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트레스

검색결과 11,317건 처리시간 0.036초

구속 스트레스로 유발된 기억 손상에 대한 맥문동(麥門冬)의 신경보호 효능 (Liriopis Tuber improves stress-induced memorial impairments in rats)

  • 강영건;이태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3-75
    • /
    • 2006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iriopis Tuber on the nervous protection. Methods : We measured the reaction behavior with EPM(Elevated Plus Maxe) and MWM(Morris Water Maze) after applying restraint stress to rats. Also, the degrees of AchE generation were measur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 in the regions of hippocampus, and the degree of TH generation in the regions of VTA and LC, respectively. Results : 1. As the results of measuring how long EPM which reflects anxiety reaction stayed in the open arm, there was the trend which can suppress anxiety reaction in the MMD+stress group(Liriopis Tuber+stress)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ounting results how many EPM passed between opened and closed arm showed suppression trend against a physical activity in the saline+stress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MWM, the saline+stress group showed the learning retardation which means increased time arriving at goal compared to ti1e normal group at the second and third day of measurement. On the contrary, a learning retard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MD+stress group. Among the probe trial test a memory loss occurred in the saline+stress group, meanwhile memory ability was notably increased in the saline-stress group. 3. The degree of TH generation was investigated at the VTA and LC respectively after test animals treated with drug. In the saline+stress group, TH-immunoreactive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se stress-induced TH increases were suppressed in the saline+stress group at the VTA region. However, the saline+stress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degree of AchE generation was investigated at the CA3 of hippocampus. The saline+stress group showed that AchE-immunoreactive cel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ose stress-induced reductions of AchE cells were meaningfully recovered in the saline+stress group. Although the cells showed recovery trend in the region of CA1 of hippocampu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observed. Conclusion :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Liriopis Tuber can improve spatial memory ability of rats applied a restraint stress. This improvement of the spatial memory ability is considered to have an efficacy of nervous protection that Liriopis Tuber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AchE in the hippocampus region and enhances the generation of TH in the VTA.

  • PDF

경골터널과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The Clinical Results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ranstibial Tunnel and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 조진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5-52
    • /
    • 2008
  • 목적: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경골터널 및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한 술식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이식건은 36예에서 동종 아킬레스건을 사용하였고, 잔여 후방십자인대를 최대한 보존하려고 노력하였으며,수술 전과 후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후향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추시 관찰기간은 최소 12개월에서 최대 30개월이었습니다. 결과: Lysholm 슬관절 점수는 평균은 술전 $66.0{\pm}8.67(40{\sim}76)$점에서 수술 후 $87.9{\pm}5.04(82{\sim}96)$점으로 증가되었으며 IKDC 등급은 수술 전 비정상이 15예(41.7%), 심한 비정상이 21예(58.3%)소견 보였으나 수술 후 6명(16%)이 정상, 24명(66%)이 정상에 가까움, 5명(16%)이 비정상, 1명(2%)이 심한 비정상으로 분류 되었다. Telos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상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술전 평균 $12.5{\pm}2.61(7{\sim}20)$ mm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3.9{\pm}1.34(7{\sim}1)$ mm로 의미있는 감소 소견이 관찰되었다(paired sample T test, p=0.001). 결론: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경골터널,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한 술식은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되었다.

  • PDF

일개 종합병원에서의 치료 미순응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실태 (Self-care Status of the Aged Diabetic Patients with Noncompliance)

  • 김소미;황태윤;나민아;이경수;염석헌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2권4호
    • /
    • pp.226-233
    • /
    • 2017
  • 이 연구는 입퇴원을 반복하는 치료 미순응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퇴원 후 자가 관리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일개 종합병원에서 고혈당으로 최근 1년 이내에 2회 이상 입원 치료받은 65세 이상 노인 당뇨병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1일부터 2016년 3월 1일까지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당뇨병 관련 지식 중 발병원인과 증상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았다. 혈당 측정은 불규칙적으로 하거나 하지 않고 있었고, 가정에 혈당기가 없어 측정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일상생활 중 가족들로부터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었고, 노령으로 인하여 신체 활동에 제한이 많았으며, 뇌졸중의 후유증과 근골격계 질환 등의 문제들로 운동을 거의 못하고 있었다. 규칙적인 식사도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었으며, 당뇨병 자가관리 교육은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거나 거동 불편으로 받지 못하고 있었다. 자가 혈당 측정 행위 저조, 가족으로부터의 심리적 압박, 퇴원 후 교육 기회 부재 등이 당뇨병자가 관리와 관련된 두드러진 문제점들이었다. 따라서 치료 미순응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자가관리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와 가족을 포함하는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참여 기회를 보장하여 자가 관리의 중요성과 기술습득을 통하여 자가 관리를 실천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기반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of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Men Living Alone Based on Ecological System Theory)

