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교육정책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박주영;박성은;박민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18-229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스마트폰 중독 중재와 대학생활 적응 교육 및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 4년제 일 간호대학의 1, 2학년생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고위험군 47명, 잠재적 위험군 29명, 일반군 97명으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중독군별 대학생활 적응 평균은 중독수준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스마트폰 중독군별 사회적지지 평균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스마트폰 중독(r=-.34,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지지(r=.38,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회적지지는 스마트폰 중독(r=-.17, p=.023)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게 나타났으며(F=5.29, p=.023), 대학생활적응도 낮게 나타났다(F=20.01, p<.001). 스마트폰 중독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1), 이 때 스마트폰 중독의 ${\beta}$값 -.264(B값 -.178)이 매개변수를 거치지 않았을 때의 ${\beta}$값 -.327(B값 -.221) 보다 작아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le test 결과에서 사회적 지지는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였다(Z=-2.11, p=.034). 이에 대한 설명력은 21.5%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회적지지 관련 대학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스마트 관광 활성화를 위한 트립어드바이저 애플리케이션 리뷰 분석 :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Analyzing TripAdvisor application reviews to enable smart tourism : focusing on topic modeling)

  • 이유나;한무명초;유선영;소미기;노미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8호
    • /
    • pp.9-17
    • /
    • 2023
  • 정보통신의 발달과 스마트 기기의 발전 및 보급 향상은 관광 형태의 변화를 야기하였고, 이후 스마트 관광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이에 스마트 관광 정책 및 설문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애플리케이션 리뷰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본 연구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 내 스마트 관광 분야의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인 트립어드바이저 애플리케이션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여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 모델링을 통해 사용 용도와 사용자 만족을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4개의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2개의 토픽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나머지 2개의 토픽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다. 사용자들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숙박 및 관광 명소 추천 시스템에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검색 시 설정한 필터가 적용되지 않거나 업데이트 후 리뷰가 게시되지 않음에 불편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다양한 추천 카테고리를 애플리케이션에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필터 기능을 포함한 애플리케이션 문제를 파악하여 애플리케이션 환경 점검과 해당 기능 오류 개선을 한다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의 특징과 전파위험 걱정이 스마트 러닝 수용에 미치는 영향: ISSM과 HBM의 통합 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VID-19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risk concerns on smart learning acceptance: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model of ISSM and HBM)

  • 표규진;김양석;노미진;한무명초;;손재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57-70
    • /
    • 2021
  •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비대면 학습을 할 수 있는 스마트 러닝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러닝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스마트 러닝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코로나-19에 대한 사용자의 생각과 스마트러닝 시스템의 정보 품질 및 시스템 품질이 사용자의 수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지각된 민감성과 심각성이 전파위험 걱정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 러닝에 대한 만족과 사용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고, 콘텐츠 품질과 상호작용 품질로 구성된 정보 품질과 시스템 접근성과 기능성으로 구성된 시스템 품질이 사용자 만족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 러닝 사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제안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스마트 러닝 사용 경험이 있는 사용자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Smart PLS 3.0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보 품질과 시스템 품질 중에서 기능성만 스마트 러닝의 만족에 양(+)의 영향을 미쳤고, 만족은 사용 행동에 양(+)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시스템 품질 중 접근성은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파위험 걱정은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새로운 감염병의 위기상황 속에서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러닝을 연구할 때에 연구자들에게 의미 있는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기관과 스마트 러닝 관련 업체들에게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도구를 이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eed for a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Educational Program using an Authoring Tool)

  • 장영현;오상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253-258
    • /
    • 2014
  • 초중고교에서 스마트IT 기술에 대한 논리적 소프트웨어 교육의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저작도구를 사용하여 모바일앱 콘텐츠 제작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정규 교육과정의 도입여부를 판단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5차례에 걸쳐 전국에 분포된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3차례에 걸쳐 전국 초중등학교 교사와 일반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만족이상이 평균하여 91.4%로 조사된바, 본 연구조사가 매우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초중고교에서 저작도구를 이용한 앱 개발 교육프로그램 도입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국가기술자격 종목 신설에 대한 요구도도 높아지고 있다.

다문화 구성원을 위한 에듀테크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duTech for Multicultur al People)

  • 백승철;조성혜;김남희;최미경;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55-62
    • /
    • 2016
  •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족 수는 2012년 70만 명 내외에서 2020년 1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근 결혼이주자의 직무교육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결혼이주자의 언어적 특성에 맞는 직무교육은 작은 시장규모와 낮은 소득수준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필요성과 구매력에 비해 시장 형성이 미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가족의 특성 및 교육콘텐츠 수요를 바탕으로 에듀테크 적용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정의하고 해당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결혼이주자와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로 설정한 4가지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다문화 구성원을 위한 에듀테크의 적용 방안으로 언어능력지원, 맞춤형 교육 콘텐츠 추천기술,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콘텐츠 설계, 사용자 중심 경험 설계 4가지를 제안하였으며 기술을 통한 교육 격차 해소 및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도구로 에듀테크가 사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보편적 학습설계 관점에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앱 개발 가이드라인 (Application development guideline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85-491
    • /
    • 2014
  •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 관점에서 발달장애 학생들을 위한 교육용 앱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의 보편적 학습설계와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기초가 되는 가이드라인을 정리하였다. 정리한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스마트 콘텐츠 개발 전문가와 특수교육 전공 교수들의 검토를 거쳐 콘텐츠의 표현 측면 14개, 교육전략 측면 12개, 교육몰입 측면 9개로 총 35개의 예비 개발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제로 앱을 사용하게 될 장애학생을 교육하는 특수교사 및 장애학생을 둔 부모와 특수교육 전공 교수들에게 중요도 측면에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평균보다 중요도가 낮은 항목을 제외시키는 방법으로 3개 분야 20개의 주요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인터넷 문화 선진국 도약을 위한 도전과 과제

