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케일 지수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Nonlocal elasticity effects on free vibration properties of sigmoid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nano-scale plates (S형상 점진기능재료 나노-스케일 판의 자유진동 특성에 미치는 비국소 탄성 효과)

  • Kim, Woo-Jung;Lee, Won-Hong;Park, Weon-Tae;Han, Sung-Ch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2
    • /
    • pp.1109-1117
    • /
    • 2014
  • We study free vibration analysis of sigmoid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S-FGM) nano-scale plates, using a nonlocal elasticity theory of Eringen in this paper. This theory has ability to capture the both small scale effects and sigmoid function in terms of the volume fraction of the constituents for material properties through the plate thickness. Numerical solutions of S-FGM nano-scale plate are presented using this theory to illustrate the effect of nonlocal theory on natural frequency of the S-FGM nano-scale plates. The relations between nonlocal and local theories are discussed by numerical results. Further, effects of (i) power law index (ii) nonlocal parameters, (iii) elastic modulus ratio and (iv) thickness and aspect ratios on nondimensional frequencies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validate the present solutions, the reference solutions are compared and discussed. The results of S-FGM nano-scale plates using the nonlocal theory may be the benchmark test for the free vibration analysis.

Damage Detecion of CFRP-Laminated Concrete based on a Continuous Self-Sensing Technology (셀프센싱 상시계측 기반 CFRP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검색)

  • Kim, Young-Jin;Park, Seung-Hee;Jin, Kyu-Nam;Lee, Chang-Gil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4
    • /
    • pp.407-413
    • /
    • 2011
  • This paper reports a nove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technique for detecting de-bonding between a concrete beam and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heet that is attached to the concrete surface. To achieve this, a multi-scale actuated sensing system with a self-sensing circuit using piezoelectric active sensors is applied to the CFRP laminated concrete beam structure. In this self-sensing based multi-scale actuated sensing, one scale provides a wide frequency-band structural response from the self-sensed impedance measurements and the other scale provides a specific frequency-induced structural wavelet response from the self-sensed guided wave measurement. To quantify the de-bonding levels, the supervised learning-based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was implemented by composing a two-dimensional (2D) plane using the damage indices extracted from the impedance and guided wave features.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 Kim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s.110
    • /
    • pp.1-17
    • /
    • 2005
  •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 경관 변화, 산림 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산림이 높은 생물 다양성 가치를 갖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산림 손실과 단편화는 생태관점에서 보면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영향 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 영향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시각 경관 영향 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특히 현재 경관 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 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 경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 특성과 생물 다양성 가치 평가를 위한 생태 이질성 지수를 결합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론을 통해 경관 특성 평가에서 12가지 경관 특성 유형(type)을 분류하였고 그것의 분포, 경관 특성적 형태, 경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 압력 등을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과 산업 단지 개발, 농지 형질 패턴 변경, 수변 공간 개발 등이 주요 개발 압력으로 나타났다. 경관 생태 이질성 평가 결과에서는 도시근교 지역과 농촌 경관 특성 유형 지역에서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높았다. 산림 지역 경관 특성 유형에서는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중간 수치로 나온 반면 도시 경관 특성 유형에서의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는 아주 낮았다. 비록 제한된 데이터와 경관 생태 이질성 지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스케일 종속적, 변화 패턴이 예측하기 힘든 지수, 자의적인 분류시 다른 결과 발생, 더 종합적인 생물 다양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다른 경관 생태 지수 필요 등)이 제기되었지만, 이 연구에서 제시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통해 얻은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할 때 어떻게 잘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예로써 증명하였다. 그 결과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이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evelopment of Seawater Intrusion Vulnerability Index Using AHP (계층화 분석기법을 이용한 해수침투 취약성지수 개발)

  • Yang, Jeong-Seok;Kim, Il-H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3
    • /
    • pp.557-565
    • /
    • 2015
  • Sea level rise due to global warming causes seawater intrusion into aquifers in coastal areas. Seawater intrusion vulnerability index was developed using PSR (Pressure, State, Response) model and analysis hierarchy process (AHP). Coastal regions in Korea, Gangwon-do Sokcho-si, Incheon-si Ganghwa-gun, Chungcheongnam-do Taean-gun, Jeollanam-do Yeosu-si, Jindo-gun were chosen and 14 indicator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humanities, economic, social, environmental aspects. Re-scaling method was us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indices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calculate weight values for each index. The results showed that Yeosu-si was selected as the most vulnerable region to seawater intrusion. The seawater intrusion index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analyze the vulnerable regions to seawater intrusion and to establish a policy to minimize the seawater intrusion problems in coastal regions.