  • 홍시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2권2호
    • /
    • pp.57-68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실제 자료간의 적합도를 검증함으로써,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켜주는 노인자살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chi}^2/df$, RMR, GFI, AGFI CFI, IFI, RMSEA 기준을 만족하여 가설적 모형을 수정없이 최종모형으로 확정하였다.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자아존중감이였으며, 요인에 대한 설명력이 55%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의 최종 결과변인으로 검정된 우울, 사회적 고립감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 가족결속력, 사회활동 참여,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맞춤형 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 본 연구는 가정, 경로당, 종합복지회관을 이용하는 남자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남자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확대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설문의 내용이 민감하여 제대로 답변을 못하는 경우도 있어 심도있게 향후 질적연구를 제언하며, 본 연구에서 규명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영향변인들을 근거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한 맞춤형 노인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만성 운동성 틱 장애와 뚜레뜨 장애의 인지-행동적 차이 (THE COGNITIVE-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CHRONIC MOTOR TIC DISORDER AND TOURETTE'S DISORDER)

  • 신민섭;김자성;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133-141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만성 운동성 틱 장애와 뚜레뜨 장애가 같은 원인을 갖는 동일한 스펙트럼상의 장애인지, 아니면 표면적인 증상은 유사하지만 기저의 원인은 다른 별개의 장애인지를 규명하고자, 만성 운동성 틱 장애와 뚜레뜨 장애 집단이 심리검사 반응상에서 서로 구분되는 특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서울대학병원 소아정신과를 내원한 6세 이상 13세 이하와 환아들 중에서 소아정신과 의사에 의해 만성 운동성 틱 장애와 뚜레뜨 장애로 진단을 받았던 환아들(틱 집단 : N=29 ; 뚜레뜨 집단, N=10)이 본 연구에서 포함되었다. 두 집단의 심리 검사 반응 특성을 비교한 결과, 뚜레뜨 장애가 만성 운동성 틱 장애보다 더 신경학적인 문제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뚜레뜨 장애 아동들이 만성 운동성 틱 장애 아동들보다 사회적 적응에 더 어려움이 있고, 정서적인 영향에 더 취약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만성 운동성 틱 장애보다 뚜레뜨 장애에 신경학적 요인, 불안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정서적 요인, 그리고 기질적인 요인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더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뚜레뜨 장애와 주의력결핍 과잉활동 장애간의 공통병리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PDF

도시 중년 남성의 스트레스 정도와 식습관 및 웰빙 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ess, Food Habits and Well-Being Related Attitudes in Urban Middle-Aged Men)

  • 명춘옥;남혜원;박영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7-168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regarding health care services for middle-aged men, via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 level, food habits and well-being-related attitudes with social-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facto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48.7{\pm}5.2$. With regard to health status, 18.8% of the participants were diagnosed with digestive diseases within the past year. Stress levels were higher in the participants with lower levels of educational attainment. Furthermore, participants who had become divorced or lived separately from their families, participants who did not have their own houses, and participants who reported low marital satisfaction also had high levels of stress. Our food habits scores revealed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study subjects, and were shown to vary with marital satisfaction, occupation, and residence type. In terms of both the importance and practice level of well-being-associated food habits, the most frequent response in this study was 'Consume home-made food rather than processed or ready-to-eat food' ($4.30{\pm}0.86$, $3.68{\pm}1.04$). In terms of importance level, the factors most relevant to well-being in terms of food habits were education level, marital satisfaction, residence type, self-assessed health status, smoking, drinking, regular exercises and leisure activities. With regard to practice levels, the degree to which subjects engaged in food habits targeted toward well-being differed meaningfully depending on marital status, marital satisfaction, residence type, family type, self-assessed health status, smoking, drinking,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regular exercises and leisure activities.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stress level, food habit score and the attitude towards well-being-related dietary habits (importance and practice level), we observed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factors at the level of p<0.001.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continuous attention to health, including the appropriate control of smoking and drinking, as well as, stress management, via regular exercises and appropriate food habits is expected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evention of disease, and is also expect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all well-being-associated items, the importance level was shown to be higher than the practice level. Thus, in order to foster health-oriented food habits, we recommend that a new plan be designed, targeted toward ease of active practice for middle-aged men.

