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술기수행 능력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1초

비디오 디브리핑을 이용한 기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비기술적 술기와 기술적 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Basic Life Support Utilizing Video-assisted Debriefing on Non-Technical and Technic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 고진화;허혜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9-17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SBT) for basic life support (BLS) utilizing video-assisted debriefing (VAD) about non-technical skills (NTSs) and technical skills (TSs). The goal of the proposed study is the evaluation of a teaching method about the correct applic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non-synchronized experimental design. The sample included twelve teams of 36 nursing students.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received the SBT for BLS. Only the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VAD where as the control groups had a verbal debriefing. Raters who used checklists for TSs and NTSs evaluated both groups.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20.0 using Cronbach's ${\alpha}$,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Mann-Whitney U test and Wil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in both TSs (p=.004) and the NTSs (p=.008).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TS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lead CPR successfully, so VAD can be used as an efficient teaching-learning strategy in the SBT for BLS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Education Effect in Basic CPR for the Dental Hygiene Students)

  • 박대성;윤영현;김정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81-386
    • /
    • 2008
  • 본 연구는 AHA의 기본 심폐소생술 2005 Guide-line에 의거하여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Video self-instruction program 교육 후 기본 심폐소생술의 지식 및 태도, 자기효능감을 조사하고 술기의 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지식 및 태도, 자기효능감이 흉부압박 및 인공호흡 정확도, 정확한 술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SPSS 14.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기본 심폐소생술 지식에서는 교육 전 지식은 5.93에서 교육 후 지식은 12.46점으로 증가 하였으며, 태도에서는 교육 전 태도는 2.52점에서 교육 후 태도는 3.71점으로 증가하였다. 구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교육 전 4.34점에서 교육 후 6.94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는 교육 전 3.22점에서 교육 후 3.26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 기본 심폐소생술 흉부압박의 정확도는 68.90%였으며, 인공호흡 정확도는 19.00%이었다. 3. 기본 심폐소생술 술기의 수행능력의 전체 평균 점수는 4.51점으로 나타났다. 4. 교육 후 자기효능감(B=30.386, p < .05)이 흉부압박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 후 태도(B=15.310, p < .05)가 인공호흡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후 태도(B=3.737, p < .05)는 기본 심폐소생술 술기의 수행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과 미국 응급구조 학생간에 전문심장구조술 시뮬레이션 시험 (ACLS Simulation Examinati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Paramedic students)

