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조명 제어시스템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초

다중센서 기반의 하이브리드 조명제어 시스템 (The Hybrid Lighting Control System on Multiple Sensor)

  • 홍성일;인치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01-30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중센서 기반의 하이브리드 조명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하이브리드 조명제어 시스템은 가로등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데이터 표시부와 데이터 변환 및 처리부, 게이트웨이의 통신부로 구성하여 설계한다.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저장이 가능하도록 DB를 설계하고, 실시간으로 무선 원격제어 및 스케줄을 설정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제안된 하이브리드 조명제어 시스템의 효율성 검증결과, 스마트 기기 및 포터블 PC 등과 연동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조명제어가 가능하였고, 결과적으로 에너지 절감 및 전기료 감소, 통신비용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u-Button을 활용한 스마트 조명 제어시스템 (Smart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u-Button)

  • 최형도;정인범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966-2975
    • /
    • 2013
  • 모든 것이 간소화되고 축약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이것은 마크 웨버가 유비쿼터스 세상을 언급한 이래로 현재는 스마트폰을 통해 시대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으로 미루어 볼 때, 미래에는 더 발전된 형태로 진화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그 진화방향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하나는 모든 것을 버튼화 시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로 MIT MEDIALAB의 MaKey는 그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든 것을 버튼화 시키는 연구의 응용으로 u-Button을 활용한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제 구현을 위해 MICAz와 각종 센서로 구성된 버튼역할의 u-Button모듈과 LED모듈 ZigBeX로 이루어진 Actuator Node를 제작하였다.

무선 통신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LED 색온도 제어 조명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ghting system for LED color temperature contro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 홍영진;임순자;이완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2-77
    • /
    • 2017
  • 현대 사회에서 조명은 인간 중심적인 자연 조명의 변화를 연출하고 에너지 소비 절감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IT 기술과 LED를 결합한 형태로 개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rduino Due와 Bluetooth 및 Zigbee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3000K Warm LED와 6000K Cool LED로 구성된 LED 조명의 색온도 및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Arduino Due는 Duty rate을 조절하여 조명의 색온도를 여러 단계로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였고, 1:N 다중통신이 가능한 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많은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Bluetooth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LED 조명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켰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무선통신 기반의 LED 조명제어 시스템은 3067K~5960K의 다양한 색온도 제어와 조도 제어를 통하여 인간 중심적인 조명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어 자연 친화적인 조명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그비 메쉬 망 기반 스마트 u-LED 전력제어 시스템 (Information System of Smart u-LED Lighting Energy based on Zigbee Mesh Network)

  • 김삼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77-83
    • /
    • 2013
  • 현재, 조명제어와 관리기술의 한계점은 유선으로 인한 시설비 과다, 운영의 어려움, 에너지낭비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명기기에 무선네트워크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조명 정보 시스템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위한 통신 및 관리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LED조명의 전력량 모니터링을 통해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이 기술을 융합하기 위해 전력 에너지 정보시스템 LEIS(Lighting Energy Information System)을 개발 했다. LEIS는 센서에 의해 지그비 메쉬망을 통해 수집된 전력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조명의 사용에너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화하여 보여준다. 이 시스템은 LEM(Lighting Energy Metering)의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LEIS 웹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고 LEIS를 통해 에너지를 최적화하여 제어할 수 있는 시나리오 기능을 제공한다.

건설IT융합기술 : 스마트빌딩 기술 개발 사례

  • 백윤철;김형석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10호
    • /
    • pp.25-31
    • /
    • 2013
  • 본고에서는 건설기술과 IT기술이 융합된 건설IT융합기술에서 스마트 빌딩과 관련하여 안전, 건강, 편의, 에너지를 위한 기술들로 분류하여 사례와 함께 서술한다. 고층 빌딩의 안전성을 위한 건축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기술, 빌딩 실내 또는 지하 주차장에서 쾌적한 공기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스마트 환기제어 시스템 기술, 빌딩 정보의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한 빌딩정보모델링 기반의 센서와 영상 인터페이스, 스마트 빌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소개한다. 또한, 에너지 절감을 위한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냉난방, 조명, 환기설비, 전력모니터링 관련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기술들을 적용한 스마트 빌딩은 유무선통신, 스마트디바이스와 같은 IT기술을 건축공학 및 빌딩자동제어, 설비 기술에 적용하여 빌딩 사용자에게는 안전 및 최적 환경을 제공하고 빌딩 소유주나 관리자에게는 관리비용 절감, 관리 편의, 빌딩가치 상승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중 프로토콜 기반의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조명관리 시스템 구현 (An Efficient Hybrid Lighting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on Multi Protocol)

