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 체계

Search Result 18,60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for spaceborne monitoring development plan (공중모니터링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Shin, Dong-Bin;Ahn,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0-18
    • /
    • 2008
  • 국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으며, 공중모니터링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논의도 이러한 맥락에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토모니터링체계 구축이라는 큰 틀에서 공중플랫폼을 이용한 모니터링체계인 공중모니터링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관련 기술의 개발과 활용 그리고 이를 적용한 공중모니터링체계의 구축 및 운영이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제반사항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검토와 기술동향 및 적용사례, 그리고 관련 기관의 요구사항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지상, 지하, 공중부문이 상호 연계되는 통합적인 공중모니터링체계 구축, 공중모니터링분야의 전문 인력양성, 공중모니터링자료(위성영상, 항공사진 등)의 공유 및 유통체계 마련, 공중모니터링체계를 구축하고 관리 운영 할 전담기구 설립, 실시간 공중모니터링체계의 구축, 공중모니터링체계의 구축 및 관리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관련 법제도의 개선, 지속적인 관련기술의 연구개발 지원 등이 필요하다.

  • PDF

Future-oriented National and Urban Planning through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국토이용정보체계를 통한 미래지향적 국토공간계획)

  • 김용범;임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81-90
    • /
    • 2004
  • 국토이용정보체계는 국가에서 구축한 DB와 응용시스템, 지자체 보유 DB와 응용시스템은 물론, 이들을 활용하기 위한 연계시스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국토와 도시의 계획적 이용과 관리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과 관리의 대상이자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이며 지속가능한 이용이 보장되어야 하는 국토공간의 미래지향적 계획 방안에 대해 국토이용정보체계를 중심으로 연구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전략적 발전을 위한 공간계획의 이론, 핵심 기술 및 응용 시스템 개발측면에서의 향후 기술과 방법론의 발전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전략적 로드맵이 필요하다. 이를 중심으로 미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국토이용정보체계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식정보화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고 이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토이용정보체계를 미래지향적 공간계획의 핵심이 되며,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개선시키되, 수혜자가 업무 담당자는 물론 시민이 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PDF

Construction of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for Sharing and Usage of Knowledge : a Case Study in KAERI (지식의 공유 및 활용을 위한 지식분류체계 설계방안 - 한국원자력연구소를 중심으로)

  • Yoo, Jae-Bok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5 no.1
    • /
    • pp.1-27
    • /
    • 2004
  • To share knowledge efficiently among our members on the basi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irst of all, we need to systematically design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we can classify these knowledge wel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most suitabl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all of us can share them i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To construct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all over the our organization, we established a few principles to design it and examined related many classification schemes. And I carried out 3 steps to complete the best desirable KAERI's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is, (1) the step to design a draft of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2) the step to revise a draft of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3) the step to verify the revised scheme and to decide its scheme. The scheme completed as a results of this study is consisted of total 218 items : sections of 8 items, classes of 43 items and sub-classes of 167 items. I expect that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design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frame to efficiently share knowledge among our members when we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our organization. In addition, I expect that steps to design its scheme as well as this scheme itself can be applied when design a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at the other R&D institutes and enterprises.

Development of Automatic Incident Detection Algorithm Using Image Based Detectors (영상기반의 자동 유고검지 모형 개발)

  • 백용현;오영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6
    • /
    • pp.7-1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utomatic incident detection algorithm using image based detector in freeway management system. This algorithm was developed by using neutral network for high speed roadway and by using speed and occupancy variable for low speed roadway. The image detector system with the developed automatic incident detection algorithm can detect multi-lane as well as several detect areas for each lane. To evaluate this system, field tests to measure the detecting rate of incidents were performed with other systems which have APID and DES algorithm at high speed roadway(freeway) and low speed roadway(national arterial). As the results of field test, it found that the detect rate of this system was highest rate comparing to other two systems.

  • PDF

Implementation of an User-guided Classification Tailoring System (사용자 요구에 기반한 맞춤형 분류체계 생성기법 구현)

  • Jang, Du-Seok;Chun, Jong-Ho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2 no.3
    • /
    • pp.193-210
    • /
    • 2007
  • In order for a classification system to be useful in every day business environments, it has to reflect peculiar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and organizations. By automating the generation process of classification, the overall operation of classification system becomes effective and efficient. However, in order for it to be really useful, human input and interventions are needed from the very beginning phase of the classification generation. This paper proposes an user-guided classification generation algorithm, in which the user inputs a specific level of the classification that she/he wants. Also we propose and implement manipulation operators to tailor the initial classification into the shape that user wants.

