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케일러빌리티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Fast Block Mode Decision of Spatial Enhancement Layer using Interlayer Motion Vector Estimation in Scalable Video Coding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에서 공간 계층간 움직임 벡터 예측를 이용한 고속 모드 결정)

  • Lee, Bum-Shik;Kim, Mun-Chul;Hahm, Sang-Jin;Lee, Keun-Sik;Park, Ch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2a
    • /
    • pp.13-17
    • /
    • 2007
  •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VC, Scalable Video Coding)은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과 VCEG (Video Coding Expert Group)의 JVT(Joint VIdeo Team)에 의해 현재 표준화 되고 있는 새로운 압축 표준 기술이며 시간, 공간 및 화질의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하기 위해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를 위해 기본 계층으로부터 텍스처, 움직임 그리고 잔차신호 정보를 예측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고효율의 압축효과를 얻기 위해 기존의 방식에서는 기본계층에서 얻은 세가지 정보이외에 현재 향상 계층에서 자체적으로 얻은 부호화 정보를 비교하여 최소의 RD(Rate Distortion) 비용을 가지는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향상 계층에서 인터 모드 결정 시 $16\times16,\;16\times8,\;8\times16,\;8\times8,\;4\times4,\;4\times8,\;4\times4$ 블록 모드에 대한 움직임 벡터 예측 및 보상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향상 계층에서의 부호화 복잡도는 기본 계층에 비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계층에서 예측한 움직임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항상 계층에서 모드 결정을 고속화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본 계층에서 예측한 블록모드 중에서 큰 블록인 $16\times16$ 블록에서 움직임 벡터가 (0, 0) 일 경우에 대하여 향상 계층에서는 $16\times16$매크로 블록에 대해서만 움직임 예측 및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향상 계층에서 움직임 모드 결정을 조기에 완료하게 된다. 이것은 하위 공간 계층에서 예측한 움직임 벡터 정보가 아주 작을 때는 큰 블록 크기로 모드로 결정되는 일반적인 원리를 이용한 것이고 이 제안 방법을 이용하였을 경우 향상계층에의 모드 결정과정을 고속화함으로써 전체 스케일러빌 비디오 부호하기의 연산량 및 복잡도를 최대 70%까지 감소 시켰다. 그러나 연산량 감소에 따른 비트율의 증가와 화질 열화는 각각 최대 1.32%와 최대 0.11dB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음을 확인 하였다.

  • PDF

HEVC 기반 스케일러블 비디오 압축을 위한 보간 필터

  • Kim, Gyeong-Hye;Nam, Jeong-Hak;Sim, D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167-169
    • /
    • 2012
  • 스케일러블 비디오 압축 기술 중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 기술에는 계층 간의 예측을 위해서 참조 계층의 영상을 향상 계층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하는 영상 보간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기반의 스케일러블 비디오 압축을 위하여 새로운 영상 보간 필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보간 필터는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수식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하위 계층의 텍스처를 1.5 배로 보간할 때 사용된다. 제안하는 보간 필터를 적용하여 계층 간 예측을 수행할 결과, simulcast 로 부호화 한 것 대비 BD-bitrate 를 약 52.8% 감소시켰고, BD-PSNR 을 약 1.87dB 증가시켰다.

  • PDF

Density Scalability of Video Based Point Cloud Compression by Using SHVC Codec (SHVC 비디오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밀도 스케일러빌리티 방안)

  • Hwang, Yonghae;Kim, Junsik;Kim, Kyuhe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5 no.5
    • /
    • pp.709-722
    • /
    • 2020
  • Point Cloud which is a cluster of numerous points can express 3D object beyond the 2D plane. Each point contains 3D coordinate and color data basically, reflectance or etc. additionally. Point Cloud demand research and development much higher effective compression technology. Video-based Point Cloud Compression (V-PCC) technology in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based on the established video codec. Despite its high effective compression technology, point cloud service will be limited by terminal spec and network conditions. 2D video had the same problems. To remedy this kind of problem, 2D video is using Scalable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SHVC),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or diverse technology. This paper proposed a density scalability method using SHVC codec in V-PCC.

