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패션제품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생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웨어러블 스마트 텍스타일 제품의 관심 경향 연구 (Study on the Tendency of Interest of Wearable Textile Product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Fashion Life Style)

  • 송하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1호
    • /
    • pp.41-5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product design for textile convergence wearable smart textile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fashion life style. In this study, we used information obtained from a questionnaire issued to 201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20 years old for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s were to classify female college students groups according to the fashion life style, to examine characteristics, needs and wants of each group. The survey on the tendency of wearable smart textiles consisted of 22 items about concept and type of smart clothing product, functional material and intelligent material, recognition, preference, purchase intention, purchase factor and brand preference tendency. A total of 201 samples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crosstabs and $x^2-test$ using SPSS package program. 'brand preference oriented type was found to be interested in 'wearable' smart clothing product with monitoring function of bio-signal' and 'high functional fiber and textile product', but the credibility of 'smart clothes that can be worn and smart textile products to be useful in modern life' was low. 'fashionable individuality oriented' type showed interest in 'smart clothing and smart product', 'intelligent fiber' and 'wearable smart clothing product with monitoring function of bio-signal', but the preferences of 'light emitting fiber products' was low. 'practically purchasing-oriented' type was very interested in 'high-functional fiber and its textile products', but had inadequate knowledge on 'smart clothing and smart textile product' and showed low interest. Despite the fact that 'wearable smart clothing and smart textile products' are expensive, they were willing to purchase considering practicality and sophisticated style.

인공지능 기반 개인 맞춤형 의류 추천 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ized clothing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김형숙;이종혁;이현동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1호
    • /
    • pp.116-123
    • /
    • 2021
  • 온라인 패션 시장의 빠른 성장과 이로 인한 온라인 선택의 확대로 인해 소비자들은 더욱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에 대해 요구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자는 수많은 소비자를 개별적으로 직접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소비자의 이러한 개인화 니즈를 충족시키는 방안으로 이미지에 대한 태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람이 태깅하는 경우 사람마다 태깅이 매우 주관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인공지능 태깅은 단어가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으로 이미지에 포함된 제품의 형태, 속성, 감성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정보를 코드화하고 코드의 조합으로 그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모든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서 지금까지 획득이 불가능했던 패션 이미지의 감성, 패션 이미지가 표현하는 TPO 정보 등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취향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넘어가 소비자의 취향에 당시의 유행, TPO 정보까지 결합하는 초개인화된 의류 추천이 가능해진다.

쇼핑가치, 사용용이성, 유용성이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n Mobile Purchase Intention)

  • 채진미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73-8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변수로 쇼핑가치와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데 영향을 주는 신념 변수로 알려진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을 채택하여 경로모형을 구성하여 검정하였고, 구매경험에 따른 집단 별(중구매/경구매 집단)로 경로모형을 비교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 전문업체를 통해 스마트 폰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30 대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분석을 시행하였고, 총 411부의 유효한 데이터를 SPSS 21과 AMOS 1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쇼핑가치는 감성적인 차원의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인 차원의 실용적 쇼핑가치로 분류되었고 구성변수의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경로모형의 적합성은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최근 1년 동안 스마트폰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한 횟수에 따라 중구매 집단과 경구매 집단으로 분류하여 경로모형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쾌락적 가치보다는 실용적 가치가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용이성은 직접적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유용성을 거쳐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구매 집단의 경우, 쾌락적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과 사용용이성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을 제외하고는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구매 집단에서는 쾌락적 쇼핑가치가 사용용이성에 주는 영향, 실용적 쇼핑가치가 유용성에 주는 영향, 쾌락적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 사용용이성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분석 결과는 다양한 유통채널을 사용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현대 소비자들을 모바일 구매로 유도하기 위한 차별화된 모바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근거가 될 것이다.

