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of Hwa-sung from the Point of Water System

수체계로 본 수원화성 건설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ang, In-Ae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 강인애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1.10.28
  • Accepted : 2011.12.27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planning characteristics of Suwon and Hwa-sung in 18th century from the point of water system. This study has an explanatory approach. The planning intents in the water system was driven out by analyzing various planning elements in relation to water system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Hwa-sung in 18th century. Using Entire Map of Hwa-sung, land registration map made in 1911 and topographic map of 1/10,000 scale made in 1917, water system and interpret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Hwa-sung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ystem in Haw-sung in 18th century are as follows). Firstly, in determining the spatial structure and location of Hwa-sung, water system had an important role. Secondly, integrated drainage system was planned by the organiz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water stream. Thirdly, the main street system and land use structure were planned in relation with water system. Fourthly, territoriality of main area was planned with water stream. Fifthly, ponds were constructed for flood control and they had important role as landscape elements. Sixthly, water stream was used as intentional BiBo el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weater system of Hwa-sung in 18th century was planned by the organiz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water stream in relation with the location of new town and wide area's spatial structure, street system, land use structure, territoriality of main area, terriflood control, water quality protection, landscape, 비보 and urban daily life.

본 연구는 18세기 수원 신읍치와 화성 건설에서 나타난 수체계의 형성과정과 계획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화성 일대의 지형특성과 연계하여 형성된 자연형 수계가 화성건설과정에서 정비, 변화되는 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계획적 의도를 이수와 치수의 관점에서 해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화성 건설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체계를 다양한 계획요소와 연계하여 분석해보고 이를 통하여 물길에 내재되어 있는 계획적 의도를 추출하는 해석적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다. 연구진행과정에서 18세기 화성건설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체계는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화성전도와 1911년 지적원도, 그리고 1917년에 제작된 1/10,000 지형도를 활용하여 추출하였다. 화성의 수체계가 지니는 계획적 특성을 도출한 결과 화성의 수체계가 지니는 계획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수원천의 수계는 계획도시의 공간구조와 읍성의 좌향을 결정짓는 입지요소로 활용되었다. 2. 물길 정비를 통하여 계획적인 배수체계를 구축하였다. 3. 화성의 골격을 형성하는 도로체계와 토지이용구조는 물길과 연계하여 계획되었다. 4. 물길을 이용하여 주요 시설구역의 영역성을 확보하였다. 5. 치수와 조경시설로서 계획적인 연못(지(池))을 조성하였다. 6. 물길은 부분적으로 의도적인 비보요소로 활용되었다. 결국 18세기 화성에서 관찰되는 수체계는 도시입지, 도시구성체계, 도시골격요소로서 도로, 도시공간구조, 재해방지와 수질보호, 경관적 기능, 생활기반시설로서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계획요소와의 정합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자연수계를 의도적으로 정비하고 새로운 수계를 계획적으로 도입하는 과정을 통하여 구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수체계가 18세기 화성이 지니는 계획적인 신도시로서의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문화재단(2005). 화성성역의궤국역증보판 상. 수원: 경기문화재단.
  2. 경기문화재단(2005). 화성성역의궤국역증보판 하. 수원: 경기문화재단.
  3. 김동욱(1996). 18세기 건축사상과 실천-수원성. 서울: 도서출판 발언.
  4. 김동욱(2002). 실학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 파주: 돌베개.
  5. 김동욱(2002). 화성성역의궤의 건축사적의의. 진단학회지 진단학보. 93: 473-495.
  6. 김원영(1994). 화성 성곽건설에 따른 읍성 형성 내용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충영(2009). 수원화성 옛길의 변화 특성분석 및 보전방안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호준(1995). 화성의 도시공간구성과 상가배치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춘균(2001). 수원화성의 축성재료 및 축성과정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백종철(2007). 정조시대 화성의 가로, 녹지, 수리체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서영주(1994). 물길을 통해 본 도시공간의 역사성에 관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승호(2006). 수원 화성의 도로망 형성과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2): 75-88.
  13. 신행우(2003).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변화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원선미(2004). 수원화성경내의 도시조직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유봉학(1996). 화성성역에서의 치수와 농업진흥책. 한신논문집. 13: 459-478.
  16. 윤종태(2002). 수원화성원형경관에 나타난 버드나무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달호(2003). '화성'건설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호락(1997). 18세기 화성의 건축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장영실(1999). 수원시 공간구조 변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장효민(2000). 18세기 수원화성의 건축의장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전영옥, 이상문(2008). 전통도시 화성의 수로조영에 나타난 생태적 계획원리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3(5): 123-134.
  22. 정해득(2008).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이읍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최홍규(2002). 화성성역의궤의 구성과 역사적 의의. 진단학회지 진단학보. 93: 281-325.
  24. 최홍규(2005). 정조의 화성경영연구. 서울: 일지사.
  25. 하지영(2005). '물의 도시'의 공간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