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커트 디자인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7초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스커트 디자인의 구성적 요소에 따른 이미지 평가 - 광주광역시 Z세대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 (An Imag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Skirt Designs in Modern Men's Fashion - Focusing on Gwangju City's Generation Z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

  • 양효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9-173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of the skirt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imag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elements (type, length, and wearing method) of men's skirt designs in modern fashion. The study included 10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Generation Z residing or whose life center wa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o evaluate 12 images depicting types of men's skirts. First, the constituent image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design elements of men's skirts were analyzed. Second, the differences in each constituent image evaluation factor based on the constituent design elements of men's skirt designs were analyzed. Third, the gender-based differences in image evaluation by men and women concerning the constituent design elements of men's skirt designs were analyzed. The analysis included relatively more women than men. The results of the image recognition dimension included the following categories: "attractive image," "evaluable image," "gender image," and "personality image." In modern fashion, skirts are used to express the diverse personalities of men's fashion. Thus, they are used beyond the stereotype of women's clothing, toward expanding and diversifying the image of men's clothing through mixing and creating a dichotomous image of men and women. It can be used as a design that suggests a gender-fluid image.

3차원 가상착의 시스템을 활용한 원피스드레스의 디자인 변화에 따른 이미지 차이 (Images Differences of Design Variations in One-Piece Dress Using a 3D Virtual Clothing System)

  • 어미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1-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visual image on variations in the length and princess line, in a silhouette of a one-piece dres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3D Virtual Clothing System known as i-designer. Eight sample were examined: 2 variations of the length and 2 variations of the princess line, 2 variations of the form of a silhouette. The data was obtained from 66 fashion design majors. The data was assessed by a t-test and a multi-way ANOVA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visual image according to the design variables, four factors were selected; the attractiveness factor, the activeness factor, the practicality factor, the elegance factor. In these factors, the attractiveness factor is estimated by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in the visual image according to the design variables, the influence of the main effect was found to be great in each factor. In the activeness facto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the length and the princess line, the length and the silhouette. In the elegance facto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the length and the silhouette. However, the influence on three-way interaction among the length, the princess line, and the silhouette was not significant.

  • PDF

Clothing Preference Analysis of Elderly Women for ZIGTECHnology Clothing Development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89-9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65세 이상 노년 여성을 대상으로 노년 여성의 의복 선호도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인식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1유형의 경우 부드러운 니트 소재와 천연소재, 파스텔 색상, 스커트 착용을 선호하였다. 제2유형의 경우 체형을 커버해주고 젊어 보이는 바지를 선호하였다. 제3유형은 착용감이 편안한 의복을 선호하는 유형이다. 제4유형은 단순한 스타일과 착용감이 편안한 옷을 선호하는 유형이다. 제5유형은 디자인이나 색상이 중요하고 젊어 보이는 스타일을 선호하는 유형이다. 노년 여성의 ZIGTECHnology의복 개발을 위해서는 등의 굽음, 허리의 굽음 등의 체형을 커버하면서 아름답게 보일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고, 움직임에 장애가 없는 동작 기능성을 고려한 의복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line Skirt의 Marking 효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king Efficiency of A-line Skirt)

  • 어미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9-7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roper width of fabric which can bring high efficiency on productivity. We focus on the marking metho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arking efficiency of A-line skirt. This study employs 4 criteria to mark the A-line skirt, which are cutting method, angle, width, and direction, respectively. There can be 2 different cutting methods(fold pattern and add seam pattern at the front and back center line), and 2 different angles(warp angle and bias angle). Also, width of the fabric can be classified into 2 groups(110cm, 150cm), and marking direction can be grouped into 2(one direction marker and one direction per each size marker). These 4 criteria make 16($2^*2^*2^*2$) cases for this study. Main findings are follows. First, the skirt with folded at the center line had higher efficiency rate than the skirt with add seam at the center line. Second, the skirt with the 150cm width has higher efficiency rate than that of 110cm. Third, fixing the warp angle has higher efficiency rate than that of fixing the bias angle at the front and back center line. Finally, one direction per each size marker has much higher efficiency than the one direction marker.

  • PDF

앙드레 꾸레쥬의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건축양식 특성연구 (A Study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Depicted on Andre Courrs Fashion Design)