하이테크 감성 섬유패션의 교육 방향에 대한 모색 (Search for the Education of High-Tech Emotional Textile and Fashion)

  • 김윤희;김춘정;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26권3호
    • /
    • pp.69-82
    • /
    • 2023
  • 소비자의 감성과 다양한 섬유·패션 기술이 융합되는 하이테크 감성 섬유패션은 중요한 산업군이다. 섬유·패션 산업의 환경 변화로 인해 감성과학 분야에서 학제간 협업을 통해 타 분야를 이해하고 아이디어를 교류함으로써 창의적으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학제간 연구와 협업을 통해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창의적 융합형 지적 능력은 물론 타인과 공감하는 능력을 갖추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관련의 전문가 양성 방향을 수립하기 위하여 이를 모색하고자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국내외 감성섬유패션 산업의 현황과 교육 과정을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융복합적으로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학습내용을 구상해보았다. 섬유패션 감성과학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초과정은 섬유·패션산업 분야의 감성과학과 ICT 관련 내용 학습을 통해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심화로서는 감성을 바탕으로 한 PB방식의 아이디어 디자인의 도출부터 소비자 감성 분석 및 제품 개발까지의 과정을 스마트 키트 실습을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ICT 융합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식재산권을 스타트업 및 신지식권으로 설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다루어 감성 섬유패션 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확보하는 방안 내용을 제안하였다.

소비자 가치기반 디자인 평가 모형: 제품 속성, 인지 속성, 소비자 가치의 3단계 접근 (Design Evaluation Model Based on Consumer Values: Three-step Approach from Product Attributes, Perceived Attributes, to Consumer Values)

  • 김건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4호
    • /
    • pp.57-76
    • /
    • 2017
  • 최근 정보 기술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같은 IT 기기에서 이런 변화들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전의 IT 기기들은 기능상의 혁신과 진보를 통해 소비자들을 끌어들였지만, 현재는 IT 제품 상에서 기능상 발전과 혁신은 둔화되었다. 기능상 차별점이 줄어든 시점에서 기업들은 외관과 디자인적 측면에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외관적 변화를 반영하듯 소비자들도 성능보단 디자인을 스마트폰 구매의 중요 요인으로 삼고 있다. 스마트폰은 패션 아이템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스마트폰의 디자인과 외형이 지속적으로 중요해짐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디자인 가치가 무엇인지도 중요해졌으며, 무엇에 영향을 받는지도 중요해졌다. 소비자들이 느끼는 가치가 중요해짐에 따라 소비자들이 해당제품의 디자인에 대해 평가하는 메커니즘을 밝힐 필요성이 존재하며, 적절한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디자인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이 필요하다. 디자인과 관련한 기존 연구들은 소비자들의 인지와 가치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하였지만, 제품 속성 자체에 대한 부분은 고려하지 않은 경향이 있으며, 제품이 갖고 있는 객관적인 속성들에 따라 소비자들의 인지가 변화하는 과정과 최종적으로 느끼는 가치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는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제품이 갖고 있는 객관적 속성인 제품 속성과 객관적 속성을 통해 느끼는 소비자들의 인지, 가치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3단계 디자인 평가 모형을 제시하려 한다. 3단계 디자인 평가 모형은 제품 속성, 인지 속성, 소비자 가치까지 모든 단계를 고려한 정량화된 모형으로 스마트폰 분야만이 아닌 사용자경험 분야에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기업이 갖고 있는 소비자 데이터와 결합한다면, 특정 소비자층을 겨냥한 제품 생산 및 설계가 가능한 지능형 디자인 가치 평가 모형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스마트 주얼리의 감성적 디자인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Emotional Design Types of Smart Jewelry.)

  • 노영란;최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23-428
    • /
    • 2019
  • 4차 산업의 발달로 ICT 디바이스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스마트 주얼리들이 출시되고 있다. 주얼리는 스마트 기기의 기능적 측면과 융합되면서 인체를 치장하는 패션 도구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생활환경과 안전개선에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하는 기능 및 필요한 정보의 상호작용이 확장 가능성을 가져오고 있다. 현재 웨어러블 주얼리는 스마트폰 보조기라는 인식과 기술적 제약으로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지 못해 널리 확산되지 못하고 있으나 디바이스의 초소형화, 디자인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출시된 웨어러블 주얼리 제품을 중심으로 디자인, 재료, 색채에 따른 감성적 유형을 분석하여 스마트 주얼리가 주얼리로서 사람들의 감성을 어떻게 자극을 할 것인가를 고려하며 더 많은 연구를 통해 미흡한 부분들을 보완 수정하여 창의적인 스마트 주얼리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스마트 의류의 제품 사례 연구 -스마트 의류 특허출원 기술을 중심으로- (A Study on Smart Clothing Products Based on Smart Clothing Patent Application Technology)