Influence of Grid Cell Size and Flow Routing Algorithm on Soil-Landform Modeling (수치고도모델의 격자크기와 유수흐름 알고리듬의 선택이 토양경관 모델링에 미치는 영향)

  • Park, S.J.;Ruecker, G.R.;Agyare, W.A.;Akramhanov, A.;Kim, D.;Vlek, P.L.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4 no.2
    • /
    • pp.122-145
    • /
    • 2009
  • Terrain parameters calculated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DEM)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current spatially distributed models of earth surface processes.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 ability of upslope area for predic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properties varies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spatial resolutions of DEM and algorithms. Four soil attributes from eight soil-terrain data sets collected from different environments were used. Five different methods of calculating upslope area were first compared for their dependency on different grid sizes of DEM. Multiple flow algorithms produced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most soil attributes and the lowest variations amongst different DEM resolutions and soil attributes. Th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remained unchanged at resolutions from 15 m to 50 m. Considering decreasing topographical details with increasing grid size, we suggest that the size of 15-30 m may be most suitable for soil-landscape analysis purposes in our study areas.

Multivariate Drought Assessment Using Composite Drought Index (CDI(Composite Drought Index)를 이용한 다변수 가뭄 평가)

  • Yu, Ji Soo;Wassem, Muhammad;Kim, Tae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3-603
    • /
    • 2015
  • 모든 외재적 형식의 가뭄을 모니터링하고 예측 및 평가하기 위해서는 가뭄지수가 필수적 요소로써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가뭄지수는 단일지수(single index), 다중지수(multiple index), 복합지수(composite index)로 분류되며 대부분 강수량, 유출량, 토양 수분량 등과 같은 하나의 변수만을 사용하는 단일지수이다. 가뭄지수는 가뭄평가에 있어서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하나의 변수를 사용하는 가뭄지수는 계산이 간편하지만 가뭄의 물리적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가뭄평가에 충분하지 않다. CDI(Composite Drought Index)는 PDSI(Palmer Drought Index), ADI(Aggregate Drought Index), SWSI(Surface Water Supply Index)와 같은 다중지수의 개념을 착안하여 고안되었으며, 모든 가뭄 형태(농업적 수문학적 기상학적)와 관련된 강우량, 유출량, 정규식생지수(NDVI)를 변수로써 사용하였다. NDVI는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에서 제공하는 16일 간격의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되었고 이와 시간 스케일을 맞추기 위해 나머지 두 변수 또한 16일 시계열을 사용하였다. CDI는 (1)각 변수들의 시계열을 행렬로 나타내고 (2)이것을 정규화하여 무차원 행렬로 변환한 후 (3)연구 지역의 최고습윤상태(most wet condition) 및 최고건조상태(most dry condition)의 차이값을 기반으로 하여 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다른 유역에 비해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으며 농경지와 산림지역 비율이 높은 낙동강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설정하였으며, 2001-2013년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 기간 중 실제 발생했던 가뭄을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DI는 다양한 변수의 활용으로 가뭄의 물리적 특성의 반영이 가능하며 연구 지역의 기상 조건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결과를 나타낸다. 자료의 가용성에 따라 적용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으나 입력값으로 사용된 변수와 시계열을 편의와 효율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CDI는 농업적, 수문학적, 기상학적 가뭄의 모든 관점을 통합하는 실용적 가뭄지수로써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

  • PDF

Fuzzy Control of Distturbance-added Servo System Using Modified Windowing Technique (수정 윈도잉 기법을 이용한 외란부가 서보 시스템의 퍼지 제어)

  • 이오걸;노중화;이준탁;우정인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7 no.12
    • /
    • pp.1475-1483
    • /
    • 1992
  • In this paper, a Fuzzy control approach of disturbance added servo system using MWT(modified windowing technique) was proposed. Because conventional windowing techniques adjust stepwisely a series of scale factors, even small disturbances make system unstable. But the proposed MWT adjusts exponentially. Therefore a servo system which applied this technique had coped excellenlty with internal and external disturbances, and also had decreased substantially steady-state deviation.