  • PDF

변단면 압출추진코와 ILM 교량 상부단면의 상호작용 해석 (Interaction Analysis between Tapered Sectional Launching Nose and Superstructure Section of ILM Concrete Bridge)

  • 이환우;정두회;안태욱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39-150
    • /
    • 2006
  •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교량공법은 품질확보에 효과적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공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교량의 상부단면은 시공 중에 지간의 중앙부와 지점부에 일시적이나마 모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단면들은 자중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 정 모멘트와 최대 부 모멘트, 그리고 최대 전단력을 모두 경험하게 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압출하는 동안 발생하는 높은 일시적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압출추진코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부단면에 발생하는 이 일시적인 응력의 크기는 압출추진코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압출 중 상부단면에 발생하는 단면력의 크기를 쉽고, 빠르게 검토할 수 있는 해석식을 유도하였다. 개발된 해석식에서 고려할 수 있는 매개변수로는 압출추진코와 상부단면과의 지간 길이비와 중량비 그리고 강성비를 택하였다 특히, 개발된 해석식에서는 변단면인 압출추진코의 단면형상과 다이아플램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설계변수들에 대한 민감도 해석을 통하여 압출추진코와 상부단면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매개변수들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로짓분석을 통한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의 위험예측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isk Predict Method and Government Funds Supporting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최창열;함형범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8권3호
    • /
    • pp.1-2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정책자금을 지원받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위험 예측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책자금을 지원하는 기관 입장에서는 대상기업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것은 자산의 건전한 운용을 위해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리스크 예측 방법은 J.P.Morgon의 CreditMetrics를 이용한 보증기관의 경제자본 측정과 신용자산배분, 극단적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는 스트레스 테스팅(stress testing)기법, 판별 분석 모형, 로짓분석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로짓분석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용을 위해 정책자금 지원 기관에 대한 부실위험을 살펴본다. 분석을 위해 먼저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와 최근 기업도산의 상황을 감안하여 14개의 재무지표를 선정한 다음 수행한 로짓회귀분석의 결과 추정계수로 로짓반응함수와 로지스틱 반응함수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정상기업/도산기업에 있어서 자기자본대타인자본비율, 매출액경상이익율, 총자산영업이익율, 총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만이 도산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변수로 선택되었다. 이는 재무비율 상호간의 높은 상호간 관계로 인하여 다수의 재무비율이 지닌 정보의 대부분이 소수의 재무비율에 의하여 파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부실기업/도산기업의 구분에 있어서는 모든 비율이 두 그룹을 구분 짓는데 설명력이 높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총자산이익잉여금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도산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두 그룹 모두에서 보여주고 있으며 회귀계수의 유의수준도 가장 높다. 금융비용부담율 또한 그 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도산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순운전자본비율, 자기자본비율, 매출액순이익율, 총자산영업이익율, 총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은 도산기능성에 기대된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탈인산화된 NPr에 의한 대장균의 섬유상 생장 (Filamentous growth of Escherichia coli by dephosphorylated NPr)

  • 최엄지;석영재;이창로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49-155
    • /
    • 2017
  • 대부분의 Proteobacteria에 존재하는 질소 인산전달계는 다양한 세포내 조절에 관여하는 cascade이다. 이들은 ptsP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EI^{Ntr}$, ptsO에 의해 암호화되는 NPr, ptsN에 의해 암호화되는 $EIIA^{Ntr}$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EIIA^{Ntr}$$K^+$ 농도 조절, ppGpp 농도 조절, 질소와 탄소 대사, ABC transporter의 조절 등 다양한 세포내 조절과정에 관여하지만, NPr의 생리적 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최근의 한 논문은 대장균에서 탈인산화된 NPr이 세포막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NPr과 관련된 새로운 표현형을 제공한다. ptsP 유전자가 결손된 균주는 filamentation 표현형을 나타내었다. ptsP 결손균주의 이런 표현형은 ptsO 유전자의 추가적인 결실에 의해 사라졌지만, ptsN 유전자의 추가적 소실에 의해서는 유지되었다. 이는 ptsP 결손균주의 filamentation 표현형이 탈인산화된 NPr의 증가 때문에 나타났음을 나타낸다. 이런 생각은 야생종에서 탈인산화된 NPr이 증가되었을 때 filamentation 표현형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통해 확증되었다. 또한 탈인산화된 NPr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대장균의 세포 길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탈인산화된 NPr이 대장균의 형태적 변화를 유도함을 시사한다.

유산소 운동과 부추섭취가 혈중지질,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Allium Tuberosum Intake on Blood Lipids, MDA and Antioxidant Enzyme in Rats)

  • 백영호;이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5-252
    • /
    • 2010
  • 실험동물은 생후 4주령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30마리로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6마리), 유산소운동군(6마리), 부추섭취군(6마리), 대조군(6마리)으로 총 24마리로 구분하였다. 운동은 총 2주간 트레드밀로 실시하였으며, 유산소 운동은 주5회, 1일 25~30분 실시하였다. 부추는 5%를 첨가한 사료를 섭취시킨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혈중지질에서 TC와 TG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DL-C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 유산소운동군,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LDL-C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 보다 낮았다. MDA는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낮았다. 항산화 효소에서 SOD의 활성도는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CAT의 활성도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낮은 강도의 유산소 운동과 천연 항산화제인 부추섭취는 지질과산화물을 낮춤으로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부추섭취와 관련하여 운동강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