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테롤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초

벼 HMG-CoA 환원효소의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a Microsomal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in Rice Seedling)

  • 김제현;백융기;김종범;김종국;황영수;하선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47-52
    • /
    • 1998
  •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HMG-CoA) 환원효소는 식물의 병원균 방어물질 (phytoalexin), 광합성 색소 (the phytol of chlorophyll), 성장 호르몬 (abscisic acid와 gibberellin 등) 및 스테롤 (phytosterol) 등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주효소이다. 암조건 하에서 발아 후 4일째의 벼 유묘 microsome을 재료로 비이온성 detergent 인 Brij W-1 (final 0.4%)을 사용하여 가용화 시킨 후, DEAE-Sephadex A-50 크로마토그래피 칼럼과 hexaneagarose를 matrix로 기질인 HMG-CoA를 결합시켜 제조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이용하여 세포막 결합효소인 HMG-CoA 환원효소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HMG-CoA 환원효소의 최종 회수율은 7.14% 였고, 분자량은 10% SDS-PAGE에서 55 kDa이였다 HMG-CoA 환원효소의 최적 반응 온도는 $37^{\circ}C$, 최적 반응 pH는 6.9였고, 기질인 HMG- CoA에 대한 HMG-CoA 환원효소의 $K_m$$V_{max}$ 값은 $180\;{\mu}M$과 107 pmol/mg, 수소공여체인 NADPH에 대한 $K_m$$V_{max}$값은 $810\;{\mu}M$과 32.1 pmol/min/mg이였다.

  • PDF

단백질 종류와 급여수준이 흰쥐의 혈중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tein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a Rats)

  • 김명주;이미경;장주연;김대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46-253
    • /
    • 1997
  • 단백질의 종류 및 급여수준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학자 1% 콜레스테롤과 0.25%의 콜산나트륨을 첨가하여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유도토록 조제한 실험식이에 대두단백질과 카제인의 공급수준을 달리하여 급여하고 혈청내 지질대사를 관찰하였다. 혈중 총지질 함량은 콜레스테롤 투여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단백질 급여로 증가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두단백질이 더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콜레스테롤 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단백질 급여로 증가가 억제되었으며, 단백질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고 인지질 함량은 콜레스테롤 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유리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골레스테롤 투여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카제인 급여군에 비해 대두단백 급여시 유의적으로 증가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VLDL-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콜레스테롤 투여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단백질 급여 수준이 증가할수록 그 증가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콜레스테롤 투여로 인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대두단백질이 카제인에 비해 감소 정도가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단백질의 종류와 급원이 지질함량에 영향을 미치므로써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예방·치료하기 위하여 단백 급여, 특히 대두단백 급여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을 사료된다.

  • PDF

동충하초 균사체가 흰쥐의 성장률, 지질대사 및 단백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ycelium of Cordyceps militaris on Growth, Lipid Metabolism and Protein Levels in Male Rats)

  • 고진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85-690
    • /
    • 2002
  • 인공 재배한 동충하초 밀리타리스의 균사체가 성장기 흰쥐의 영양 생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생후 5주령된 흰쥐를 대상으로 실험군은 대조식이군, 대조식이에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각각 2%, 3% 및 4% 첨가한 식이군(균사체군) 등 4군으로 나누고, 각 실험식이로 5주간 사육한 후 여러 영양생리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성장률, 식이효율, 식이섭취량 및 각 장기의 무게는 2%, 3% 및 4% 균사체군은 대조군과 비슷하여 균사체 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간의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농도는 각 수준별 균사체군은 대조군과 비슷하였으나, 간의 총 지질 및 중성지질 농도는 3%와 4% 균사체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의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동충하초균사체가 혈청의 지질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 혈청의 HDL-졸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율은 대조군과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비슷하였다. 혈청의 총 단백질, 알부민, creatinine및 혈색소 농도와 GPT, ${\gamma}$-GTP 및 ALP 등의 효소활성은 각 수준별 균사체군과 대조군이 비슷하여 동충하초 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GOT및 LDH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혈청의 요소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폐경 후 한국 여성에서 이눌린 보충이 혈중 지질 농도와 변 담즙산 및 중성 스테롤 배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ulin Supplementation on Blood Lipid Levels, and Fecal Excretion of Bile Acid and Neutral Sterol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이은영;김윤영;장기효;강순아;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5호
    • /
    • pp.352-363
    • /
    • 2004
  • Lipid-lowering effects of the inulin have been demonstrated in animal, yet attempts to reproduce similar effects in humans have generated conflicting results. In this study, the lipid-lowering potential of inulin and especially its effect on bile acid and neutral sterol excretion were investigated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Nineteen postmenopausal wom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in a double-blind parallel design and consumed one of two supplements for 12 weeks; placebo of 8g maltodextrins/sucrose mixture (placebo group) or 8g inulin (inuli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ody weight during the supplementation period in either inulin or placebo group. Dietary consumption of animal fat in both group tended to decrease after 12 weeks of experiment. Intake of cholesterol was lower in placebo group, whereas the decrease of cholesterol intake in inulin group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12 weeks. The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TC) and LDL-cholesterol (LDL-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placebo (p<0.05) and inulin group (p<0.01) after supplementation for 12 weeks compared with the baseline.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TG) and HDL-cholesterol (HDL-C)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inulin supplements, but atherogenic index (AI) and LDL-C/HDL-C ratio (LHR) as a predi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were improved (p<0.01) significantly after inulin supplementation. Therefore, inulin supplement may de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via improving blood cholesterol level. Fecal weight and pH were not changed after 12 weeks of supplement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for the fecal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In inulin group, fecal deoxycholic acid (DCA) was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with the baseline (p<0.05) whereas other bile acids were not changed. During the 12 weeks of interven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fecal excretion of neutral sterol in the two groups. In summary, dietary inulin decreases serum TC, LDL-C, AI, LHR and lowers excretion of fecal DCA in the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se results support the use of inulin for reducing risk factors for hyperlipidemic postmenopausal women. However, the exact mechanism (s) responsible for the blood lipid lowering action of inulin including altered fecal bile acid remain to be elucidated.

