gwangju city. The subjects were 35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June 19 to July 21, 2003. Study instrument to investigate stressors was developed 40-items summated scale (${\alpha}$ = .87) with four subcategories: 8-items individualistic (${\alpha}$ = .72), ll-items family life-related (${\alpha}$= .70), 14-items school life-related (${\alpha}$= .76) and 7 socio-environmental (${\alpha}$= .63) factors. And the instrument to examine stress coping behaviors was also developed 30-items summated scale (${\alpha}$= .82) with three subcategories: 10-items active (${\alpha}$= .72), 10-passive (${\alpha}$= .75), and 10-mystic (${\alpha}$ = .70) coping behavi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using SPSS/PC+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Mean score of stressors was $66.6{\pm}14.45$ out of 16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s of stressors in terms of gender, grade, number of siblings and the school location The score of individualistic stressors, on the other hand, was tended to be significant higher in the 6th graders (t = -2.155, p = .032) and the school children in Gwangsangu district where has mixed rural and urban characteristics (F = 2.400, p = .049). Mean score of stress coping behaviors was $61.3{\pm}12.24$ out of 120.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number of siblings (t = 2.108, p = .036) and the school location (F = 4.928, p = .001). In several subcategories, the mean scores of active cop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nly children group (t = -2.127, p = .034) and Donggu district where traditional downtown area (F = 2.410, p = .050). and passive (F = 4.013, p = .003) and mystic coping (F = 2.720, p= .030)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me district. In conclusion, the score of stressors of children in Gwangju city showed relatively low as that of other areas, and the children utilized active coping behaviors more frequently in various stressful situations.

뇌성마비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Stress and Coping in Parents of Cerebral Palsy Children)

  • 송영화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6권1호
    • /
    • pp.49-60
    • /
    • 1994
  • Stress is experienced when a person tries to maintain stability in the face of life change but is not able to meet the adaptive demands of change. This can be especially true for the parents who has a cerebral palsy childs who needs long term rare, where parents, are the primary source of care and responsibility. Successful coping leads to maintenance of the parents role and this has an effect on the health status of the child. This descriptive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stress factors, levels and helpful coping patterns for parents who must take care of cerebral palsy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43 subjects who were parents of children diagnosed with cerebral palsy The informations gathered from March 25, 1994 to April 14, 1994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wo instrument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1) Lee's stress questionnaire consisted of 33 stress factors and measured by four point Likert scale. 2) Modified Chronic Health Inventory for parents: The modified CHIP included 43 items of coping methods with four 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tress items could have a maximum score of three points, for a total possible score of 132 points. The mean score for the total was 92.02 points. The item mean score was 2.85 points showing that the parents were experiencing moderate to much stress. 2) The items with the highest stress items were 16 items. The stress items with the lowest mean scores were 10 items. 3) Of the stress categories: The highest stress category was related to changes in the illness status of the child and difficulty in taking rare of the child. The second stressful category was related to the prognosis of the child's condition. The least stress was noticed to social-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care givers. 4) Items measuring coping in the parents had a maximum score of three points each with a total possible roping score of 172 points. The mean score for the total was 103,9 paints. The item mean score was 2.42 points indicating that there were responses of little helpful to moderately helpful on each coping pattern. 5) The most helpful coping items were 7 items. The least helpful coping items were 2 items. 6) Effectiveness of the coping for each patterns was examined : Understanding the illness condition from communication with parents of children with the same condition and consultation with the medical team was the most helpful coping pattern. Family's coorperation and integration and optimism were a moderately helpful coping pattern.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elf esteem were the least helpful toping pattern. In conclusion, the highest stres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erebropalsy was found to be very stressful changes in the illness of the child and to taking care of a child who is suffering. The parents were helped by the coping methods using understanding of the illness condition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medical learn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in the same situation. Based on the knowledge, care could develop intervention strategies appropriate for them, help them to develop their effective coping patterns, and give support them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their stress.