  • 홍성일;인치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50-55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중 프로토콜 기반의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조명관리 시스템 구현을 제안한다. 제안된 하이브리드 조명관리 시스템은 조명기기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데이터 표시부와 데이터 변환 및 처리부, 게이트웨이의 통신부로 구성하여 설계하였다.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저장이 가능하도록 DB를 설계하였고, 실시간 무선 원격제어 및 스케줄을 설정하여 관리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조명관리 시스템의 효율성 검증결과, 스마트 기기 및 포터블 PC 등과 연동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조명제어가 가능하였고, 결과적으로 에너지 절감 및 전기료 감소, 통신비용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허정보를 이용한 그린 IT 분야 기술 분석 (Analysis of Technology of Green IT fields using patent information)

  • 구영덕;정대현;권영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49-25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그린 IT 분야에 대한 특허 정보를 이용하여 분야별 기술 경쟁력 분석과 분야에 적용되는 기술의 다양성 및 분야간 유사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그린 IT를 전기 전자기들의 에너지소모량의 절감 및 IT기술을 기반으로 전력 소비를 줄이는 친환경적인 기술을 개발하는 분야로 범위를 한정하여, 절전기기 및 시스템, 조명제어시스템, 스마트 전력관리시스템, 클라우드 컴퓨팅, 그린하우스/에코시스템으로 한정하여 특허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절전기기 및 시스템 분야의 기술개발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분야 간 기술적 유사도의 경우, 절전기기 제어 및 시스템분야와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와 기술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명제어시스템과 그린하우스/에코시스템 및 스마트 전력 관리 시스템이 기술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에너지 절약을 위한 위치측위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ighting Control System Based on Location Positioning for Energy Saving)

  • 조경우;전민호;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968-2974
    • /
    • 2014
  • 건물에 설치된 조명의 경우, 야간 통행자 및 광량이 부족한 곳을 위해 인체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한다. 그러나 부적절한 센서 위치로 인한 오작동의 문제가 있으며, 대형 건물 통로의 경우 통행자 통과 후에도 장시간 조명기구가 점등되어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 위치 측위를 통해 상주자의 위치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위치측위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위치측위 기술 중 하나인 fingerprinting 기술을 이용,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된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데이터를 토대로 측위 된 영역에 해당하는 조명만을 점등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감소시킨다. 4인의 상주자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실험결과 개별 조명의 조도는 308 lux였으며, 기존 방식에 비해 49 Wh의 소비전력 절감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기반한 LED 조명 통신 종합 제어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LED communication based on micro controller)

  • 이정훈;김찬;차재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54-5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존재할 때만 LED 조명을 활성화해서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없을 때에는 자동으로 LED 조명을 비활성화 할 수 있는 종합 제어 시스템 기반 기술을 디자인하고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사용자 감지기능을 수행하는 HW 모듈과 웹을 통한 종합 제어 시스템 SW 모듈로 구성된다. 마이크로 콘트롤러 보드는 ATMega2560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적외선과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유무를 판단하였으며, 웹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두 모듈의 연동 테스트를 통해서 본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RTP 기반 상황별 LED 디밍제어 시스템의 설계 (A Design of LED Dimming Control System based on RTP)

  • 유태환;임경미;임재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11-1314
    • /
    • 2012
  • 최근에는 LED 조명으로 인해 조명 제어의 유연성이 높아짐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공간에서 해당 공간의 목표 조도를 설정하고 현재 내부조도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조명을 디밍하는 형태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방식이 현재 주택용 요금제도로 운영 중인 고정요금제에서는 에너지 비용을 감소시키나, 스마트그리드에서 운영될 RTP(Real Time Pricing)에서는 요금 단계에 따라 오히려 에너지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실시간 요금 단계에 따라 LED 조명의 목표 조도를 가변적으로 변화시켜 조명 에너지 비용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작업에 적합한 상황별 조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요금 단계에 따른 상황별 최저 및 최고 조도기준은 KSA 3011 및 IES를 참조하며, 최소한의 조명 에너지 사용을 위해 외부 광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현재의 시간에 따라 블라인드의 Open/Close를 자동으로 서비스한다. 사용자의 상황은 PIR, Electric Powermeter, Piezoelectric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가전기기 사용 유무, 착석 여부 등을 파악하고, RTP 요금에 따라 하루동안의 조명에 사용된 전력요금을 시뮬레이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