  • ;김태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1-76
    • /
    • 2009
  • 서론(Introduction) : 의학 시뮬레이션(medical simulation)은 교육생 학습과정에서 내재된 위험이 환자에게 가해짐 없이 교육생이 실제적인 환자 상황을 경험할 수 있게 하고 여러 다양한 임상내용이 포함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기술의 사용은 의학교육(medical education), 인증서(certification), 면허교부(Licensure)와 의료의 질 형성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복강경 수술, 내시경검사, 전문심장구조술, 응급기도관리와 외상소생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시술의 수행에서 시뮬레이션이 교육생의 술기를 달성하고, 측정하고, 유지하는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컴퓨터로 조절되는 시뮬레이터는 맥박, 혈압, 호흡, 대화가 가능하고, 중증질환 또는 외상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같은 인명구조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의학 시뮬레이션은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와 응급 진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사람에게 필요하다. 최신 전문심장구조술 과정수업은 전통적인 강의와 제한된 팀 상호작용이 포함된 이틀 과정이다. 우리는 비 영어권 국제 응급구조학생의 전문심장구조술 술기능력을 알아보고, 그것을 미국 응급구조학생과 비교하고자 한다. 목적(Objective)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전문심장구조술 증례 시나리오를 가진 의학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미국과 한국의 응급구조 학생의 능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시행 장소(Site Location) : 이 연구는 한국 제주도에 위치한 제주한라대학 스토니브룩 응급의료교육원에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평가는 스토니브룩에 위치한 스토니브룩 대학 의료원의 한 명의 평가자(Dr. lee)에 의해 수행되었다. 방법(Methods) : 15명의 한국 응급구조학생들은 세 팀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5명이 한 팀이 되어 같은 증례의 시나리오를 받았다. 세 가지 시나리오는 : 첫째, 천식지속상태(Status asthmaticus), 둘째, 긴장기흉을 동반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with tension penumothorax) 그리고 마지막으로 메가코드(megacode)를 가진 심정지 이다. 세 팀을 각각 그리고 기본인명구조술(BLS)과 전문심장구조술(ACLS)과정을 마친 미국 응급구조학생들과 비교하였다. 15명의 미국 응급구조학생들 또한 세 팀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이 응급구조 학생들은 플러싱병원 의료원 소속으로 그곳에서 이 연구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의학교육(CME)이수를 받았다. 이들에게도 같은 세 가지 증례의 시나리오가 주어졌고 Dr lee는 총 여섯 팀을 평가하였다(한국 세 팀과 미국 세팀). 결과(Results) : 양 국가의 모든 15명의 학생이 의학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전문심장구조술 메가코드시험을 포함한 시험에 모두 통과하였다. 비록 학생들을 무작위로 세 팀으로 나누었지만 한 팀이 이 모든 세 증례에서 다른 팀보다 뛰어났다. 제주한라대학 2번 팀은 더 나은 기도관리, 리듬인식과 임상술기를 가진 모든 중요한 활동을 얻기에서 우수했다. 그들은 핵심요구사항을 90% 이상 충족시겼다. 한국의 2번팀(G2K)은 메가코드에서 기도개방, 호흡평가, 순환징후 그리고 흉부압박수와 같은 신체검진 술기에서도 탁월했다. 게다가 다른 팀과 비교 시 리듬인식, 약물지식과 임상술기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2번팀(G2K)이 6팀 중에 가장 뛰어나게 역활수행을 하였다. 결론(Conclusion) : 이 비교 연구에서 한국학생과 미국학생간에 전문심장구조술 메가코드 시험의 통과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미국학생은 세 팀 사이에 더 적은 변이로 더 일괄된 점수를 받았다. 한국학생들도 모든 세 가지 증례를 통과하였지만 이 세 팀은 미국학생 팀보다 점수에서 더 큰 변이를 보였다.

  • PDF

피드백 장치와 디브리핑을 통한 군 심폐소생술의 질과 교육훈련 향상 연구 (Study for Improving militar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quality and resuscitation training by combining feedback device and debriefing)

  • 문수재;조병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5-236
    • /
    • 2014
  • 군의 교육훈련간 디브리핑과 피드백 장치 활용을 통한 심폐소생술 교육방법을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확인하고 심폐소생술 수행 전 후 피로도를 검사하여 심폐소생술 술기가 숙달된 인원과 숙달되지 않은 인원의 피로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 야전에서 응급처치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비 의무병인자로 전투병 생존법 교육 소집 대상자 중 참여 희망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3가지 교육방법(디브리핑, 피드백장치, 디브리핑과 피드백장치 조합) 을 적용한 3개의 그룹에서 1,2,3차의 평가와 전체 디브리핑을 통해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의 질적 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동일 대상 중 희망자 20명에 한하여 심폐소생술 수행(5분) 전 후 혈중 젖산 농도 측정 및 주관적인 문답(1~10점)을 통해 심폐소생술 수행에 따른 피로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3가지 교육방법에 따른 심폐소생술수행능력 향상은 모든 그룹에서 유의하였으며(p<.001), 그룹별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향상효과의 차이는 디브리핑과 피드백장치를 조합하여 적용한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1).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이 숙달되기 전 후의 피로도에 대해서는 본인이 느끼는 피로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혈중 젖산농도에 따른 피로도는 유의한 차이로 전보다 후가 낮아졌다(p<.01).