Stereoscopic Image Compression and Transmission Using Disparity Information and MPEG-2′s Scalability (시차정보와 MPEG-2의 스케일러빌리티를 이용한 입체영상 압축 및 전송)

  • 민재홍;백중환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 no.2
    • /
    • pp.20-27
    • /
    • 2001
  • 3D image coding and transmission technologies are essential for transmitting 3D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limited transmission channel, and very important in the area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s using 3D image media.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3D image coding and transmission methods welch use disparity information and MPEG-2's scalability. Left and Fight image sequences are coded in base layer and enhancement layer, respectively. The enhancement layer contains the disparity and prediction informations. In order to reduce searching time for disparity information, we propose a method in which the disparity information of previous image paid is used in the next image pair, and we adopt the bit rate control method proposed in MPEG-2 TM6. An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the proposed searching method considerably reduced the entire encoding time and reached the desired bit rates.

  • PDF

Automatic RTP Time-stamping Method for SVC Video Transmission (SVC 비디오 전송을 위한 RTP 타임스탬프 자동 생성 방법)

  • Seo, Kwang-Deok;Jung, Soon-Heung;Kim, Jae-Gon;Yoo, Jeong-Ju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6C
    • /
    • pp.471-479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lgorithm to automatically generate an RTP timestamp value that is required for the RTP packetization in order to transmit SVC video over various If networks such as Internet. Unlike the conventional single layer coding algorithms such as H.263, MPEG-4 and H.264, SVC generates a multi-layered single bitstream which is composed of a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in order to simultaneously provide temporal, spatial, and SNR scalability. Especially, in order to provide temporal scalability based on hierarchical B-picture prediction structure, the encoding (or transmission) and display order of pictures in SVC coding is completely decoupled. Thus, the timestamp value to be specified at the header of each RTP packet in video transmission does not increase monotonically according to the display time instant of each picture. Until now, no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RTP timestamp when SVC video is loaded in a RTP packet has teen introduced. In this paper, a novel automatic RTP timestamp generation method exploiting the TID (temporal ID) field of the SVC NAL unit header is proposed to accommodate the SVC video transmission.

Quality Metric Modeling with Full Video Scalbility (비디오 스케일러빌리티를 고려한 영상 품질 메트릭 모델링)

  • Suh, Dong-Jun;Kim, Cheon-Seog;Bae, Tae-Meon;Ro, Y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81-84
    • /
    • 2006
  • 다양한 멀티미디어 사용 환경 조건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소비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스케일러블 비디오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스케일러블 비디오의 경우, 다양한 조합의 프레임 율, SNR,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비디오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에 게 최적의 품질을 제공하는 조합을 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율, SNR, 공간해상도 그리고 영상의 모션 속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영상 품질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영상 품질 메트릭을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제안한다. 제안한 품질 메트릭은 주관적 품질평가 선호도와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가 PSNR과 주관적 품질평가 점수와의 상관계수 평균값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품질 메트릭은 다양한 조합의 부호화 조건에 따른 품질측정이 가능하여 제한적인 멀티미디어 소비환경에서 최적의 부호화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 PDF

MPEG-2 TS Header Extension for Efficient Adaptive HTTP Streaming of SVC/MVC (SVC/MVC의 효율적인 적응 HTTP 스트리밍을 위한 MPEG-2 TS 헤더의 확장)