  • PDF

간호대학생의 커리어앵커와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Career Anchor and Career Development of Nursing Students)

  • 이지안;박수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93-300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직무 유형을 통해서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먼저 부산 경남 지역에 있는 K 대학과 P 대학의 간호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커리어앵커 질문지를 이용하여 직무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직무 유형 중에서 상위 유형의 경향성을 보이는 간호대학생 28명을 선별하여 4개의 팀으로 나누어 맵을 작성하였고, 작성된 맵의 내용을 기반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했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실제적 목소리를 통해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그 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커리어앵커 유형은 라이프스타일과 안전 보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장 낮은 커리어앵커 유형은 순수한 도전과 관리적 역량이었다. 둘째,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는 크게 4개의 영역, 전공역량, 실무역량, 인성역량, 자원관리역량으로 범주화하였다. 전공역량은 간호 전문지식 및 기술, 실무역량은 병동 업무처리, 의사소통, 위기대처능력, 인성역량은 협력, 책임인식, 자원관리역량은 시간 관리 능력, 스트레스 관리능력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간호대학생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간호실무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해양경찰·경찰 공무원의 외상(trauma)관련 국내 연구 동향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Trauma in Maritime Police Officers and Police Officers in Korea)

  • 박경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7-33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양경찰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KCI 등재학술지에 실린 해양경찰, 경찰의 외상 관련 논문 57편을 수집하여 논문의 기초사항, 연구대상, 연구방법, 측정도구, 관련 변인 등을 분석하였다. 해양경찰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연구는 2010년부터 시작되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57편 중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연구는 6편에 불과하였다. 연구자의 전공영역은 경찰행정분야(59.6 %)가 가장 많았고, 심리학(19.3 %), 의학 및 간호학(10.5 %), 사회복지학(8.8 %), 교육학(1.8 %)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해양경찰공무원 대상 연구는 6편 중 1편 외에는 모두 경찰행정분야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78.9 %)이 대부분이었다. 질적 연구는 3편이었는데 모두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PTSD 척도는 IES-R-K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PDS, PCL-5가 뒤를 이었다. 외상 관련 변인으로는 외상성 사건 경험, 회복력, 스트레스 대처 방법, 사회적 지지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기반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of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Men Living Alone Based on Ecological System Theory)

  • 홍시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2권2호
    • /
    • pp.57-68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실제 자료간의 적합도를 검증함으로써,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켜주는 노인자살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chi}^2/df$, RMR, GFI, AGFI CFI, IFI, RMSEA 기준을 만족하여 가설적 모형을 수정없이 최종모형으로 확정하였다.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자아존중감이였으며, 요인에 대한 설명력이 55%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의 최종 결과변인으로 검정된 우울, 사회적 고립감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 가족결속력, 사회활동 참여,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맞춤형 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 본 연구는 가정, 경로당, 종합복지회관을 이용하는 남자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남자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확대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설문의 내용이 민감하여 제대로 답변을 못하는 경우도 있어 심도있게 향후 질적연구를 제언하며, 본 연구에서 규명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영향변인들을 근거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한 맞춤형 노인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장기적 금연 지속기간 예측 모형: 스트레스 대처를 중심으로 (Decision-Tree Model of Long-term Abstention from Smoking: Focused on Coping Styles)

