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도어락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8초

사용자등급을 이용한 IoT기반 스마트도어락 (IoT based smart doorlock using user grade)

  • 황혁진;윤수환;홍태준;최승식;박성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90-99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사무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 등급, 사용자의 실내/외 구분을 통한 지능형 도어락을 소개한다.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하여 오픈 소스 하드웨어인 '가상오브젝트 기반의 게이트웨이 라즈베리파이'와 '통합 컨트롤러 플랫폼 아두이노'를 이용하였으며 모바일 플랫폼으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이용하였다. 본 지능형 도어락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개/폐, 이력 조회, 실시간 영상 조회를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등급을 Owner(주인)와 Guest(손님)으로 나누어 도어락 제어의 제한을 두는 지능적인 도어락이다.

사물인터넷 기반 저전력 디지털도어락 프로토콜 (Low-Energy Digital Doorlock Protoco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송민재;신동혁;최승식;박성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86-98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사무실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 디지털 도어락에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BLE 모듈을 탑재하고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스마트 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저전력 지능형 도어락 시스템을 개발함을 목표로 한다. 이 시스템은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도어락에 BLE 모듈을 부착하여 라즈베리파이와 서로 저전력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부가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1]따라서, 사물인터넷 기반 저전력 디지털 도어락은 일반 가정집 도어락은 물론, 높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개발 (The Implementation of a Door-Lock System using a smart phone on Near Field Communication environments)

  • 김성남;김지현;이정수;김동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5-408
    • /
    • 2014
  • 오늘날 사람들은 편리함을 추구함으로써 대부분의 현관문에는 전자식 도어락이 설치되고 있다. 여기에는 전자키 시스템, 기계식 조합키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인을 인증한다. 이러한 방식들은 사용자가 직접 도어락을 제어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고 오래 사용하다 보면 자주 사용한 버튼이 고장이 나거나 사용 흔적이 남아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도어락 시스템에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과 아두이노 모듈을 활용하여 NFC 및 개인 스마트폰 인증 방식으로 원격 도어락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주거침입 범죄 예방을 위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설계와 구현 (Smart Door Lock System Design for Housing Crime Prevention)

  • 강현민;박서현;차경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48-1151
    • /
    • 2017
  • 본 설계의 목적은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를 파손하여 침입하는 1차원적인 외부침입자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은 아웃바디와 인바디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도어락을 제어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아웃바디를 파손하면 인바디의 제어기능이 손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웃바디와 인바디를 독립적으로 배치하고 상호간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이것은 아웃바디를 파손하여도 인바디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도어락의 아웃바디를 파손하여도 침입이 불가능한 구조의 스마트 도어락을 구현할 수 있었다.

Google OTP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Smart Doorlock System using Google OTP)

  • 용승림;최영철;윤현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223-22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번호키 방식의 보안이 강화된 스마트폰 연동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어락 시스템은 Google OTP를 이용하여 매번 다르게 생성된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훔쳐보기, 스머지 등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NFC 접촉을 통하여 OTP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한다.

  • PDF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DDiT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Door Lock by IoT)

  • 서대규;고한신;노용덕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15-222
    • /
    • 2015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DDiT를 소개한다. DDiT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합 마이크로 컨트롤러 플랫폼인 아두이노를 이용하였으며 모바일 플랫폼으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였다. DDiT의 장점 중 하나는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에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열쇠로 활용하는 방식이라는 점이다. 더구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므로 이를 통해서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은 일반 가정집 도어락은 물론 호텔, 연구실, 및 회사와 같은 높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원격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도어락 (Remotely Controllable Smart Door Lock)

  • 최덕규;이상빈;박진솔;권용민;김준빈;권민지;장재민;정우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261-262
    • /
    • 2020
  • 현대에 흔히 쓰이는 도어락은 안전과 보안등의 목적과 편리함을 목적에 두고 있다. 실제로 그전에 쓰던 열쇠보다 더 편리하고 분실염려도 없고 복제키 등으로 인한 사건, 사고로 인한 범죄율이 줄어들었다. 도어락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이고 이 과정에서 도어락에 지문이나 표시가 남으며 비밀번호가 주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두이노로 라즈베리파이와 앱을 무선 통신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도어락'을 고안했다. 아두이노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도어락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라즈베리파이 카메라 모듈과 초음파 센서를 통해 도어락에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하고 확인할 수 있다. 이 기능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자녀들의 귀가 여부도 확인할 수 있고 문을 열어줘야 할 상황에 비밀번호 노출없이 문을 열어줄 수 있다.

  • PDF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원격 도어락 제어 모듈 (Smart Remote Doorlock Control Module for Smart Home Services)

  • 구윤택;신은재;장휘수;정기면;한현관;고정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52-1154
    • /
    • 2017
  • 최근 '도어락 몰카'와 같은 생활 보안범죄가 잇따라 증가함에 따라 해결법으로 판넬에 비밀번호를 직접적으로 입력하지 않는 방식을 아이디어로 채택하여 도어락의 비밀번호 유출위험과 판넬에 직접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없이 도어락을 열 수 있는 방식을 도입하고자 한다. 원격으로 제어 하는 방식은 해킹의 위험이 있으므로 보안모듈을 도입하여 해킹의 위험을 감소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암호화 모듈, 아두이노의 블루투스 및 Wi-Fi통신, 모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론 스마트 홈 서비스를 구축 하고자 한다.

블루투스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Smart Doorlock Based on Bluetooth)

  • 김현태;이상협;백순호;이초희;김인혜;김다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173-17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흔히 사용되는 도어락에 사물인터넷을 접목시켜 좀 더 스마트한 도어락을 제작하였습니다. 이 스마트 도어락은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과 페어링을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출입을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를 직접 눌리는 것이 아닌 멀리서도 페어링만 되어 있다면 열수 있다는 점과 시간별로 출입문이 열리고 닫히는 시간을 따로 기록하여 어플리케이션과 페어링 되는 순간 그 정보를 새롭게 갱신을 합니다.

  • PDF

OTP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모듈의 설계 (Design of Door Lock Module using One Time Password Method)

  • 고정현;고성민;김석준;김정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6-19
    • /
    • 2020
  • 사회에서 다양한 디지털 도어락 관련 범죄들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은 보안성이 강화된 도어락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어락 시장도 보안성을 강화한 스마트 도어락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이 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OTP(One-Time-Password) 라는 검증된 암호시스템을 사용하여 비밀번호의 노출, 비밀번호의 분실의 위험이 없는 보안성과 편의성을 강화한 OTP 스마트 도어락 모듈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