  • Kyoung-Hee Cho
    • 복식
    • /
    • 제23권
    • /
    • pp.25-43
    • /
    • 1994
  • 앙드레 꾸레쥬는 자신의 디자인에 건축적 조형미를 표현한 대표적인 디자이너이다. 그의 디자인들은 라인 뿐 아니라 색채, 소재, 액세서리에 이르기까지 건물을 짓듯이 설계, 구성되어 있다. 최근 복식미의 건축적 조형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60년대 이미 선구자적인 역할을 하면서 자신의 건축가적인 기호를 유감없이 발휘해온 꾸레쥬를 연구한다는 것은 21세기를 향한 패션의 발전 측면에서 조금이라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앙드레 꾸fp쥬가 가장 활발히 활동했던 1974년에서 1970년까지 그의 디자인들을 집중 연구하였는데, 그의 패션디자인에 건축양식의 특징들이 어떻게 나타났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사용된 실제의 옷 샘플들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예술박물관내의 Costume Institute Storage 에 있는 의복과 액세서리들을 직접, 관찰 , 분석한것이고 그 박의 사진들은 패션과 건축에 관한 서적과 잡지, 박물관내의 Slide Library , 그리고 Costume Institute Library Collection에서 발췌 , 비교 연구한 것이다. 일찍이 엔지니어링과 건축을 공부했던 앙드레 꾸레쥬는 50년대의 패션 디자이너의 거장 발렌시아가 밑에서 10년 넘게 일하다가 독립하였는데 그의 디자인 세계는 줄곧 여성들이 입고 편히 활동 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강조하면서 단순하고 편안한 의복 구성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자신의 패션 철학과 의복제작 과정들은 현대건물이 갖는 단순성, 기능성의 특징과 일치한다고 믿었다. A. 라인(Line) 앙드레 꾸레쥬는 패션 디자인에서의 비레는 건축에서구조를 쌓아가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고 옷에서의 기본 구성을 기하학적인 라인에 두었다. 그래서 그의 옷들은 A-라인, 사각형, 사다리꼴,,, 등의 분명한 실루엣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기본라인을 뒷받침이라도 하듯 소매가 아주 짧거나 없는 것이 특징이다. 황금분할이 아닌 1 : 1 구성은 그가 독특하게 사용한 비례방법의 하나인데 그것은 자켓과 스커트의 길이비례, 요크와 몸판간의 면적비례 등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그는 , 의복구성의 비례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 강한 색상의 대비를 현대건물의 인테리어에 빛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한다. B.색상(Color) 흰색은 그러한 그의 비례강조 의복에 가장 적절한 색으로 사용되었다. 그는 빨강, 오렌지, 녹색, 분홍등 강렬한 원색을 사용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흰색은 그의 건축양식 발상의 Ideo를 완성시키는 완전한 색이었다. 뜨거운 날씨에 흰색이 가장 기능적인 색인 것처럼 강한 원색 대비를 통해 비례강조를 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뒷받침하는 가장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색은 흰색이라고 믿었다. C. 소재 (Material) 앙드레 꾸레쥬는 건물을 짓듯이 사람위에 옷을 건축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자연히 둔탁하고 딱딱한 소재가 많이 사용되었다. 비닐, 금속류, 시퀸스처럼 광택나고 투명한 재료 선호는 그 당시 현대 건축에서 선풍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던 유리, 금속류, 크리스탈 등 비치고 광택나는 건축재료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그러한 선국적인 내료 사용결과로 보여진 괴상하고 선정적인 그러면서도 아주 단순한 패션은 미래 지향적인 건축양식 구조의 " Simple", "Plain" 느낌과 정확하게 같은 것이다. 이상과 같이 앙드레 꾸레쥬는 옷을 디자인 했다기 보다는 건축했다. 주목할만한 점은 60년대 말 당시 발표되었던 그의 건축 구조적인 디자인의 특징들이 21세기를 앞둔 90년대에 다시 크게 유행하고있다는 점이다. 꾸레쥬 역시, 최근 자신의 디자인을 통해 건축적 조형미와 미래지향적 이미지를 더욱 강조하고 있는 것을 볼 수있다. 단순하면서 우주공간을 선회하는 듯한 입체적인 라인, 흰색을 비롯한 자연에 가까운 색을 중심으로 하되, 밝은 색조의 하이라이트, 플라스틱, 금속류와 같이 딱딱하고 광택나며 비치는 재료 사용,, 등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그에 미래 지향적이고 조형적인 디자인들은 앞으로 어떻게 더 모험적인 모습으로 선보일지 우리 모두가 주목할만한 일인 것이다.

  • PDF

캐드 교육을 위한 YUKA와 CLO의 패턴 제도 기능 비교: 스커트패턴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Pattern Design Functions in YUKA and CLO for CAD Education: Focusing on Skirt Patterns)

  • 최영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5-77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propose effective ways to integrate CLO into educational settings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pattern functions in YUKA and CLO, specifically focusing on skirt prototypes and variations. CLO, being a 3D virtual sample CAD tool, is mainly used in education to facilitate the creation of 3D virtual clothing. In order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CLO's pattern functions in pattern education, CAD education experts were asked to produce two types of skirt prototypes and two skirt variations. Subsequent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addition, the skirt pattern creation process was recorded on video and us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YUKA and CLO pattern functions.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CLO provides the pattern tools necessary for drafting skirt prototypes. The learning curve for acquiring the skills necessary for drafting and transforming skirt prototypes was found to be relatively shorter for CLO compared to YUKA. In addition, due to CLO's surface-based pattern drawing method, it is difficult to move or copy only specific parts of the outline, and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drawing right angle lines. In the pattern transformation process, CLO's preview function proved to be advantageous, and it was highly rated on user convenience due to the intuitive UI. Thus, CLO shows promise for pattern drafting education and is deemed to have high scalability as it is directly linked to 3D virtual clothing.

