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personalized clothing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반 개인 맞춤형 의류 추천 서비스 개발

  • Received : 2021.03.17
  • Accepted : 2021.03.22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online fashion market and the resulting expansion of online choic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ller cannot directly respond to a large number of consumers individually, although consumers are increasingly demanding for mor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s. Images are being tagged as a way to meet consumer's personalization needs, but when people tagging, tagging is very subjective for each pers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agging has very limited words and does not meet the needs of users. To solve this problem, we designed an algorithm that recognizes the shape, attribute, and emotional information of the product included in the image with AI, and codes this information to represent all the information that the image has with a combination of codes. Through this algorithm, it became possible by acquiring a variety of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mage in real time, such as the sensibility of the fashion image and the TPO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fashion image, which was not possible until now. Based on thi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go beyond the stage of analyzing the tastes of consumers and make hyper-personalized clothing recommendations that combine the tastes of consumers with information about trends and TPOs.

온라인 패션 시장의 빠른 성장과 이로 인한 온라인 선택의 확대로 인해 소비자들은 더욱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에 대해 요구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자는 수많은 소비자를 개별적으로 직접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소비자의 이러한 개인화 니즈를 충족시키는 방안으로 이미지에 대한 태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람이 태깅하는 경우 사람마다 태깅이 매우 주관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인공지능 태깅은 단어가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으로 이미지에 포함된 제품의 형태, 속성, 감성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정보를 코드화하고 코드의 조합으로 그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모든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서 지금까지 획득이 불가능했던 패션 이미지의 감성, 패션 이미지가 표현하는 TPO 정보 등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취향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넘어가 소비자의 취향에 당시의 유행, TPO 정보까지 결합하는 초개인화된 의류 추천이 가능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현진, "소비자 중심의 현대 패션제품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vol. 58, no. 3, pp. 93-104, Mar, 2008
  2. Resnick, P. and H. R. Varian, "Recommender System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0, no. 1 (1997), 56-58. https://doi.org/10.1145/245108.245121
  3. Klaus, P., & Nguyen, B., "Exploring the role of the online customer experience in firms' multi-channel strategy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tail banking services sector," Journal of Strategic Marketing, vol. 21, no. 5, pp. 429-442, 2013. https://doi.org/10.1080/0965254X.2013.801610
  4. M. Bhaskar, Curation : The power of selection in a world of excess, Piatkus, 2016.
  5. De Keyzer, F., Dens, N., & De Pelsmacker, P. "Is this for me? How consumers respond to personalized advertising on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vol. 15, no. 2, pp. 124-134, 2015. https://doi.org/10.1080/15252019.2015.1082450
  6.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의 진화 (2016), Broadcasting Trend & Insight, vol. 5, 19 24. Retrieved from http://www.kocca.kr/cop/trand/view.do?menuNo=202967&nttNo=5 (accessed Feb, 25, 2021)
  7. 이설화, 이찬희, 조재춘, 임희석, "암묵적 사용자 프로파일링을 통한 딥러닝기반 지능형 선호 패션 추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 9, no. 12, pp. 25-32, Dec,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12.025
  8. 민선옥, 최영인, 김동균, 이주현, "딥러닝 기반 나이 예측과 자연어처리를 활용한 의류추천 시스템,"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285-286, Aug. 2020
  9. 노순국, "인공지능 기반 구글넷 딥러닝과 IoT를 이용한 의류 분류," 스마트미디어저널, vol. 9, no. 3, pp. 41-45, 2020년 9월 https://doi.org/10.30693/smj.2020.9.3.41
  10. 김정인, 최준호, 김한일, 김판구, "나이브 베이즈 기반 소셜 미디어 상의 신조어 감성 판별 기법," 스마트미디어저널, vol. 9, no. 1, pp. 51-59, 2020년 3월 https://doi.org/10.30693/SMJ.2020.9.1.51
  11. 임명진, 박원호, 신주현, "Word2Vec과 LSTM을 활용한 이별 가사 감정 분류," 스마트미디어저널, vol. 9, no. 3, pp. 90-97, 2020년 9월 https://doi.org/10.30693/SMJ.2020.9.3.90
  12. 박은정, 서종환, 정상훈, "전통가옥에서 느껴지는 감성 측정을 위한 대표 감성 분류," 스마트미디어저널, vol. 7, no. 3, pp. 44-50, 2018년 9월
  13. 오드컨셉 시각지능AI '딥룩', 패션상품 검색.추천 IMB '왓슨'과 협력(2018),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41702101552660001&ref=naver (accessed Feb,..23, 2021)
  14. 안효선, 권수희, 박민정, "인공지능에 의한 개인 맞춤 패션 스타일 추천 서비스 사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vol. 43, no. 3, pp. 349-360, May. 2019 https://doi.org/10.5850/jksct.2019.43.3.349
  15. Hailin Jin, Zhegao Piao, 구영현, 유성준, "인공지능 학습용 패션 데이터셋 최근 동향 조사,"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515-520, Jul. 2020
  16. Ren, S., He, K., Girshick, R., Sun, J., "Faster R-CNN: Towards Real-Time Object Detection with Region Proposal Networks,"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vol. 39, no. 6, pp. 1-14, Jan,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