춘천 중도 유적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토기 탄착물에 대한 화학적 분석 (Organic Analysis of Charred Residues on the Pottery in the Proto-Three Kingdom from Joong-do Site, Chuncheon)

  • 강소영;지상현;김윤지;장홍선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37-444
    • /
    • 2013
  • 춘천 중도 유적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경질무문토기 내부의 탄화된 물질에 대한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과 퓨리에변환적외선분광분석을 이용하여 부착물에서 유래한 유기물의 정성분석을 수행한 결과, 지방산, 스테롤 등 지방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부착물을 구성하고 있는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평균 $-14.7{\pm}2.8$‰ (-8.7‰~-18.4‰, n=9),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평균 $6.2{\pm}1.1$‰(-4.4‰~-7.6‰, n=9)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부착물이 조리된 음식물에서 유래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조리용 토기 내 탄화된 잔존물 분석에 적용한 국내 첫 사례로서 당시의 토기 용도와 식생활 습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콜레스테롤 랫드에서 파리유충 추출물의 혈액지질 감소기전 (Extracts of Housefly Maggot Reduces Blood Cholesterol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박병성;박상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1-112
    • /
    • 2014
  • 본 연구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파리유충 에탄올추출물(Ethanolic extract of fly maggot, EM)의 경구투여가 혈액 지질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rague-Dawley 수컷 랫드를 이용하여 4 처리구(EM 투여량; 대조군=0, 5.0, 7.0, 9.0 mg/100 g 체중)로 구분해서 6주 동안 진행하였다. EM 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청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C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HMG-CoA reductase activity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EM 투여군에서 낮았으나 총스테롤, 중성스테롤 및 담즙산 배설량은 EM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EM의 혈액 콜레스테롤 감소와 관련한 생물학적 작용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유도된 생체유전자 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s (SREBPs) 및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alpha}$) 발현을 측정하였다. EM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공급받은 랫드의 간에서 SREBP-$1{\alpha}$, SREBP-2 mRNA 발현을 억압함과 동시에 $PPAR{\alpha}$ mRNA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파리유충 에탄올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지질대사와 관련한 생화학적 매개변수 및 유전자발현 조절을 통하여 혈액 콜레스테롤을 낮춘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산림자원에서 추출한 유지자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검토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pids Extracted from Forest Resources)

  • 김미소;박준형;임호정;김다솜;김회성;이경태;박용배;신의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29-5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림자원에서 추출한 유지자원의 이용에 대한 잠재력을 확인하고자 지용성 영양성분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이화학적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영양성분의 경우 높은 불포화 지방의 비율(>80%)을 보였고, 지용성 비타민인 tocopherols과 식물성 스테롤인 phytosterol의 다양한 함량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화학적인 특성을 볼 때 1차 산화생성물인 산가와 과산화물가의 값은 안정적인 값이었으며, 2차 산화생성물의 지표인 p-anisidine value의 값을 확인하였다. 갈변도와 색도의 경우 유지 자체의 색도를 포함한 값으로 인해 신선도를 판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색도에 대한 정보를 통해 적용 분야를 적용할 수 있는 근거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산화안정성의 지표인 산소유도기간에서도 불포화지방산과 지용성 항산화제인 ${\alpha}$-T의 함량에 따른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인 결과를 산림유지 자원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다고 판단된다.