성인 여성의 스커트 디자인선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men's Preference to the Skirt Design)

  • 기희숙;서미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권1호
    • /
    • pp.123-143
    • /
    • 1994
  • The aim of this research analyze women's preference in types and formation of skirt lines by their ages and body shapes. The aim of this study is for women to select clothing which can cover their shortcomings and to present the practical and positive data about skirt design to clothing mak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ed : Tight skirt is the beest preferred and flare is the next. Narred silhouettes re preferred about th width of each kind of skirt, but as for the gored and flare skirts middle-width silhouettes are preferred. Preferred lengths of the skirts are different from ages; the middle like minilines, the thirties like miniline, the thirties and the forties natural line, and the fifties midiline, and according to body shapes, the skinny or standard shape like natural line and the fat midiline. All age prefer natural waist line, and twenties and the skinny like high waist line and belt compared to fifties and the fat. All ages like dart-treated skirt waist and wrinkle-decoration with narrow vertical lines or tuck-decoration with narrow horizontal line. White and blue are preferred colors of skirts in spring and summer, the skinny and the standard like blue, whereas the fat like black. All ages like soft materials and one-colored skirts without patterns Adult women like jipper to open waist of a skirt. Most of them like back positioned one, but fifties and the fat prefer side positioned ones.

  • PDF

상품평의 언어적 분석을 통한 상품 평가 요약 시스템 (Product Evaluation Summarization Through Linguistic Analysis of Product Reviews)

  • 이우철;이현아;이공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1호
    • /
    • pp.93-9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품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언어적 분석을 통하여 상품 평가를 요약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에서는 스커트 상품 분류의 경우 '디자인'과 '재질'과 같이, 상품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항목에 대한 상품평의 부정과 긍정의 극성 여부를 판별하여 그래프 형태로 요약하여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작은 시드 어휘와 문맥에 기반한 자동 확장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 항목 별 평가 어휘 극성 사전을 구축하여 평가 항목에 대한 상품평의 극성을 판정한다. 제안한 방식은 여러 온라인 쇼핑몰의 실제 상품평에 대한 실험에서 극성 사전 추출에서 평균 69.8%의 정확율과 문장별 극성 식별에서 평균 81.8%의 정확율을 보였다.

대구시 여고생의 교복변형에 대한 태도 분석 (The Analysis of Students' Attitude toward Uniform Transformation of Female Highschool Students)

  • 박효은;조현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3-11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고등학생의 교복변형에 대한 학생의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들의 교복변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청소년들에게 만족스러우면서도 유행흐름에 부합하는 교복을 제안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교복착용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교복착용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찬성의 이유로는 또래집단과의 동질성을 들었다. 둘째, 교복만족에 대한 학생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만족이 불만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교복변형경험을 묻는 질문에서 대부분의 학생이 교복변형 경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교복 상의의 경우 주로 품과 길이를 줄여 입으며, 하의의 경우 스커트 길이를 늘이고 주름을 뜯어 늘여 입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심층면접을 통해 교복변형의 원인을 조사한 결과, 크게 미적욕구 충족을 위한 변형, 유행을 따라가기 위한 변형, 맞음새를 위한 변형, 실용성을 위한 변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미적욕구충족을 위해 변형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맞음새를 위한 변형, 유행을 따르기 위한 변형 순으로 나타났다. 교복 디자인시 고려사항으로는 '맞음새'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디자인', '활동성' 순이었다. 이상과 같이 각급 학교에서는 학생의 의견을 교복선정에 적극 활용하여 학생들의 교복변형을 줄이고, 학생뿐 아니라 교사 학부모들도 모두가 만족하는 교복을 만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 PDF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을 활용한 여자 중학생의 브랜드교복 패턴비교 및 체형별 교복 패턴개발 (Comparison of Brand-name School Uniform Patterns for Middle School Girls and Development of School Uniform Patterns by Students' Body Shape, Using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

  • 신장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7-129
    • /
    • 2022
  • In terms of junior high school girls' growth patterns during early adolescence, unlike childhood when relatively balanced growth patterns are found and high school years in which the normal adult body type is almost reached, junior high school girls display imbalanced and rapid growth. In fact, diverse size changes by body part occur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Therefore, it has been difficult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o select their exact size when buying a school uniform.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winter blouse and skirt patterns reflecting the latest comfortable and active school uniform trends, using middle school girl avatars of various body shapes. Skirt and blouse pattern-drawing methods and margins differed. Based on such results, research prototypes were prepared. Then, virtual wear prospective drawings, clothing pressure, and appearance were assessed by body shape. Skirts were assessed with 22 factors while blouses were analyzed with 25 factors. Then, correlations between skirts and blou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ason why the dart & pleats position and margin were rated low was confirmed. In a virtual wear assessment on skirt patterns by body shap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ll categories except for position of the hip circumference, margin of the hips, width of the skirt, and appropriateness of waist line position. The virtual wear assessment on the blouse patterns by body shape also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ategories but fit and shape pf the back part. In blous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round shoulders and waist in type 1 and around the belly in type 2. On the contrary, for skir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round the hips and waists in type 1 and type 2. Therefor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making blouses and skirts.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skirt and blouse patterns should vary by body shape.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comparing brand-name school uniforms for high school girls and school uniforms by body sh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