  • PDF

핵심기본간호술을 통한 첫 간호의미 경험 (The Experience of Frist Nursing Meaning amo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 김미화;이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6
    • /
    • 2021
  • 본 연구는 임상실습전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을 통해 간호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현재 M대학교 간호학과 재학 중인 3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실습경험이 없고, 핵심기본간호술기수업을 후의 면담을 통해 분석되었다. K시 일개 대학의 3학년 재학생으로 핵심기본간호술을 처음 실시한 학생을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범주와 19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 되었다. 3개의 범주에는 1. 도움의 의미 2. 두려움의 극복, 3.간호술기습득 기회로 이었으며, 결론은 임상실습전 첫 핵심기본간호술은 서로에 대한 도움으로 간호의 진정한 의미를 알아가는 시간이었으며, 반복되는 연습으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고, 새롭게 알게 된 핵심간호술기의 습득은 자신감을 가지는 경험하게 되는 효과적인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본질적인 간호의 철학을 가지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핵심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 향상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이 지식, 수행, 수행자신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based Core Nursing Skills Training Program on Knowledge, Nursing Practice,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이경미;정미란;임소연;유영미;민신홍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97-10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HMD 기반의 가상현실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이 간호 학생의 지식, 수행도, 수행자신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A지역 소재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간호학생 45명이며, 가상현실 활용 핵심간호술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21명, 마네킨 모형 사용의 고전적 방법을 활용한 대조군 24명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핵심간호술 훈련을 마친 후, 술기가 포함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0월 3일부터 10월 28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 t-검정(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이후 간호학생의 지식은 실험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고(t=-2.13, p=.039), 수행자신감은 대조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t=2.63, p=.012). 수행도,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가상현실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은 간호학생들이 실제 수행을 하기 전 지식과 수행 절차를 익히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마네킨 모형을 사용하는 고전적 핵심간호술 훈련은 간호 학생들의 술기 자신감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팀 기반 학습 적용이 메타인지 및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Metacogniton, Academic achievement, Confidence in performance, Learning satisfaction)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361-374
    • /
    • 2017
  •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5일까지였다. 연구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ce t-test와 one-way ANOVA, 실험처치 후 변수에 대한 효과는 paired t-test,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기반 수업 적용 후 메타인지,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은 상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성취도는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학습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인지는 학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간호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습교과목에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팀 기반 학습법 적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겠다.

자율실습교육에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평가 학습법이 간호술기 수행능력, 자율실습만족도,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유치도뇨를 중심으로 (Effects of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s: Focusing on Foley Catheterization)

  • 장은화;박수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8-12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s in nursing students'. The setting was the open laboratory hour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pre/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15. The participants were 82 sophomore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The experimental group did self-evaluation by watching recorded video clips of their performance.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self-evaluation. The primary outcomes were scores from the foley catheterization checklist, scores from a student satisfaction tool, and scores from a learning motivation tool.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higher mean score in levels of satisfaction b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2.26, p=.027). In addition,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b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mprovement in the control group (t=3.96, p<.001).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s ha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both communication skills and satisfaction with practice during open laboratory hou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is useful as a supplement to traditional open laboratory education.

정맥주사간호를 위한 사례중심 임상수행능력평가 실습교육의 효과분석 (Effects of an Intravenous Injection Case-based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on Problem Solving Skill, Nursing Process Application, Nursing Skill and Learning Satisfaction)

  • 김영일;박정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5-35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intravenous injection case-based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for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skill, nursing process application, nursing skill, and learning satisfaction. Method: This study's design was a randomized control group design. A total 93 students (experimental group, 49 control group, 44) who were junior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2th to 19th, 2010 and analyzed using SPSS 18.0. Result: The mean score of problem solving skills, intravenous injection skill,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mean score of nursing process applic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se-based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is effective for problem solving skill, nursing skill,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dapt such teaching methods with integrated nursing practice education for various clinical skills development.

웹 기반 간호교육 콘텐츠가 간호수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 지식,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nline nursing education contents on self efficacy,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nursing skills)

  • 남혜숙;손경애;김수현;송영숙;권소희;오은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6호
    • /
    • pp.1353-1360
    • /
    • 2014
  • 본 연구는 웹 기반 간호교육 컨텐츠가 간호학과 학생의 간호수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 지식,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스비 너싱 스킬 간호수기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기관절개관 흡인술에 대한 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설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중 웹 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식과 수행능력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자기효능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웹 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는 기존 임상실습 교육의 간호술기 교육을 강화하는데 유용한 교육매체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임상실습 교육에 효과적인 학습 지원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