  • 서경현;유제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3-90
    • /
    • 2005
  • Objectives: Smokers who had failed to quit smoking were frequently reported that life stress mostly interrupted their abstention. Stress vulnerability model for smoking cessation has been considered, and most of contemporary smoking cessation programs help smokers develop coping strategies for stressful situat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coping styles for stress of abstention from smoking.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bstention follow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and coping styles would suggest useful information for those who want to stop smoking and health practitioners who help them. Methods: Participants were 69 smokers (62 males, 7 females) participated in a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whose mean age was 44.89 (SD=9.61). Participants took medical test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and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To identify participants' abstention, researchers followed them for 2 years. To identify whether abstained or not and encourage them to abstain, researchers called them on the telephone once a week for 3 months. After 3 months, they were contacted every other week till 6 months passed since they left smoking cessation program. And they were contacted once a month for other 18months. Researchers also contacted their family to identify their abstention. Data Mining Decision Tree was performed with 37 variables (13 variables for the coping styles and 24 smoking-related variables) by Answer Tree 3.0v Results: Forty four (63.8%) out of sixty nine for 2 weeks, 34 (49.3%) for 6 months, 25 (36.2%) abstained for 1 year, and 22 (31.9%) abstained for 2 yea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bstained average of 286.77 days from smoking. Included variables of a Decision Tree model for this study were positive interpretation, emotional expression, self-criticism, restraint and emotional social support seeking. Decision Tree model showed that those (n=9) who did not interpret positively (<=7.5) and criticized themselves (>6.5) abstained 23 days only, while those (n=9) who interpreted positively (>7.5), expressed their emotion freely (>6.5), and sought social support actively (>11.5) abstained 730 days, till last day of the investig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ertain coping styles such as positive interpretation, emotional expression, self-criticism, restraint and emotional social support seeking were important factors for long-term abstention from smoking. These findings reiterate the role of stress for abstention from smoking and suggest a model of coping styles for successful abstention from smoking. Despite of limitation of this study, it might help smokers who want to stop smoking and health practitioners who help them.

저소득층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성인애착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 효과: 중산층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adult attach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ffection parenting in low income class and middle income class)

  • 민하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0
    • /
    • 2011
  • 긍정적 경험, 긍정적 특질, 긍정적 조직의 복원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긍정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문제를 규명하고 해결함에 있어 약점만큼이나 강점을 강조하고 고통받는 사람들의 상처를 치료해야하는 만큼 건강한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따라서 우울이나 불안 등과 같은 부정적 측면보다 희망이나 행복과 같은 긍정적 측면에 초점을 두려 노력한다. 이러한 긍정 심리학적 측면에서 볼 때 경제적으로 어려운 저소득층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우울이나 스트레스, 불안, 거부적 양육행동, 부부갈등 등 부정적 측면에 초점을 둘 뿐 저소득층 어머니에게 내재되어 있는 안녕감이나 따뜻함, 애정성, 안정성, 희망 등과 같은 긍정적 요인은 상대적으로 간과했다고 볼 수 있다. 긍정적 정서나 성격 등 개인 안에 내재하고 있는 '긍정성' 속에 내포하고 있는 유연성과 통합성, 위기 대처 능력 등을 고려해 볼 때, 경제적 취약함이라는 부정적 환경 속에서도 나타나는 저소득층 어머니의 긍정성은 궁극적으로 저소득층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저소득층 어머니를 대상으로 애정적 양육 행동, 성인애착, 심리적 안녕감 등 개인의 긍정성에 초점을 두고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대한 성인애착의 영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의해 매개되는가를 저소득층 어머니 101명과 중산층 어머니 238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저소득층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은 중산층 어머니의 경우처럼 안정된 성인애착에 의해 유의하게 설명되나 안정된 성인애착의 영향은 부분 매개 효과를 보이는 중산층 어머니와 달리 심리적 안녕감에 의해 완전 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층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 향상을 위해 중산층 어머니보다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마음수련명상의 지속기간에 따른 정신건강의 효과 (Effects of Maum Meditation Training on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raining Period)