통일계(統一系) 및 일반계(一般系) 쌀겨의 지질(脂質) 성분(成分) (Lipid Components of Rice Bran of Tongil and Japonica Type Varieties)

  • 안태회;이종욱;김동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2-200
    • /
    • 1984
  • 통일계(統一系)(풍산)와 일반계(一般系)(동진)의 쌀겨로부터 추출한 지질(脂質)의 조성(組成)을 관, 박충,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었다. 쌀겨의 전지질(全指質) 함량은 일반계(一般系)가 16. 13%, 일반계(一般系)가 16.97%였고 통일계(統一系)의 중성지질(中性脂質)은 75.20%로 일반계(一般系)의 73.69%보다 약간 높았고 당지질(塘脂質) 함량은 통일RP(統一系)에 16.71%로 일반계(一般系)의 22.80% 보다 월등하게 낮았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은 트리 -글리세리드, 더 글리세리드, 에스테르화 스테롤이 주성분이었고 당지질(糖指質)분 에스테르화 스테릴글리코시드가 가장 많았으며 그외 다른 구성 당지질은 미량성분이었다. 인지질은 포스파티딜 에타놀아민,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이노시톨이 주요성분 이었다. 전지질(全脂質)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이 주요성분이었다.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에서 올레산의 함량은 통일계(統一系) (43.84%)가 일반계(一般系) (40.33%)보다 높은 반면 리놀레산의 함량은 통일계(統一系) (34.64%)가 일반계 (38.99%)보다 낮았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지방산 조성은 전지질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였고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리놀레산이 올레산보다 많았으며 에스테르화 스테릴글리코시드에는 특이하게 팔미트산이 많았다.

  • PDF

다양한 살균제의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 (In Vivo Antifungal Activities of Various Fungicides against Plamodiophora brassicae)

  • 장경수;김진철;임희경;조광연;최경자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22-428
    • /
    • 2005
  • 배추 유묘를 Plasmodiophora brassicae 오염토에 이식하고 약제 용액을 폿트(35 $cm^2$)에 관주처리 하는 방법으로 기존 살균제 44종의 배추 뿌리혹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험하였다. 뿌리혹병 방제용 살균제인 fluazinam, flusulfamide 및 cyazofamid는 폿트 당 0.63 mg 처리구에서 모두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난균류 병해 살균제인 ethaboxam과 cymoxanil은 폿트 당 5 mg 처리 시에 배추 뿌리혹병을 완전히 방제하였다. 그러나 cymoxanil은 고농도 처리에서 배추에 심한 약해를 유발하였다. 잿빛곰팡이병 방제용 살균제인 dichlofluanid와 procymidone도 폿트 당 2.5 mg 처리 시에 배추 뿌리혹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였다. 광범위살균제인 chlorothalonil, quintozene과 trichlamide도 2.5 mg 처리 시에 각각 85%, 100%, 100%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는 대부분 배추 뿌리혹병에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나, 이들은 배추 유묘의 생육을 억제하는 약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선발된 7종 살균제의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를 비교하여 실험한 결과, 이들 중 ethaboxam은 가장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fenarimol, pocymidone, nuarimol, chlorothalonil 순으로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들기름과 미강유 혼합 식용유의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 및 식물성 스테롤 및 산화안전성 측정 (Fatty Acid Composition, Contents of Tocopherols and Phytosterols, and Oxidative Stability of Mixed Edible Oil of Perilla Seed and Rice Bran Oil)

  • 이미진;조문구;오석흥;오찬호;최동성;우자원;박기홍;정문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65
    • /
    • 2014
  • 들기름 및 미강유를 베이스로 개발한 혼합 식용유는 오메가-3 지방산인 리놀렌산 함량이 약 20% 정도로 매우 높다. 이는 기존의 일반 식용유 중 오메가-3 지방 함량이 매우 높은 콩기름과 카놀라유의 리놀렌산 함량이 각각 6% 및 10% 내외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 식용유에 비하여 새로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는 2~3배 높은 비율로 오메가-3 지방산을 제공할 수 있어서,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부족한 현대인의 식단에서 중요한 오메가-3 지방산 급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토코페롤 함량도 약 46.77 mg/100 g oil 정도인데, 가장 주목할 일은 토코페롤 동족류 중 비타민 E의 활성이 가장 강한 알파-토코페롤(31.71 mg/100 g oil)이 가장 많이 존재하여, 총 토코페롤의 64%를 차지하고 있어서 비타민 E로서의 기능이 높다.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기능성이 알려진 파이토스테롤 함량이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에 약 7,200 ppm 함유되어 있어, 일반적인 식용유의 3,000 ppm의 약 2.3배에 달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는 일반적인 식용유인 콩기름과 거의 유사한 산화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일반 들기름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산화안정성이 확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