  • 이재경;추호정;김하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8-45
    • /
    • 2021
  • The importance of smart clothing as a product is increasingly emphasized as further growth in the potential of the smart market is expected. There is a high understanding and sympathy for the potential of smart clothing in the mass consumer market; therefore, commercialization is not actively carried out. This stu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roducts with a focus on technical benefits, in order for smart clothing to gain access to customers as wearable devices. This study identifies major technologies used in smart clothing through an analysis of the patent technology status of smart clothing in Korea. Smart clothing is divided into three types: passive smart, active smart and advanced smart clothing based on a reaction mechanism and functional scope. We present the smart clothing and discuss the product features for three types. According to research, smart clothing products were equipped with passive, active, and advanced smart systems as well as provided new services by converging big data and AI technologies, rather than only using technologies such as sensors, controls, and actuators. Future directions for new smart clothing product development is also discussed in the conclusion.

MP3 기능 스마트 재킷의 상용화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Smart Jacket Incorporating MP3 functionality for Commercial Use)

  • 조현승;김진형;박선민;유재훈;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377-383
    • /
    • 2006
  • 본 연구는 섬유 소재에 IT기술을 적용하는 디지털 의류 제품 중 하나로 여성 재킷에 MP3기능을 내장시켜 상용화 할 수 있는 디자인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 고찰 및 5가지 MP3 기능 스마트 의류 초기 모형의 착의 평가 및 사용성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MP3 입력장치 및 모듈의 위치, 이어폰선과 신호선의 경로 등을 최적화하고 직물 기반의 신호선과 입력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와 사용성 및 동적 착용성을 갖춘 MP3 기능 스마트 재킷의 상용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는 10대 후반부터 20대 초반까지의 여성복 시장을 겨냥한 것으로 최근의 패션 트렌드와 소비자의 감성적 만족도 그리고 디지털 의류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고려해 볼 때 상품적 효용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 PDF

허벅지 운동능력 측정을 위한 스트레치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Stretch Sensors to Measure Thigh Motor Capacity)

  • 장진철;박진희;김주용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5호
    • /
    • pp.99-113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produce sensors for measuring thigh motor skills. A textile stretch sensor was manufactured using a CNT(Carbon Nano Tube) 0.1 wt% water SWCNT(Single-Walled Carbon Nano Tube) solution, and different designs were applied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and different GF(Gauge Factor) values were compared using UTM devices. The same design was applied to fabrics and weaves to observe changes in performance according to fibrous tissue, and the suitability of sensors was determined based on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the elongation recovery rate. Sensitivity was found to vary depending upon the design. Thus the manufactured sensor was attached to a pair of fitness pants as a prototype, divided into lunge position and squat position testing, and the stretch sensor was used to measure thigh movements. It was shown that stretch sensors used to measure thigh motor skills should have light and flexible features and that elongation recovery rates and tensile strength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he manufactured stretch sensor may be applicable to various sports fields that use lower limb muscles, wearable healthcare products, and medical products for measuring athletic ability.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스쿼트 시 발목 가동범위 체크 센서 양말에 관하여 -20대 후반 남성을 중심으로- (Using a Stretch Sensor About of Squat Ankle Range of Motion Check Socks -Focusing on Men in Their Late 20s-)

  • 송관우;박진희;김주용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2호
    • /
    • pp.129-14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cks to check the range of ankle movement during squats for men in their late 20s. Sensors of 6, 8, and 12 mm were selected, and each sample was impregnated 1 to 3 times. It was prepared using a CNT dispersion, and the GF value was measured using UTM. Among them, the sample with 2 impregnation showed the best GF value. As a result of applying each sample to the socks, the 12 mm sensor was wider than the area of the Achilles tendon, resulting in noise, and the 8 mm sensor was high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ocks,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graph. Therefore, testing was performed using a 6 mm sensor.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ensor, the normal operating range was checked through squats, and significant changes were confirmed when the operating range was checked again through squats by performing operations that can increase the operating range through Gastrocnemius, Soleus stretching, and low lunge.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ankle movement range of the user is checked prevent injury,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shoe products and the promotion of physic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