  • 이인수;오진환;권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42-353
    • /
    • 2013
  • 본 연구는 마음수련명상의 지속기간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단기집중 마음수련명상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연구와 지속적 마음수련명상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구성된다. 자료 수집 및 대상은 단기집중 마음수련명상군의 경우 2011년 7월 23일부터 7월 30일, 2012년 1월 7일부터 1월 14일에 마음수련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 7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고, 지속적 마음수련명상군의 경우 2012년 2월 현재 마음수련명상을 1년 이상 지속한 교사들 101명을 대상으로 2012년 2월 15일에서 2월 28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4.0를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기집중 마음수련명상군의 경우 마음수련명상 전후에 정신건강의 모든 하위영역(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속적 마음수련명상군의 지속기간에 따른 정신건강 정도는 편집증을 제외한 8개 영역(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정신증)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마음수련명상이 단기적, 지속적 중재 모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아 임상에서의 단기적용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기르기 위한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서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문화충돌과 직업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ocational Culture Conflicts and Vocation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 조인수;손민정;최정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54-372
    • /
    • 2020
  •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이 탈북 후 우리나라에 입국하여 정착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로로 직업문화충돌을 인식하고 극복하는지, 자신의 진로와 직업생활에 적응하는 형태 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 중 사례연구방법으로 북한과 우리나라에서 직업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으로 입국한 지 5년이 경과되고, 직업을 가진 13명을 선정하였다. 면담은 총 5개월(2017. 8.~12.)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반구조화 질문지로 1인당 60~120분에 걸쳐 면담진행 및 녹취, 전사 후 주제를 분석하였다. 주제 분석 결과, 북한에서의 직업환경과 개인의 진로배경, 새로운 삶을 통한 성공요인, 취업을 향해 꾸준히 노력하는 자세, 남한생활 적응의 어려움, 직업안정성을 추구하거나 남한의 문화를 수용하고 진로타협을 표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북한과 남한에서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이 의존적에서 자율성으로 전환된 환경으로 직업선택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겪는다. 둘째, 북한에서 축적된 진로자본을 남한에서 직업시장 진입 시 활용할 수 없고, 의사소통의 어려움, 편견이나 직업정보 부재 등의 애로점을 토로하였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문화충돌에 대한 주요 문제는 이질적 문화에 대한 적응력 부족, 스트레스, 경제력의 소진 등이며, 대처하는 방법은 배타성, 문화학습의 통합과정을 거친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은 직업적응에서 잦은 이직과 진로자본의 지속된 확장의 적응 등 부적응을 보였다. 다섯째, 북한이탈주민은 직업문화충돌을 개인별 특성에 따라 극복하고 적응하려고 하였다.

암환자 가족 중 주간호제공자의 적응모형구축 (Adaptation Model for Family Caregiver of Cancer Patient)

  • 신계영
    • 종양간호연구
    • /
    • 제2권1호
    • /
    • pp.5-16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ess-adaptation model for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that could provide the basis of planning nursing intervention. Method: A hypothetical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family adaptation model proposed by Haley et al. (1987). In the literature, the stressor was identified as patient's characteristics, caregiver's characteristics, duration of illness, and family life events. It affected stress appraisal, family resources, family coping and finally caregiver's adaptation. In this model, 18 paths were constr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241 caregivers, whose family members were in treatment between June and August 2000, at 3 university hospitals and were analyzed by SPSS and LISREL programs. Results: 1) The overall fitness indices of the hypothetical model were x 2=267.78 (P= .0), GFI= .92, AGFI= .87, NFI= .93, NNFI= .93, PNFI= .64, PGFI= .55, and RMR= .43. Ten of the eighteen paths proved to be significant. 2) To improve the model fitness, the hypothetical model was modified considering modification indices and the paths proved not significant. Final model excluded 3 paths demonstrated to be improved by x2=161.96 (P= .00), GFI= .95, AGFI= .91, NFI= .96, NNFI= .96, and RMR= .23. Twelve of fifteen paths proved to be significant. 3) Stress appraisal was influenced by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and duration of illness and was explained 22% of the variance. Family resources were influenced by stress appraisal and was explained 57% of variance. Family coping was influenced by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caregiver's characteristics, duration of illness, family life event, and stress appraisal and was explained 57% of variance. Family caregiver adaptation was influenced by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caregiver's characteristics, stress appraisal, and family coping and was explained 31% of variance. Twelve of fifteen paths were significant.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to help family caregivers to adapt, individual intervention is necessary with consideration of disease related and caregiver's characteristics and duration of illness. The intervention should include efforts to raise the family resources and to identify positively the stress they encounter, and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n adaptation model that considers emotional aspects of family caregivers.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emotional status depending on the disease stage, a study needs to be done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disease stages (diagnosis, treatment, recurrence, and terminal sta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