  • PDF

On the Improvement of the Test and Evaluation Process in the Weapon Systems Development with Systems Safety Considered (무기체계 개발에서 시스템 안전성을 고려한 시험평가 프로세스의 개선에 관한 연구)

  • Sim, Sang Hyun;Lee, Jae-Ch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04a
    • /
    • pp.271-284
    • /
    • 2013
  • 최근 현대 무기체계는 최첨단 기술로 인한 무기체계 개발 속도 증가와 획득환경의 다변화와 더불어 이에 대한 위험도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방부는 무기체계의 수명주기를 고려하여 시험평가를 지속 적용토록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무기체계 시험평가 프로세스에서 다루는 시스템 설계에 대한 단계별 안전 활동의 강화의 필요성 역시 강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무기체계 개발의 핵심 활동에 해당하는 체계개발 단계는 양산에 들어가기 전의 최종 활동으로서 제대로 수행되어야만 초기에 의도한 무기체계 개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안전성 요소를 고려한 시험평가 프로세스의 개선사항 도출과 모델링을 통해 무기체계 시스템인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적용 및 조정 구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험평가 기간의 단축 및 비용 절감과 데이터의 관리 및 추적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무기체계 개발 후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of Hwa-sung from the Point of Water System (수체계로 본 수원화성 건설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ang, In-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4
    • /
    • pp.137-147
    • /
    • 2011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planning characteristics of Suwon and Hwa-sung in 18th century from the point of water system. This study has an explanatory approach. The planning intents in the water system was driven out by analyzing various planning elements in relation to water system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Hwa-sung in 18th century. Using Entire Map of Hwa-sung, land registration map made in 1911 and topographic map of 1/10,000 scale made in 1917, water system and interpret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Hwa-sung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ystem in Haw-sung in 18th century are as follows). Firstly, in determining the spatial structure and location of Hwa-sung, water system had an important role. Secondly, integrated drainage system was planned by the organiz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water stream. Thirdly, the main street system and land use structure were planned in relation with water system. Fourthly, territoriality of main area was planned with water stream. Fifthly, ponds were constructed for flood control and they had important role as landscape elements. Sixthly, water stream was used as intentional BiBo el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weater system of Hwa-sung in 18th century was planned by the organiz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water stream in relation with the location of new town and wide area's spatial structure, street system, land use structure, territoriality of main area, terriflood control, water quality protection, landscape, 비보 and urban daily life.

21세기 국방과학 핵심기술로의 인간공학(2)

  • O, Je-Sa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0 s.176
    • /
    • pp.44-49
    • /
    • 1993
  • 인간공학은 인간-체계 접촉면(Human-System Interfaces)을 가장 중요시하는 학문으로서 대부분의 무기체계에서 인간체계 접촉면은 그 무기체계의 응용적 효율성에 핵심이 됩니다 무기체계에서 강조되는 인간은 무기체계 성능의 최적화에 핵심요소이고, 이러한 무기체계 구조하에서 인간공학 기술투자는 미래에 보다 더 개선가능한 한국형 무기체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보다 높은 이익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PDF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Natural Number Binary System (자연수의 이진체계 교육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Jang, Junghoon;Kim, Ch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9 no.4
    • /
    • pp.525-532
    • /
    • 2015
  • Unplugged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strument for teaching the basic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This study presents the teaching contents developed for the children without any knowledge of binary numbers. which successfully guided them to understand the natural number binary system. The level of the pre-lesson for this learning requires counting numbers, matching numbers with cards, and arranging numbers. The activity-based learning is provided for describing natural numbers with the binary system and finding out them in everyday life. To check the adequacy of these materials on their organization and assessment they were tested at the classroom, which showed effective about the knowledge, the attitude and the generalization.

등대문화유산 분류체계와 DB구축 방안 -국립등대박물관을 중심으로-

  • Choe,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19-421
    • /
    • 2013
  • 이 글은 등대문화유산 분류체계와 DB구축 방안에 관한 기존의 법령과 제도를 기반으로 기존의 국립등대박물관의 등대문화유산 분류체계에 문화재관리 및 박물관수장품관리와 연계성을 보완하고, 등대문화유산 DB구축에 문화재기록관리 및 박물관정보관리 체계의 호환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유형별 범주와 기능별 용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실무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