  • 서종렬
    • 정보와 통신
    • /
    • 제29권1호
    • /
    • pp.23-29
    • /
    • 2011
  •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증하면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SNS 등 새로운 ICT 서비스의 이용이 크게 확대되고있다. 이로 인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변화와 발전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라 인터넷 침해 사고와 개인정보 유출사고, 악성 댓글과 같은 인터넷 윤리 문제도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도전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인터넷 진흥원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인터넷 침해사고 대응을 비롯한 주요 정보보호 활동을 설명하고,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에 따른 추진활동 등을 통한 안전한 인터넷 이용환경 조성 노력을 기술한다. 아울러 건전한 인터넷 이용분화 조성을 위한 범국민 운동 및 교육, 그리고 사업자의 자발적 정화노력 동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인터넷 윤리 및 정보보호 문화 조성을 위한 국제협력 활동, 개도국 인터넷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한 패키지 개발과 보급 활동 동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 인터넷 정보보호와 윤리 문화 선진화와 글로벌 선도 국가로서의 도약을 이끌어내기 위한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역할에 대해 제시한다.

방글라데시 해안 지역 농업에서 기후에 대응한 스마트 농업 적용에 대한 농업인의 장애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Farmers' Barriers to Adopting Climate Smart Agriculture Practices in the Coastal Area of Bangladesh)

  • 아비짓 비스와스;쁘로미 데브나스;강대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1권3호
    • /
    • pp.153-175
    • /
    • 2024
  • 이 연구는 방글라데시 해안 지역에서 기후에 대응한 스마트 농업 (CSA) 방법의 채택에 대한 장애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최소 10년 이상의 농사경험이 있는 160명의 연안 농부들로부터 정량적 및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농업 취약성, 채택된 CSA 관행, 그리고 CSA 관행 채택에 대한 인식된 장벽 항목의 내적 일관성(Cronbach's alpha)은 각각 0.72, 0.74, 0.79로 나타났다. 농업 취약성 지수 (AGVI)는 토양 염분 증가, 담수 자원의 감소, 불량한 씨앗발아, 해충과 질병의 증가를 농업의 취약점으로 확인하였다. 채택 지수(ADI)는 다수성 채소 재배, 단기간 다수성 쌀 재배, 퇴비나 바이오가스 사용, 적절한 비료 관리, 그리고 소르존 재배 방법 등을 공통 CSA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장벽 지수(BI)는 높은 초기 투자 비용, 열악한 제방 인프라, 낮은 작물 가격, 태양광 관개 시스템의 부족, 기술 지원의 부족이 CSA 채택을 저해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농부의 나이, 직무 만족도, 교육 수준, 훈련 경험, 정보원 사용이 CSA 방법 채택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CSA 관행을 장려하기 위해 해안 농부 역량 개발, 농작물 보험, 무이자 대출정책, 그리고 공정한 농작물 가격 체계를 제안하였다.

스마트 러닝을 활용한 간호교육에서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ask Valu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Learning Engagement in Nursing Education using Smart Learning)

  • 김은정;서동희;기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29-236
    • /
    • 2020
  •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자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13주 동안 G시 일 대학 간호학과에서 스마트 러닝을 적용한 전공교과목 수업을 이수한 간호학생 186명을 대상으로한 조사연구이다. 학습참여에 대한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학업적 자기효능감(β=.515), 과제가치(β=.244) 순이었고, 학습참여에 과제가치(r=.52, p<.001)와 학업적 자기효능감(r=.64, p<.001)은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러닝에서 학습자의 학습참여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스마트 기기 기반 언어재활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Language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the Smart Device-based Application)

  • 황유미;박기남;정영희;편성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321-32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장애 환자군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 기기 기반의 언어재활 프로그램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국내외 의사소통 언어훈련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여 구체적인 의사소통 범위 및 훈련 과제, 문항 등을 검토하여 과제 구성에 필요한 콘텐츠를 선별하였다. 다양한 의미범주와 문법요소를 포함하고 언어학적 단위에 기초하여 단어수준, 의미범주, 문장수준, 담화수준의 이해산출 능력 향상을 위하여 17개의 의미범주를 추출하고 29개의 훈련과제와 3780개의 훈련 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 프로그램과 안드로이드 기반 재활 훈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본 언어재활 프로그램은 가정에서 쉽고 편리하게 홈 프로그램으로 사용되어 언어훈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환자 관리 및 훈련 결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언어장애 환자군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언어장애 환자군 별 언어재활 효과 검증 등의 후속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