  • Jang, Euy-Doc;Kim, Jae-Gon;Lee, Jin-Young;Bae, Seong-Jun;Kang,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111-11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SVC(Scalable Video Coding) 및 MVC(Multiview Video Coding) 등의 다계층 비디오의 효율적인 적응 HTTP 스트리밍을 위한 MPEG-2 TS(Transport Stream) 헤더의 확장을 제안한다. 먼저 TS로 다중화한 SVC/MVC를 HTTP를 통하여 스트리밍 할 경우 계층별 적응 스트리밍을 지원하기 위한 기존 TS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TS 헤더의 확장을 통하여 TS 레벨에서 효율적인 적응을 제공하는 시그널링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제안 기법은 TS 헤더의 private_data를 추가적으로 정의하여 스케일러빌리티 및 뷰 정보를 기술함으로써 TS 단위로 스케일러블 계층 및 뷰 간 적응 스트리밍을 제공한다.

  • PDF

Scalable HEVC 표준 기술 동향

  • Kim, Gyeong-Hye;Jo, Hyeon-Ho;Sim, Dong-Gy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9
    • /
    • pp.49-57
    • /
    • 2013
  • 네트워크 기술과 멀티미디어 압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고화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무선 환경에서도 끊김 없이 제공 받기를 원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가 일상생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면서 디바이스 간에 끊김 없는 미디어의 연동을 가능케 하는 N-스크린 서비스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흐름에 발맞춰 JCT-VC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는 차세대 동영상 압축 표준 기술인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를 바탕으로 공간적 (Spatial), 화질적 (Temporal) 스케일러빌리티 (Scalability)를 제공하는 확장 표준인 SHVC (Scalable HEVC)를 표준화 중에 있다. JCT-VC는 SHVC 부호화 기술들을 평가하기 위하여 SCE (Scalable Core Experiment)를 진행하고 있으며, SHVC 표준은 2014년 6월에 표준화가 완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고에서는 비디오 스케일 러빌리티의 기본 개념 및 SHVC 표준화 과정에서 제안된 주요부호화 기술들과 이슈들을 소개한다.

Adaptation of SVC to Packet Loss and its Performance Analysis (패킷 손실에 대한 스케일러블 비디오(SVC) 적응기법 및 성능분석)

  • Jang, Euy-Doc;Kim, Jae-Gon;Thang, Truong Cong;Kang, Jung-W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4 no.6
    • /
    • pp.796-806
    • /
    • 2009
  • SVC (Scalable Video Coding) is a new video coding standard to provide convergence media service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with different networks and diverse terminals through spatial-temporal-quality combined flexible scalabilities. This paper presents the performance analysis on packet loss in the delivery of SVC over IP networks and an efficient adaptation method to packet loss caused by buffer overflow. In particular, SVC with MGS (Medium Grained Scalability) as well as spatial and temporal scalabilities is addressed in the consideration of packet-based adaptation since finer adaptation is possible with a sufficient numbers of quality layers in MGS. The effect on spatio-temporal quality due to the packet loss of SVC with MGS is evaluated. In order to minimize quality degradation resulted by packet loss, the proposed adaptation of MGS based SVC first sets adaptation unit of AU (Access Unit) or GOP corresponding to allowed delay and then selectively discards packets in order of importance in terms of layer dependency. In the experiment, the effects of packet loss on quantitative qualities are analyz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daptation to packet loss is shown.

Improved R-Q model for rate control in hierarchical coding structure of H.264/AVC (계층적 부호화 구조의 H.264/AVC에서 효율적인 비트율 제어를 위한 향상된 비트율-양자화 모델링)

  • Seo, Chan-Won;Han, J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91-92
    • /
    • 2010
  • 계층적 부호화 구조는 H.264/AVC의 부호화 효율을 최대화하고 시간적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하는 등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비트 할당 및 비트율 제어 기술은 비디오 코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기존의 비트율 제어 기술에서는 계층적 구조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비트율-양자화 모델을 사용하여 비디오 코덱의 성능을 최적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구조에서도 효율적으로 비트 할당 및 비트율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기존보다 향상된 비트율-양자화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비트율-양자화 모델이 기존 기술에 비해 정확함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