  • PDF

Analysis of Promising Country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Using Delphi Method (Delphi 기법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플랜트 유망 국가 분석)

  • Yang, Jeong-Seok;Kim, Il-H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6
    • /
    • pp.2351-2357
    • /
    • 2013
  • An index was developed for analyzing the promising countries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and related data se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ach indicators was standardized by scale readjustment method and Delphi method was used to calculate the weights for indicators from questionnaire survey by experts in seawater desalination plant field. Twenty three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indicator groups. Eleven countries (Saudi Arabia, UAE, Kuwait, Iran, Qatar, China, Singapore, India, Algeria, Turkey, United States) were selected considering present data availability and index for each country was calculated. The results show United States and China took the first (0.537) and second (0.490) place for the most promising country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However it will not be easy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markets because of present seawater desalination technology level and national policy, etc. Saudi Arabia took the third (0.329) place and other countries which has more than 0.2 index value can be considered as a promising countries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We can establish a strategy to export our seawater desalination technology and plant u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developed index can be applied to other countri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is study, when their data is availabl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rrelation of hydraulic mean radius and hydrodispersive parameters in rockfill porous media (자갈 다공성매질에서 수리평균반경과 수리분산 매개변수의 상관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an, Ilyeong;Lee, Jaejoung;Kim, Gyoo Bu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1
    • /
    • pp.863-873
    • /
    • 2021
  • The mechanical dispersion which dominates solute transport in porous media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flow velocity within pores. Longitudinal dispersion coefficient and longitudinal dispersivity that are hydro-dispersive parameters of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can only be obtained by experiment. Hydraulic mean radius that represents the amount and intensity of flowing water within pores can be obtained by the formula using the factors for physical properties. A slug injection test was conducted and a power type empirical formula for obtaining a longitudinal dispersivity using a hydraulic mean radius in rockfill porous media was deriv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longitudinal dispersivity depending on transport distance because it contains a formula for a scale constant, and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waterways filled with homogeneous gravel and small flow rate.

Assessment of evapotranspiration for Chungju dam watershed using SWAT-K simulation (SWAT-K 모의치를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증발산량 평가)

  • Kim, Nam-Won;Lee,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5-385
    • /
    • 2011
  • 유역 스케일의 실제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관측 강우량과 유출량의 관계로부터 증발산량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물수지(water balance)법, 증발력과 토양수분량의 변화량 (soil moisture accounting)을 고려한 유역 수문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 잠재 증발산량과 실제 증발산량간 보완관계식(complementary relationship)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물수지법은 관측치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유역 저류량의 변화를 무시하기 때문에 연 단위와 같이 긴 시간 스케일에 적용 가능하고 작은 시간 스케일에는 적용성이 떨어진다. 유역 수문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은 기상, 토양 및 식물 조건을 모두 고려하는 방법으로 유역의 불균질성을 반영할 수 있고 일 단위 등의 비교적 작은 시간 스케일에 대해서도 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수많은 입력자료가 필요하며 간접적인 추정 방식이기 때문에 모형의 정확한 검증과 상당한 숙련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잠재 증발산량과 실제 증발산량간 보완관계식을 이용하는 방법은 토양이나 식물 등의 지표면 조건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지 기상자료만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적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잠재 및 실제 증발산량간의 보완피드벡 매카니즘이 존재한다는 가정이 수반되어 있어 적용시 이를 입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 처럼 각기 장단점을 가진 여러 방법으로 증발산량을 산정하고 있지만, 각 방법 간의 연결고리를 맺는 연구는 심도 있게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 언급한 증발산량 산정 방법 중 보완관계식을 이용하는 방법과 유역수문모형에 의한 방법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충주댐 상류유역에 대해서 SWAT-K에 의한 증발산량 모의치가 보완관계식을 따르는 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모의기간동안 계산된 잠재 및 실제 증발산량을 습윤지수(humidity index)에 따라 함께 도시해본 결과, 연 단위의 경우에는 건조할수록 잠재 증발산량은 점차 커지고 실제 증발산량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보완관계가 성립하였고, 월 단위 경우에는 강우에 비해서 비교적 증발산량이 큰 5, 6월에 가장 명확한 관계가 보여 늦은 봄과 초여름에 보완적 관계가 뚜렷하게 발생하는 반면에 동절기에는 보완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분석 단위기간별로 보완관계의 성립여부를 판별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